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스마트폰 판매량

애틀러스 리서치 보고서에 의하면 국내 스마트폰 판매량은 196,907대(08. 01 - 09. 01 기준)으로 알려졌다. 이는 전체 휴대폰 0.9%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08년 01월 이전에도 블랙잭을 비롯한 몇몇 PDA 폰들이 있기는 했지만, 이들의 판매양은 지금보다 더 형편이 없다. '2009년 국내 스마트폰 시장 전망 #1'에서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를 약 40만명으로 소개한 적이 있는데, 그때와 지금의 수치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짐작한다.

8만여대 정도가 팔린 T옴니아(언론에 따라 12만대까지 부풀려 있다.)는 1월만 해도 하루 평균 1000대가 팔렸지만, 최근에는 500대 이하로 뚝 떨어졌다. 블랙베리 볼드(Blackberry Bold 9000)의 경우 석달 판매량은 약 2,000여대이다. HTC 터치 다이아몬드는 겨우 500여대가 팔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터치 다이아몬드 이전 버전인 HTC 터치 듀얼폰은 누적 판매가 약 3만대 정도이다. 3월 25일부터 판매한 엑스페리아의 경우는 약 6천대 가량 판매되었으며, 노키아의 6210s 제품은 판매 첫 주 겨우 500대가 개통되었다. 모두들 스마트폰이 대세라는 말이 무색한 성적표이다.


남성의 비율이 절대적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스마트폰의 남성 비율은 74.3%에 이르고 있다. 아직까지는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이 업무용이라는 느낌이 강하고, 스마트폰이 대부분 Feature폰에 비해서 부피가 크기 때문인 듯 하다. 여성의 비율이 그나마 25% 가량이 유지되는 이유가 바로 T 옴니아 때문이다. HTC 터치 듀얼과 같은 일반 스마트폰의 경우 남성 사용자의 비율이 약 80% 정도가 된다. ATLAS 자료 이외에 자체 조사를 해보면, T옴니아를 사용하는 여성 사용자가 다른 스마트폰에 비해 높으며, 스마트폰에 대한 인지 없이 구입한 사용자가 많았다.


30-40대 비중이 높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30-40대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도표 중에 40대 이상이라고 표기된 부분의 대부분이 40대라고 생각하면 된다.(개인적인 예상으로는 25% 정도가 40대, 나머지 13%가 50대 정도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렇게 30-40대의 비중이 높은 것은 국내 스마트폰의 경우 법인폰 위주로 판매되었기 때문이다. 회사내에서 스마트폰을 유용하게 사용하면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연령대가 30-40대에 있기 때문이다.


신규가입이 대부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역시나 법인폰 위주의 시장 형상이 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구입할 때 신규 가입이 대부분이다. 58.4% 정도가 신규가입을 하고 있으며, 번호 이동은 약 30% 정도이다.


해외와 달리 국내 스마트폰 상황은 좋아질 기미가 보이지를 않는다. 철지나간 구형 단말을 해외에서 수입해 오고, 마땅한 요금제 하나 마련하지 못하고 있으며, 국내 환경에 맞는 어플리케이션 발굴도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스마트폰이 국내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현재 보이고 있는 법인 남성 위주의 시장 구도도 깨져야 할 듯 보인다. 인위적인 변화는 의미없고, 스마트폰 확산을 가로 막는 장애요소를 이통사에서 걷어내면 자연스레 변화될 것이다.
2009/04/21 09:43 2009/04/21 09:43

블로고스피어 IT 리포트 113호 - 20090422IT 관련 블로그 동향을 정리하는 블로고스피어 IT 리포트를 RSS 피드 http://goodgle.kr/rss 를 통해 간편하게 구독하세요.주요 블로깅오라클, 태양(SUN)을 삼키다 :..

굿글

mobizen님의 블로깅 항상 잘 읽고 있습니다. ^^
한가지 궁금한 부분이, 이 자료의 출처가 애틀러스 리서치인지요? 아니면 개인적으로 소싱하신 자료인지 궁금합니다.

mobizen

너무도 당연하신 질문인데요.. ^^

당연히 본문이나 도표에 소스가 애틀러스 리서치로 언급된 부분은 그쪽 보고서를 재구성해서 만든 것이구요. 그 외에 최근 스마트폰 판매량이나 분석 데이터는 언론 및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가 파악하고 있는 것입니다.

제 포스팅은 항상 보고서를 인용해서 재구성 할 때 소스를 분명히 언급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언급안된 부분은 제 Source 이구요.

한방블르스

잘 보았습니다. PDA폰이 대세라는 말이 무색하군요.. 이런 결과로 아이폰이 안들어 오나요?

mobizen

ㅎㅎ 아이폰이던 뭐던 진짜가 시장에 나와줘야 하는데 말이죠.. ^^

goMan

와~~ 너무 멋지십니다.. 이런 정확한 분석이라니~~~ ^^ 짱이십니다~

mobizen

있는 데이터를 소개하는건데요.. 리플 감사합니다. ^^

dragonhong

아무래도 한동안은 이통사가 B2B대상 법인대리점을 늘리는데 주력하는 것도 사용자 연령대와 상관이 있는듯 하군요.
스마트폰 소프트웨어 패키지형태로 팔아서 수익을 얻으려는 기존 PDA업체에서 스마트폰으로 전향된 업체와 신규업체들을 확보해야 초반에 많은 사용자를 쉽게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한 이통사.. 뭐 일장일단이 있겠지만..
제가 말하고서도 내용에 두서가 없군요. 하여튼 결론은 당분간(09년)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위와 같을 듯.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외는 조금은 다른 분위기가 일찍부터 만들어져 있었지만 국내에서는 최근까지도 스마트폰은 업무용 디바이스였다. 블랙잭, 미라지 등은 애초부터 법인용으로만 판매가 되었으며,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또한 극히 제한적인 사무용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하지만 아이폰의 영향 때문일까? 4만대 이상이 판매되었다는 T옴니아부터는 더이상 스마트폰의 용도가 업무용이라는 말을 쉽사리 하지 못하게 되었다.

T옴니아의 성공에 고무되어 재빨리 T옴니아2를 준비하는 SKT나, OZ 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해 가칭 OZ옴니아를 준비하는 LGT의 움직임을 보더라도 더이상 법인 대상의 스마트폰을 염두해 두지 않는 듯하다. 이러한 변화는 해외의 커다란 모바일 시장의 변화에 기인하며, 그 변화의 중심에는 'iPhone'이 있다.

