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급증하는 모바일 인터넷 관련 SW 시장

모바일 산업이 IT산업의 중심이 되고 있는 것은 이제는 새삼스러운 이야기가 아니다. 대부분의 IT 환경에서 점차 유선과 무선이 구분이 없어지고 있으며, 무선은 유선의 다양한 Channel 역할 뿐만 아니라 'Real Time으로 Interactive한 반응'을 만들어 내면서 새로운 가치를 생성해 내고 있다. 모바일이 이끌어 가고 있는 변화는 Cosumer 시장은 물론, Enterprise 환경에서까지 무선을 고려할 수 밖에 없는 시대를 만들어 가고 있다. 과연, 이러한 '모바일 쓰나미'의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에 610억달러로 예상되는 모바일 인터넷 관련 매출은 불과 3년후인 2013년에는 1,070억달러로 175% 가량이 성장할 예정이다. 실제로 2009년 글로벌 컴퓨터시장에서 휴대형 컴퓨터 판매량은 1억6,520만대로 사상 최초로 DeskTop PC 판매량(1억2,620만대)을 앞질렀다.


IT 환경의 중심이 되는 모바일 쓰나미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인터넷의 IT 환경 깊숙이 파고 들면서 직간접적으로 모바일에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는 인구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IDC 보고서에 의하면 미국의 경우 2008년에는 전체 경제활동 인구의 72.2%에 해당하는 업계 종사자가 모바일에 관련된 업무를 하고, 2013년에는 75.5%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아시아 지역의 경우 2008년 546.4 million이 모바일에 관련되어 있으며, 2013년에는 734.5 million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 수치는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37.4%에 해당한다.

Global하게는 2013년에는 약 1.2 Billion가 모바일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할 것으로 보고되었다. 1.2 Billion이라는 수치가 현재처럼 유선과 무선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는 환경에서 무선에서 일하는 업계의 종사자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만큼 무선이 IT 환경에서 중심을 이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외에서 바라보는 국내 IT 능력

이러한 빠른 변화에 대해서 '인터넷 강국'이라고 자부하던 국내는 준비가 잘 되어 있을까? 해외 유력 보고서들의 평가는 매우 부정적이다. 2006년 7월에 발행되었던 모건스탠리의 '글로벌 인터넷 트렌드'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를 세계 9위의 IT 강국으로 지목하였고 2010년에도 톱10에 들어갈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리고, 2009년 12월에 발행된 424페이지의 'The Mobile Internet Report'에서는 맨 마지막 페이지의 Copyright를 제외하면 'Korea'라는 단어는 단 한줄도 언급되지 못하는 수모를 당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선'이 중심되던 시대인 2008년, 세계경제포럼(WEF)은 우리나라의 IT 경쟁력을 전년(2007년)대비 10위가 올라간 9위로 평가하였다. 하지만, 무선인터넷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간 2009년에는 11위로 두 단계나 떨어뜨렸다. 단순한 순위보다는 WEF가 그렇게 평가한 이유가 중요하다. WEF는 동 보고서에서 "한국은 SW 패키지 비즈니스에서 성공적이지 못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통산업과 IT의 통합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투자와 프로세스 혁신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투자의 양보다는 질이 중요

이러한 위기감은 누구보다 정부 스스로 느끼고 있는 듯 하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MWC 2010'에서 '무선 정보기술(IT) 강국 도약을 위한 비전'을 발표했다. 그는 "무선 인터넷 활성화가 지체되면서 IT강국 코리아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며 "IT코리아의 재도약을 위해 올해를 무선 IT강국 도약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선언하면서 모바일 관련 벤처를 중심으로 3,7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중요한 시기에 정부기관에서 심각함을 깨닫고 과감한 투자를 한 것에 대해서는 다행스럽고 환영할 만한 일이다. 제발, 거대한 투자금액이 스타기업 한두개 만드는 결과위주의 행정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 WEF가 언급했던 것 처럼 IT 통합을 기준으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해내고, 프로세스 혁신을 만들어갈 수 있는 기초적인 산업에 투자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최시중 위원장이 언급했던 4G, 5G와 같은 Network Infra도 물론 중요하지만 이제는 High Level에서 움직여지는 Contents와 Raw Data 인프라가 중요한 시기이다. 또한, 사기업에서 운영하는 과금시스템을 정부 주관으로 만들어지는 것 또한 중립적인지 걱정이다. 이러한 위기감이 이야기 할 때마다 정부가 약속했으나 지켜지지 않은 부분이다. 정부는 '사용자 중심의 요금제'가 만들어 질 수 있는 환경에 집중해야하지, 요금제를 만드는 기관이 아니다.

아주 중요한 시기이다. 지금까지 유선에서 쌓아왔던 'IT 강국(?)'이라는 위상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무너질 수도 있다. 적재적소에 필요한 투자와 지원이 이루어지며, 이를 토대로 '모바일 쓰나미'를 지혜롭게 준비할 수 있는 국내 환경이 되기를 바란다.
2010/03/01 18:12 2010/03/01 18:12
아드리안

Data 요금제를 살펴보다보면 구글의 홈 스크린이 얼마나 많은 부분을 사용자에게 돌려주고자 노력했는지 절실하게 느끼게 됩니다.

작금의 상황이 우울했던 이유가 수직적 구조의 경영에서 고가를 매기는 것도 일조했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업무 상 클라이언트들과 말하다보면 개발팀 얘기가 나오는 데, 누구라도 그들의 고가 기준을 보면 도전 의식이 없는 것을 탓할 수 없게 됩니다.

사업기획팀은 돈 될만한 이런저런 사업에 얼마나 적극적이었나, 그리고 실리를 거두었나로 판단하지만..., 개발자들은 얼마나 안정적인 개발을 하였느냐로 평가하는 겁니다. 버그가 없어야 자신들의 고가가 올라가니 상대적으로 이전의 소스를 그대로 답습하고 도전에 대해 망설이게 되는 겁니다.

개발하시는 분들의 노고와 환경에 대해서 공감 한표 드립니다.

아드리안

참, 너무 바빠서 못 들렸었는데....
여전히 좋은 글과 공감할 수 있는 시각으로 시장을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