가장 최근 자료인 NPD Group에 따르면 해외 사용자들은 이전에 비해서 자신들의 스마트폰을 더욱 빈번하게 사용하고, 그 중에 게임 사용량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고 답을 했다. 46 퍼센트에 해당하는 응답자들이 업무용 어플리케이션보다 게임을 더 자주 사용한다고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edialets에서 발표한 위 자료를 보아도 스마트폰의 대표 Market Place인 App Store와 Android가 런칭된지 24시간 동안에 올라온 Application 분포가 Games, Multimedia, Life Style, Travel 등 개인 서비스가 집중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개인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으뜸인 Mobile Game 성장율을 보면 이러한 변화를 뚜렷이 알 수 있다. 아래는 comScore에서 발표한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추이표이다.

Downloaded Mobile Game by Platform
Audience
Three-month average ending November 2007 vs. November 2008 US Mobile Phone Users (000s)

  November
2007 (000s)
November
2008 (000s)
YoY
Growth
Smartphones 734 2,869 291%
Non-Smartphones 6,486 5,593 -14%
Total 7,220 8,463 17%
- Source : comScore M:Metrics

전년(2007년) 대비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수는 17% 성장을 했지만 일반 Feature 폰에서는 -14% 감소를 하였고, 스마트폰에서는 291%라는 놀라는 성장을 이루어 냈다. 이런 성장세를 주목하고 애플은 월 $19.99의 게임섹션을 App Store안에 만든다는 루머가 몇달전부터 떠돌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스마트폰도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2009년이 끝날 무렵이 되면 더이상 업무용 기기라는 소리가 없어지지 않을까 생각된다. 한가지 걱정되는 것은 개인 사용자가 부담없이 사용하기에 알맞은 정액제가 부족하다는 것과 다양한 국내 스마트용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찾기 힘들다는 것이다. 업계의 많은 플레이어가 희망을 가지고 미래에 투자하여 이러한 변화를 시장의 긍정적인 결과로 잘 이끌어 낼 수 있기를 바란다.
2009/02/04 08:32 2009/02/04 08:32
루미렌트

삼성전자나 LG전자, SKT에서 이번에 애플앱스토어와 유사한 오픈마켓을 준비한다고 하는데 조금 기대가 되네요^^

mobizen

ㅎㅎㅎ 그러신가요? 사실 전 별로 기대하지 않습니다. 어차피 그들은 국내 타겟도 아니고... 삼성은 이미 열었군요. http://applications.samsungmobile.com/ 입니다.

우기태

모바일 게임의 세분화된 시장(소규모의 개발이 가능한 수준?)이 얼마나 App Market에서 지속될지 궁금하네요. 국내에는 개발자는 있으나 소비자는 없고...
개인적인 예상으로는 2009년 중반까지는 소비자들의 흥미가 증가되면서 좀더 성장하다가
2009년 하반기부터는 하강 곡선을 그릴 것 같다는... ...
2011년 초중반엔 PC 게임 기반의 게임형태가 모바일에 최적화되어 국내에서 선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않을 까란 예상도 해봅니다.

김기성

역시 게임이군요-
UX를 고려하지 않으면 정말 실패하기 쉬운 장르중에 하나가 게임인데, 앞으로 이쪽 장르도 관심있게 지켜봐야겠습니다.
적절한 난이도, 적절한 보상, 끊이지 않는 흐름 등..
User Flow를 어떻게 이끌어 내는지 앞으로가 흥미진진 하네요. ^^

mobizen

게임을 비롯하여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소비가 증가하는 것은 다른 분야에 비해 Local Trend의 영향이 적기 때문이라 생각해요. Global한 시장을 지향하는 Mobile Market Place와 궁합지 잘 맞는거죠.

우기태

얼마전 app.store를 둘러보니 게임이 상위랭크를 거의 장악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사용자의 컨텐츠 접근 용의도는 Entertainment >> Information >> Communication으며,
Entertainment 중 Game이 가장 접근이 쉽다구 보여지구요.

중장기적으로 봣을 때 소규모 오락거리 게임을 돈 주고 계속 살까라는 의문이 듭니다.(우리나라는 분명히 돈 주고 구입은 안할 듯...)
중규모 이상의 게임 특히 네트워크에 특화된 게임부분에서는 국내의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게임 포털에서도 어느정도의 소비자의 지갑털이 수법의 know-how를 가지고 있구요...(예컨데 공자로 좋은 게임 배포후에 사용자의 자존심을 건드려서 유료 아이템을 구매하게 한다던가....)

모바일 3D 가속기는 계속 발전중이며 별도 칩으로 133Mhz(ARM9)정도의 성능으로 아직은 현실대비 가격이 비싸며 대중화가 힘든것 같네요. OPEN VG, OPEN ES 1.1, 2.0 등을 지원하며 네비게이션, 웹브라저 가속. 게임 가속등에 쓰일 수 있을 거구...

3G 상의 네트워크 가부화도 지속적으로 문제가 될 것 같네요.
apple로부터 트리거된 Mobile Wimax(2008년 상용), LTE(2010상용화 시작 예상)의 니드가 더 커져가는 것 같아 기분은 좋고...

그래서 예상 시점이 2010년 이후의 국내 시장 활성화를 기대해본다는...

우기태

오늘 처음으로 글을 남겼는데 인사도 못드렸네요...
이제 시간되면 코멘트를 달아볼려구요 ㅎㅎ

참고로, 아래는 제가 눈여겨 보는 스마트폰 리스트입니다.
소비자의 성향측면보다는 스마트폰의 기능면에서...
LG(인사이트, 데어)나 모토로라 단말중에는 그다지 눈에 띄는건 없구...

Apple iPhone 3G
Palm Pre
Nokia N97
HTC Touch Diamond
HTC Touch HD
Samsung SCH-M495 T*OMNIA
Samsung SGH-i908 Omnia
RIM BlackBerry Bold 9000
RIM BlackBerry Storm 9500
Sony Ericsson XPERIA X1

mobizen

우기태님. 이 썰렁한 블로그에 많은 리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말씀 하시는대로 국내 시장 활성화가 좀 되었으면 좋겠네요. ^^

엔김치

게임의 무한성은 예측 불가능인듯 합니다. 컴투스의 선방을 기도하며, 드림위즈 이찬진 대표의 apple apstore의 진출도 재미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선 아직 블루오션인 시장을 누가 가져가게 될까요? 개인사업자들도 많이 생겨나겠네요. @엔김치 / 좋은글 감사합니다.

mobizen

조금은 다른 이야기인데 컴투스와 게임빌의 최근 행보를 보면 단기적으로는 게임빌의 전략이 좀 더 우위에 있는 것 같습니다. 게임의 질이나 Market Place의 발빠른 대응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장르와 UX에 대한 관점에서 말이죠. 게임빌이 미국시장에서 고전하더니 배운건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soulpp

역시 올때마다 좋은 자료들이 많네요 ㅎㅎㅎ

준비를 마치고나니 한결 가벼운 마음에 한걸음에 달려와봤네요 ㅎㅎ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4. 아이폰의 성공은 이례적

스마트폰에 대한 긍정적인 보고서에는 하나같이 '아이폰'의 성공을 거론하고 있다. 아이폰의 성공 신화는 이제는 누구도 평가절하할 수 없는 수준까지 왔다. 가젯으로서의 완성도 뿐만 아니라, 플랫폼과 App Store, iTunes의 결합은 '스마트폰'이 PC를 대체하게 될 매개체로서 인식되곤 한다. 실제로 얼마전에 ChangeWave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RIM은 41%, 애플의 아이폰은 23%, 팜은 9%를 차지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이폰의 성공과 무선 ARPU 기여도에는 이견이 있을 수 없지만 이러한 성공을 스마트폰 전체 시장으로 '일반화'하는 것에는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 RIM을 통해 일찍부터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E-mail 서비스 등을 제공받던 북미 모바일 시장도 무선 ARPU가 눈에 띄게 증가한 시점은 iPhone의 등장 이후이다. iPhone이 대단하기는 하지만 이는 단말 모델 하나 가지고 시장 점유율 자체가 바뀌는 것을 보면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단계가 될려면 멀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또한, 4월 1일이면 국내에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폰 역시 국내에서도 북미와 같은 결과를 보일지 일본과 같은 모습을 보일지 예상해볼 필요가 있다. 가젯의 성공 여부가 10개의 단점보다는 1개의 장점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지만, 현재의 장점만을 보더라도 전용 요금제 부재, 한글화된 컨텐츠의 부족, 게임 등급에 대한 사전 심의, 그리고 1년 가까이 지속된 아이폰에 대한 기다림 등이 무선 데이터 시장 침체라는 벽을 넘을 수 있을까?


5. 2009년 스마트폰 라인업

SKT는 현재 T옴니아를 중심으로 RIM의 볼드 9000, HTC의 다이아몬드, 소니에릭슨의 엑스페리아 X1, Nokia의 6210, 6650 등을 준비하고 있다. KTF는 iPhone을 중심으로 해서 Nokia 6210 등의 모델을 라인업할 계획이다. 이외 공식 기사화되지는 않지만 삼성전자와 LG전자에서 각각 iPhone Killer 프로젝트로 하이엔드급 스마트폰을 개발 중이다. 양적으로는 훌륭해 보이는 라인업이지만, 실제 디자인이나 그립감등은 국내 사용자와 맞지 않는 단말이 대부분이다. "스마트폰 = 풀터치" 이라는 등식이 성립되지 않는 폰도 있을 정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더욱 중요한 것은 이통사의 '스마트폰 전략'이다. 미디어를 통해 2009년에는 전략적으로 스마트폰에 투자를 할 것처럼 이야기 하고는 있으나 가장 기본적인 요금제에 대한 고민이 없다. SKT, 삼성, MS의 CEO가 모두 모여서 런칭쇼까지 했던 T옴니아 마저 전용 요금제가 없다는 것은 이통사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이 어느 수준인지 알 수가 있다. iPhone 도입이 가장 유력한 KTF는 iPhone 전용 요금제를 고려는 하고 있으나, 금액 자체가 Comsumer들이 기대하는 수준과 거리가 멀 것으로 보인다.


6. 스마트폰은 단말이 아닌 플랫폼

스마트폰은 소형 플랫폼으로 인식해야 한다. 해외 스마트폰을 도입하면서 해당 단말이 연동되는 다양한 서비스와 플랫폼이 국내 환경에 맞추어 이식되어야 한다. 불행이도 이러한 검증된 서비스를 도입하고, Localization에 대한 지원을 해줘도 부족할 판에 이통사들은 자신들의 사업 영역과 충돌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노키아의 OVI, 애플의 아이튠즈가 멜론과 도시락을, 모시(mosh)와 앱스토어가 mPlayOn과 다운로드팩과 사업영역이 겹치는 것에 대해 걱정 중이다. 이러한 서비스 도입에 유보적이라면 해외 단말을 들여오는 이유가 '비싼 외산 단말기'라는 것 외에는 없다는 말인가? 포기할 것은 과감히 포기하고, 그들이 할 수 없는 Local Application, Local Service의 활성화에 초첨을 맞추고 투자를 해야 하는데, 거대 기업이 불분명한 시장에 과감한 투자를 할 확률은 극히 적다.

관계 법령 또한 발목을 잡고 있다. 네비게이션 폰이라고 불리우는 Nokia 6210의 경우, Maps 서비스에 최적화된 폰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법령 때문에 Nokia의 지도가 서비스 되지 못하는 해프닝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들은 잘잘못의 문제를 떠나서 외산 스마트폰의 장점을 국내에서 십분 발휘할 수 없는 요소로 작용 하는 것은 분명하다.


7. 그 밖의 환경 요인

단말 보조금과 약정은 동전의 양면처럼 휴대폰 산업에서 윤활유의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발목을 잡기도 한다. 스마트폰이 2009년에 국내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말 교체 수요가 그만큼 있어야 한다. 하지만, 약정에 의해서 휴대폰 교체 주기는 갈수록 길어지고 있으며, 여기에 경기 침체라는 변수가 단말 수요를 방해하고 있다. 이는 저가단말보다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하는 하이엔드폰에 직격탄이 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현상을 조금 다른 각도에서 보자면, 하이엔드급 단말을 보조하기 위해서는 이통사의 보조금에 대한 부담감이 그만큼 높아짐을 의미한다. 미국내에서 아이폰을 서비스하는 AT&T의 경우에도 ARPU는 올라갔지만 무리한 단말 보조금은 단기적으로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좋은 성적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떨어지는 기이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를 이미 잘 파악하고 있는 국내 이통사 입장에서,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활성화를 위해 보조금 지급에 얼마만큼 투자를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스마트폰의 Segment가 그렇게 다양하지 못하다는 것 또한 인정해야 한다. '국내 스마트폰의 활성화는 글쎄..'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스마트폰의 사용용도는 법인 사용자와 개인 사용자가 전혀 다르다. 아이폰을 제외한다면 대부분의 2009년 유입 단말은 여전히 법인 사용자를 타겟으로 하고 있는데, 2009년은 모든 기업들이 투자에 소극적일 수 밖에 없는 해이다. 비즈니스 시장의 수요가 증가가 될 수 있는 요인이 극히 적다고 볼 수 있다.


8. 쓸만한게 없는게 사실

개인의 입장에서도 쓸만한 어플리케이션이 없다. 모든 환경 요인을 벗어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은 영문 위주로 구성이 되어 있고, 국내 서비스 기업들은 투자에 소극적이다. PIMS기능을 중심으로 한 Offline Data와 함께 Air를 발생할 수 있는 요소를 다양한 채널로 제공을 해야 하는데 아직까지 스마트폰 시장은 선택이 풍요롭지가 않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을 사봐야 mp3 플레이어, PMP 기능, 고성능 카메라, 풀터치 스크린과 같은 기본 요소를 제외한다면 쓸만한게 없다. 시장이 작으니 기업은 소극적이고, 서비스와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기업이 소극적이니 이통사들은 투자하기를 꺼려한다. 그렇다보니 스마트폰을 구입하려는 사용자들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단말로서의 가치를 못 느끼는 것이다.

스마트폰에 대해 청사진만을 들고 이야기 하는 이들 중에 이메일, 풀브라우저를 제외하고 어떤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기껏 날씨 위젯 앞에 놓고, 외산 News Break 설치해서 보는 것이 전부일 것이다. 나머지는 PDA와 다름없는 활용도이다. 과연 이게 100만원의 가치를 하는 것일까? 2009년이 국내 스마트폰 활성화의 원년이 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너무 많다.
2008/12/24 15:49 2008/12/24 15:49
성지인

성숙하지 않은 시장에 기업들이 진입한 경우의 대부분은 원점으로 돌아가서 '과연 이 시장에 고객의 니즈가 존재하는가'를 물어보면 답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니즈가 존재한다면 시장은 언젠가는 성장할 것이고, 니즈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시장은 끝내 꽃 피우지 못하고 사라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질문 자체가 어려운 건 아닌데 답을 찾기가 쉽지 않네요.

mobizen

조금은 어려운 문제군요. 개인적으로는 전 조금 다른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모든 시장이라는게 니즈가 있다고 자생적으로 생기는 것은 아니고, 프론티어 정신을 가지고 기업들과 Consumer들의 노력과 투자에 의해서 열려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관점의 차이일 수도 있겠네요. 좋은 성탄절 보내세요~ ^^

싱싱싱

최근 스마트폰용 application software 에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해외에서 Nokia, iPhone, Blackberry등 여러 스마트폰에 널리 사용되는 검증된 software를 들여오는 것도 고려 중입니다. 국내 상황에 맞게 어떠한 변화는 필요하겠지요. 어떤 자료를 보건데, 국내에서 2009년말까지는 스마트폰 가입자가 100만명 수준까지는 되지 않을까요? 이동통신 가입자 약 4500만명의 2.2% 정도인데요. 국내 에서휴대폰이 2008년에 2300만대, 2009년 1월에 150만대 이상 팔렸다는데, 2009년 스마트폰 가입자 예상 어떻게 보시는지요?

mobizen

어려운 질문입니다. 제가 어떤 예상을 하는 것은 별 의미는 없으나... 싱싱님께서 물어보셨으니 굳이 답변을 드리자면 40만 이하라고 봅니다. 이통사의 마케팅이나 요금제의 변화가 있다면 60만까지도 가능할 것 같구요.

질문의 요지와 한걸음 떨어져 볼 것은 스마트폰과 유사한 스마트 가젯의 성장세 또한 무섭다는 것인데요. 네트워크와 연결 가능한 가젯의 수요가 스마트폰 못지 않게 팔리지 않을까 생각을 해봅니다.

싱싱싱

네, 신속한 답변 갑사 드립니다. 저는 이제야 막 mobile 분야에 조금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조금씩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합니다. 님의 글들은 관련 시장 동향, 전망, 사업기회등에 대한 insight,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jisu

thanks for it.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스마트폰 시장이 세계 모바일 시장을 강타하는 가운데, 여러차례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 대한 과대한 기대감에 대한 우려의 포스팅을 해왔다. 스마트폰의 여러 긍정적인 데이타를 보고 현실을 벗어난 관점들이 이야기 되는 듯해서, 조금은 차가운 시선으로 2009년도 시장을 예측해보고자 한다. 예측은 '예측'일뿐, 그분들의 시선이 잘못되었다는 이야기는 아니고, '다른 관점도 있겠구나' 하는 이해로 보아주기를 바란다. 기본적으로 아래 포스팅을 먼저 참고하기 바란다.



1. 2008년 국내 스마트폰 시장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그림은 ROA그룹에서 내놓은 2008년도 Global 모바일 단말 트렌드를 정리한 그림이다. 디테일한 부분서 국내 현실과는 약간 다른 면이 있지만, 한 가운데 위치한 Operator eye와 Consumer eye가 각기 다른 방향을 보고 있는 그림은 절대적으로 공감 할 수 있는 내용이다. 국내에서도 iPhone을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폰에 대한 도입을 Consumer가 원했고, ARPU의 제자리 걸음과 데이타 시장의 침체를 벗어나고자 2008년 하반기에 시범적인(!) 수준의 스마트폰들이 국내에 도입이 되었다. 하지만 실제 이통사들의 눈은 일반폰을 벗어나지 못했다,

SKT는 HTC의 ‘터치듀얼’과 삼성전자의 3종(SCH-M620, SCH-M470, SCH-M480)을 중심으로 스마트폰단말을 내놓았으나 신규 가입자는 5만명 미만으로 알려져 있다. 하반기에 발표한 전략폰 'T옴니아'도 일 개통 1000대 정도로 누적 가입자 만명 정도로 알려져 있다. KTF 역시 기가바이트의 ‘GB-P100’을 비롯해 ‘울트라메시징Ⅱ(SPH-M4800)’를 선보였지만 신규 가입자 규모는 미미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스마트폰 총사용자는 약 40만명 정도로 알려져 있어, 가파른 성장을 하고 있는 해외의 경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미비한 수준이다.(실제 스마트폰 판매량에 대한 수치는 조사기관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위 소개 수치는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바를 적은 것이니 숫자 자체에 대한 Source는 밝힐 수 없으며,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


2. Global 스마트폰 시장 전망도 '어두움'

대부분의 애널리스트들 보고서들이 항상 스마트폰의 시장 전망을 '장미빛'으로만 그리는 것으로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모든 보고서가 그러는 것은 아니다. 미래에셋증권의 한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Global 수요를 2008~2010년 각 1.55억대, 2.0억대, 2.62억대로 전망하고, 동 기간 전체 핸드셋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수량)은 각 12.6%, 15.7%, 19.3%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다.

노키아의 스마트폰 M/S가 향후 3년간 39% 수준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노키아를 제외한 스마트폰 수요는 2008년 95백만대에서 2009년에는 1.2억대로 예상되어 사실상 스마트폰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크다고 보긴 힘들다는 결론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미래에셋 뿐만 아니라 Gartner를 비롯해서 얼마전까지도 스마트폰의 승승장구를 예언했던 리서치 기관들이 스마트폰의 성장은 계속 될 것이지만, 원래 예상했던 것보다는 성장 속도가 더딜 것(Smartphone Sales Slowing Down)으로 예측을 수정하고 있다. 항상 장미빛 보고서는 강조되고, 현실이 반영되어 수정되는 보고서에 대한 관심은 떨어지는 것일 뿐...


3. 해외 스마트폰은 단말사가 리딩

Global 스마트폰 시장은 Nokia, RIM, Apple 등이 리드하고 있다. 위 3개사의 공통점은 단말사이면서 이통사에게 디바이스만 납품하는 수동적인 태도를 벗어나 서비스, 플랫폼, 오픈 마켓 등을 함께 제공하고,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컨텐츠를 주도적으로 소싱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OS 플랫폼과 모바일 브라우저 전쟁의 중심에 있으며, 소비자가 원하는 SW를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는 개방형 단말이라는 점을 중심으로 보면 위 3사가 스마트폰 시장을 리드하는 원인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불행히도 국내의 주도적인 단말사인 삼성전자, LG 전자, 팬택 계열, KTFT 등이 가지고 있는 역량을 보면 이러한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할만 한 회사가 있는지 궁금해진다. 스마트폰이 오픈 마켓을 중심으로 하는 Global한 시장을 형성한다고는 하지만, 단말 AS, Local Trend, Local Application, 이통사 연계 서비스 등 핵심이 되는 것은 결국 Local 안에서 찾아야 하는데 불행히도 이러한 관점에서 국내 스마트폰의 미래는 즐겁지가 않다.

오픈 마켓에서 내려받을 수 있는 SW는 컨텐츠나 서비스 보다는 Application 주도형이며, 일부 존재하는 서비스들도 국내에서 보기엔 얼리어댑터 위주의 서비스가 대부분이다. Consumer들의 Request는 일반 유저보다는 얼리어댑터적인 성향이 더 높은게 사실이다. 풀브라우징만으로 스마트폰이 PC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일까?
2008/12/23 21:20 2008/12/23 21:20
임준섭

역시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잘 읽고 갑니다~ :)

mobizen

네... 의견도 주시고, 잘 활용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뽐뿌맨

전 세계 경제가 슬로잉 다운이라... ^^
그래도 지르는 사람은 지르더라구요

mobizen

네.. 가장 큰 원인은 세계 경제 상황이겠죠~ 그 외의 원인에 대해서는 #2에서 설명드릴 계획입니다.

daremighty

문제는 스마트 폰의 용도인것 같습니다. 이게 mobile data 통신용 단말인지, PDA인지 아직도 concept이 불명확해요. 들여다가 파는 이통사들도 제대로 방향성 못잡은것 같고... 옛날의 PDA 시장 전망 기억해보면, 결국 PDA 개념으로는 답 안나올것 같고, mobile data 통신이 뜨기 전에는 어렵지 않나 싶은데, 그건, 사실 핸드폰 만이 아니고 이통사 서비스가 제대로 받쳐줘야 되는 것 같습니다만, 현 시점에서 이통사들 하는 걸로는 쉽지 않아보이네요...

mobizen

절대 공감입니다. 쉽진 않아보이지만 어떻게든 만들어봐야죠~

코원IM

국내 단말사의 역량부족과 해외 단말의 한계에 대해 쓰신 글 잘 봤습니다. 다음 글은 이통사에 관한 글이겠지요? ^^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mobizen

ㅎㅎ 방금 #2 올렸습니다. 예상과 크게 다르지 않으실 겁니다. ^^

reserve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mobizen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싱크푸시

훌륭한 자료 입니다 .

mobizen

감사합니다. ^^

김성진

저는 제품디자인을 공부하고 있는 고대 디자인과 학생입니다.
좋은 참고가 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jisu

thanks for it!

지나가는이

결국 이 포스팅은 틀리고 있음이 증명되네요. 2010년부터는 서비스 위주로 재편될 예정입니다.

s

이 자료 활용해도 되나요??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요근래 플랫폼이 이슈가 자주되고 있고, mobizen 또한 관심이 많은 터라 플랫폼에 대한 언급을 자주 하고 있다. 얼마전 외부강의를 한 적이 있는데, 그 쪽 담당자가 나에게 어떤 회사에 근무하냐고 물어보더니
"저는 하도 플랫폼 이야기를 자주 하시길래 서버 관련 업무를 하시는 줄 알았어요."
라고 하는 것 아닌가?
 
처음에는 무슨 말인지 몰라서 멈칫 했는데, 조금 더 생각해보니 강연을 요청한 업체에서 주업무로 하는게 서버쪽 업무이고, 그러다보니 서버 플랫폼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해서 SI 업계의 서버 플랫폼과 혼동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IT 업계가 새로운 단어가 계속 생기기도 하고, 원래 의미와 변형이 되는 경우도 많고, 각 도메인에 따라 동일한 단어가 다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 간혹 이런 오해를 낳곤 한다. 요즘 다른 블로그에서도 모바일 플랫폼 이야기를 많이 언급하는 것 같아 이번 기회에 기본적인 정의를 해보고자 한다.

예전에는 모바일 플랫폼은 정확하게는 Middleware Platform에서 Middleware를 생략하고 이야기하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Winodws Mobile을 위시하여 안드로이드나 iPhone 등에서 사용되는 것이 기술적으로 'Middleware Platform' 이라고 불릴 수 있는 것인지 다소 혼동스럽다. 언론 매체에서도 대부분 위의 기술들을 소개할 때 제목에는 '플랫폼'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다가, 본문에서는 OS와 비슷한 것이라고 소개된 것을 종종 보게 된다. 이러한 기술적인 단어의 배경을 이해하려면 일반폰(Normal Phone 또는 Simple Phone이라고 불림)과 스마트폰의 구조적인 차이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스마트폰이 요즘과 같이 비약적인 발전을 하기 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일반폰만을 중심으로 움직였다. 이 일반폰위에서 움직이는 다양한 Middleware Platform등이 탄생하였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Java VM이나 BREW, WIPI, Mocha, 인피니온 등이 있다. 아래는 WIPI의 개념적 구조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부분의 Middleware Platform은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이중에서 2가지 Layer가 중요하다. '단말기 기본 S/W'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 기능과 OS를 말한다. HAL은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 API로, 하단의 단말기 기본 S/W와 위의 Middleware platfrom(위 그림에서는 WIPI)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OS를 RTOS라고 하며, CDMA에서는 REX, GSM에서는 뉴클리어, kadak등이 사용되고 있다.

예전 Windows 3.1이 우리의 PC를 뛰어다닐 때, Windows 3.1이 OS냐 아니냐에 대한 학술적인 접근이 많았다. 그럴 때 주로 이야기 되었던게 OS의 필수 3요소인데, 그것은 바로 메모리 관리, Thread 관리, 파일시스템 지원 이다. 이러한 OS의 3대 요소 중에 Middleware Platform이 하는 것은 없다. '단말기 기본 S/W'안에 있는 RTOS가 모두 이러한 일을 담당하고 Middleware Platform은 HAL을 통해서 OS의 API를 접근할 뿐이다.

그렇다! Middleware Platform과 Mobile OS는 다르다. 적어도 일반폰(Normal Phone)에서는..


하지만, 이러한 공식이 스마트폰으로 오면 상황이 달라진다.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멀티 태스킹을 지원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작업을 해야 하는데 현재의 RTOS로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다 보니 PC의 운영체제들을 아키텍쳐는 유지하고 커널을 바꾸는 것을 기본으로 모바일에 최적화를 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노력들로 MS는 Windows Mobile을, 애플은 아이폰을, LiMO을 Linux를 이용해서 플랫폼을 개발하고 제품에 상용화 하였다. 아래는 'Linux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 동향 #1'에서 소개했던 LiMo 플랫폼의 구조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Linux Kernel이 직접 H/W를 접근 제어를 하고 있다. HAL도 필요가 없다. 'Middleware Platform'에서 'Middleware'가 아닌 'Platform'의 구조인 것이다. Linux나 Windows 그 자체가 OS이며 메모리, 쓰레드, 파일시스템관리를 모두 지원하는 것이다. 현재 개방형의 흐름을 타고 개발되는 모든 플랫폼은 스마트폰을 타겟으로 하고 있으며, 위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정리를 해보자면,

스마트폰에서의 Platform은 OS 이다.


기술적인 관점에서 이야기하자면 이렇게 간단하다. 요즘 언론에서 언급되는 대부분의 플랫폼은 후자에 해당하므로 굳이 플랫폼이라는 단어 대신에 OS라는 단어를 써도 무방하다. 한데, 사람의 버릇이라는게 쉽사리 바뀌지 않는다. Normal 폰 때부터 불러왔던 'Platform'이라는 단어가 쉽사리 'OS'로 바뀌지가 않는다. 게다가 요 근래의 'Platform'은 OS만 제공하지 않는다. 그 위에 다양한 Interface와 Component, Drawing Engine, Application SDK 등을 같이 제공을 하다 보니 OS로만 부르기에는 부족하게 느껴진다.

이런저런 이유로 모바일에서는 Mobile OS라는 단어보다는 Mobile Platform이라는 단어가 일반적이 되고 있고 바뀌지는 않을 것 같다. 뭐라고 불리운들 어떠하리, 시장의 흐름에 따라 준비를 하고 BM을 찾는 것이 중요하겠지...
2008/08/21 13:51 2008/08/21 13:51
노아

스마트폰에서든 노말폰에서든 플랫폼과 OS는 구분된다고 생각하구요.
LiMO와 안드로이드는 둘 다 리눅스 OS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LiMO와 안드로이드를 OS라고 하지 않고 플랫폼이라고 하지요.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를 리눅스 OS가 아닌 WinCE나 REX위에 동작하도록 구글이 릴리즈 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플랫폼이 동작하는 OS가 고정될 수 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요.

mobizen

노아님.. 리플 감사합니다. ^^

첫번째 부분은 이미 저도 본문에서 언급한 부분이고..

두번째 부분은 전 생각이 좀 다릅니다. 안드로이드 자체가 Linux OS와 GTK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그 상위 API를 다른 OS 기반으로 바꾼다는건 현실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보여지네요. 그런 개념이라면 사실 OS도 Core 커널 위에 많은 레이어가 있는데요. XP위에 Ubuntu가 돌 수도 있겠죠. 기술적인 개념과 현실의 차이는 분명히 있다고 보여집니다. 어쩌면 구분을 위한 구분이 되어버리죠.

노아님께서는 LiMo를 OS라고 하지 않는다고 하셨죠? 과연 그럴까요?
아래는 LiMo의 홈페이지(http://www.limofoundation.org/) 메인 페이지에 있는 내용입니다.

<LiMo Foundation은 모발일 장치를 위한 최초의 진정한 개방형의, 하드웨어로부터 독립적인, 리눅스 기반 운영 체제를 만드는 데 헌신하는 업계 컨소시엄입니다>

LiMo 스스로도 운영체제를 만들기 위한 공동체라고 스스로를 정의하고 있답니다.

노아

음. OS를 어디까지 생각하느냐의 차이 같은데요.
안드로이드는 이렇게 정의하는 군요.

Android is a software stack for mobile devices that includes an operating system, middleware and key applications. This beta version of the Android SDK provides the tools and APIs necessary to begin developing applications on the Android platform using the Java programming language.

저는 OS를 리눅스던 윈도우던지 간에 커널 레벨과 커널을 동작시킬 수 있는 system call이나 system API로 생각합니다.
LiMO도 리눅스 커널 위에서 동작하고 안드로이도 리눅스 커널 위에서 동작하지요. 안드로이드는 OS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스택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LiMO의 PDF를 잠시 보니까 Middleware OS라는 말을 쓰네요. LiMO 진영은 OS의 의미를 넓게 보는 것 같습니다.
(http://www.limofoundation.org/images/stories/pdf/limo%20foundation%20overview%20-%20may08-ext.pdf)

리눅스 커널을 사용하는 LiMO나 안드로이드를 OS라고 칭하면 하부에 존재하는 리눅스 커널은 어떻게 불러야 할까요? 리눅스 커널이 OS인데요. 저는 이런 관점에서 LiMO나 안드로이드는 리눅스 기반의 플랫폼이라고 부르고 싶네요.

이렇게 용어의 일치를 보기가 어려우니 많은 사람들이 플랫폼과 OS를 혼용하는 것 같기도 하구요. --;

mobizen

네.. 노아님 말씀이 맞습니다. 관점의 차이이기도 하고 범위의 문제이기도 하죠. ^^

괜찮으시다면 한번 더 제 의견을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사실은 노아님의 생각이나 제 생각이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어느 정도가 더 일반적이냐가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OS가 커널과 System Call 이라고 생각하시고 리눅스 커널을 뭐라고 불러야 할까를 말씀 하셨는데요. 리눅스 커널은 '커널'이라고 부르면 됩니다. ^^

제 말씀은 굳이 '커널'이라는 단어가 있는 것은 '커널'이 OS의 전부가 아니고 OS의 한 부분이기 떄문이라는 것입니다. Linux는 공개 소프트 웨어이고 커널 위에 사실 다양한 엔진들이 같이 올라가서 OS를 형성합니다. 노아님의 의견은 사실 Linux라는 한 제품만을 가지고 이야기하면 맞는 말 같지만 하나의 회사에서 폐쇄적인 개발을 하는 일반 OS에서는 현실성이 떨어집니다.

MS-DOS에서도 'COMMAND.COM'은 OS의 한 부분으로 구분을 하지요. Windows Mobile이라고 이야기 하면 모든 유틸리티를 포함을 합니다. 아이폰의 맥 OS X의 경우도 그렇지 않을까요?

관점의 차이는 맞습니다만, 좀더 General 한 방향으로 접근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게 제 소견입니다.

리플 주셔서 감사합니다. ^^

penta7

제가 궁금했던 부분에 대한 토론이 정확히 있어서 기쁘네요...

제 생각에는 이렇게 부르면 어떨까 생각됩니다.
안드로이드 solution = 안드로이드 platform + 리눅스 OS
(부르는 이름이 하나 더 생겨서 복잡할까요?? ^^)

그리고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 다른 RT OS 로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가능해야만... 잘 만든 플랫폼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하지만 안드로이드가 open source /개방형 을 표명하고 있는 한 현재로써는 안드로이드 솔루션으로는 Linux 와의 궁합이 가장 맞지 않나 생각합니다.

p.s. 실은 플랫폼이라는데... Rex 위에 하나 만들어서는 못올리나? 라고 아침에 생각해서 자료 찾아 보고... 현재까지의 제 결론입니다. " 가능은 하겠지만... 안드로이드가 표방하는 이념에 대해서 의미는 없겠구나.. "

mobizen

네.. 기술적인 접근으로야 모두 가능하죠. 말씀 하셨다시피 사업적인 의미가 있는지가 관건일 것 같네요. ㅎㅎ

우기태

이런 개념의 차이를 들어보는 것도 참 재미있고, 저도 한번 개념정리를 하는 계기가 되네요...
개념이야 항상 가변하는 것이고, 이런 가변 언어들은 광의의 개념과 협의의 개념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IT용어는 기술 변화 속도에 대응하여 변하는 것 같구요.

패킷, 프레임, 변조, 네크워크, 시스템, 등등.... ... 이라는 단어도 세부 종사자마다 조금은 다른 의미를 부여하지 않을까 합니다. 언급해주신 것과 같이 좀더 General 한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점 좋은 말씀이네요~

그런의미에서 제가 갖는 임베드디 단말분야에서의 OS와 플랫폼의 의미에 대해 적어보자하며 개인적인 생각으로 보시면 될 듯합니다. 저는 소외된 H/W에 대한 부분을 플랫폼의 개념에서 커버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OS는 수직적인 소프트웨어의 스택 구조들이며, 플랫폼을 구성하는 여러 LAYER중에서 독립적인 하나의 계층으로 생각합니다.

플랫폼의 정의에 있어서는 다소 다를 듯 한데... 저는 플랫폼을 "H/W 플랫폼 + S/W 플랫폼 + 알파"라고 다소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해 봅니다. 그리고 플랫폼을 OS보다 넓은 의미로 보고 있구요...

RTOS, HLOS별 플랫폼을 비교하자면... HLOS기반의 플랫폼이 RTOS 기반의 플랫폼 보다 더 많은 LAYER층으로 구성될 거라 생각하며, OS자체에 있어서는 HLOS의 커버리지가 RTOS의 커버리지보다 넓다고 보입니다. HLOS는 단순한 미들웨어 이슈가 아닌 S/W와 어플까지의 통합 개념이라 볼 수도 있으므로....
통일된 LAYER의 구분은 없으나, 작게는 4계층(H/W, OS, M/W, APP) 넓게는 (H/W, Driver, OS, M/W, Software, APP)정도로 쪼개 봤습니다.

왜 플랫폼을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했는지에 대해 물어보신다면.."플랫폼"의 가장 제너럴한 목표가 재사용성 증가 및 보편화의 추구란 점이 아닐까란 점 때문이며, 이는 어느 부분이 공통적으로 중요한 것인지를 생각해보게 합니다. 즉 최적의 소프트웨어를 스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H/W의 고려 또한 중요한 부분으로 보이며 이 또한 보편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구글 안드로이드라는 HLOS를 ARM에 포팅한다고 해보죠.. 달빅 커널도 중요하고 자바 버추얼 머신도 중요하지만... ARM9, ARM11, ARM COTEX 중 어떤 ARM에 포팅하는냐도 중요할 거라 생각하며, 플랫폼이라 하면 이런 부분에 대한 프로토콜들을 범위를 미리 설정하고 추상적인 구조를 정의해 놓아야 하는 것이 아닌가 힙니다.

기술적 BASE가 다소 부족하다 보니... 엉뚱하게 들리시더라도 이해를 ...

mobizen

제가 지금까지 플랫폼을 너무 S/W와 미디어적인 측면으로만 보고 있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맞습니다. 일반 PC환경과 달리 모바일에서는 하드웨어도 플랫폼에 큰 축에 들지요. CPU, GPU, A-GPS 등 다양한 요소들이 플랫폼의 한 축을 담당하는 것 같습니다. 좋은 리플 감사드립니다.

가이아

개념적으로 사람으로 치자면, 사람 그 자체(생물적)는 OS, 사람이 나타내는 성격,특성,능력 등등이 플랫폼이 아닐까요, 모바일 에서는 os가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iPhon OS가 대표적,노키아 심비안)가 많으니
구분이 모호해지는 경향이 강해지는 특성이 있으니..

adward

한 10번 읽었는데...국어공부부터 다시했으면 하네요...
아래 부분...정말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
=====================================

대부분의 Middleware Platform은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이중에서 2가지 Layer가 중요하다. '단말기 기본 S/W'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 기능과 OS를 말한다. HAL은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 API로, 하단의 단말기 기본 S/W와 위의 Middleware platfrom(위 그림에서는 WIPI)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OS를 RTOS라고 하며, CDMA에서는 REX, GSM에서는 뉴클리어, kadak등이 사용되고 있다.

예전 Windows 3.1이 우리의 PC를 뛰어다닐 때, Windows 3.1이 OS냐 아니냐에 대한 학술적인 접근이 많았다. 그럴 때 주로 이야기 되었던게 OS의 필수 3요소인데, 그것은 바로 메모리 관리, Thread 관리, 파일시스템 지원 이다. 이러한 OS의 3대 요소 중에 Middleware Platform이 하는 것은 없다. '단말기 기본 S/W'안에 있는 RTOS가 모두 이러한 일을 담당하고 Middleware Platform은 HAL을 통해서 OS의 API를 접근할 뿐이다.

그렇다! Middleware Platform과 Mobile OS는 다르다. 적어도 일반폰(Normal Phone)에서는..


하지만, 이러한 공식이 스마트폰으로 오면 상황이 달라진다.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멀티 태스킹을 지원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작업을 해야 하는데 현재의 RTOS로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다 보니 PC의 운영체제들을 아키텍쳐는 유지하고 커널을 바꾸는 것을 기본으로 모바일에 최적화를 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노력들로 MS는 Windows Mobile을, 애플은 아이폰을, LiMO을 Linux를 이용해서 플랫폼을 개발하고 제품에 상용화 하였다. 아래는 'Linux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 동향 #1'에서 소개했던 LiMo 플랫폼의 구조이다.

진눈깨비

두개 층이 중요하다.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는,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해 주는 기본 기능인 통신기능과 OS 를 말한다.
여기에서 OS 를 RTOS 라고 하며 CDMA 는 REX, GSM 은 뉴클리어, kadak 등을 쓴다.

HAL-Handset Adaption layer 는 여러 기능을 제공하는 API 로 아래쪽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와 위의 미들웨어 플랫폼(WIPI)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윈도 3.1 이 OS 냐 아니냐 에 대한 학술적 접근이 많았다. 주로 이야기 되었던 게 OS 필수 3요소로 메모리 관리, 쓰레드 관리, 파일 시스템 지원 이다. 미들웨어 플랫폼은 이러한 관리를 하지 않는다.
미들웨어 플랫폼은 HAL 을 통해 OS 의 API 에 접근할 뿐이다.

따라서 미들웨어 플랫폼과 모바일 OS 는 다르다. 적어도 일반 폰 에서는.

하지만 이러한 공식이 스마트폰으로 오면 상황이 달라진다.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멀티태스킹을 지원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작업을 해야 하는데 현재 RTOS 로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다 보니 PC 운영체제를 아키텍처는 유지하고 커널을 바꿔, 모바일에 최적화 하기 시작하였다.
--------------------------
저도 이해하기 어려워서 정리를 해 봤습니다.
(모비젠님께서 불쾌하시다면 삭제하시거나 비밀글로 바꾸셔도 됩니다)

Bae

저 궁금해서 그런데,

만약 애플이 아이폰에

WIPI를 탑재하게 되면

MAC OS를 포기해야 하는건가요?

좀 헷갈리는게

위피가 무선인터넷 접속부분에서 관여하는 것이라(플랫폼?)

아이폰에서 그것을 탑재 할 경우

MAC과 WIPI와의 호환성이 문제라고 이해하고 있었거든요.

답변 부탁드릴께요. ㅎㅎㅎ

bluewinz

Mac OS 위에 WIPI를 시물래이션 시킬 수 있겠죠.
쉽게 생각해서, 윈도우 개발환경에서의 위피 에물래이터도 있잖아요?

Mac OS를 포기해야 한다는 것이 어떤 이야기인지 좀 이해가 안가구요. WIPI 탑재해서 WIPI 개발을 하게 되는 경우 Mac OS API 사용/접근을 포기한다는 얘기이신가요?
그렇다면 이건 정해진 답이 없는거 같습니다. SW는 주무르기 나름이니, 그렇게 만들수도 있고 안 그럴수도 있구 하니까요. ^^

제가 20여년 전에 MSX 컴을 처음 접하게 되었는데, 이후 IBM-PC로 넘어오면서 DOS을 알게 되었구요. OS 의미가 시스템 운영하는 것이잖아요? 그러다 보니 하드웨어쪽 처리 하는 부분을 커널이라고 하고요. 요즘 OS들은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여러 어플 관리를 하다보니 쓰레드 처리도 해야하고 등등 해서 구분이 애매모호 하거나 플랫폼과 OS의 구분에서 겹치는 부분들이 있는거 같네요.

WHYC

제 생각은 전적으로 노아님 의견에 동의 합니다.
커널이 OS 의 일부분이라기 보단 OS 의 핵심적 요소로 보셔야 합니다.
본문에서 언급하셨던 OS의 필수요소 메모리 관리, Thread 관리, 파일시스템 지원 을 바로 커널이 담당하기 때문에 OS = 커널 이라 봐도 크게 무리가 없습니다.
플랫폼과는 구분 지어지는게 당연하다고 생각됩니다.

간단히 예를들어
물론 OS => 커널 + 플랫폼
커널 + 플랫폼 => OS 둘을 바꿔말해도 부자연스럽지 않습니다만.

현재처럼 애매모호한 기준을 적용해도 OS => 플랫폼 은 될수있어도
플랫폼 => OS는 성립이 되지 않습니다.
역이 성립해야 명제는 참이 될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구분해서 생각해야 합니다.

드라이버

설명이 비교적 잘 되어 있는데, OS의 역활에서 원래의 4대요소 가운데 하나인 입출력장치 관리가 빠져있네요. 각종 다양한 입출력 장치를 연결해주는 장치드라이버와 관련되어 있는 부분일텐데... 그러나, 모바일을 말하는 것이니까 이미 완성형으로 맞춰서 나오는 제품이라 그런가, 본문에서는 장치관리 부분은 일부러 누락 시키신 듯??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아이폰때문인가? 터치폰에 대한 영향때문인가? 언론에서 스마트폰에 대해서 언급하는 횟수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폰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스마트폰의 사촌형뻘 되는 PDA폰이 있다. 기술적으로 이들은 쌍둥이처럼 닮아있으며 대부분의 쇼핑몰내의 카테고리에서도 이들은 동일시된다. 심지어 기술자료에서도 이들을 혼용해서 쓰고 있다. 엄격하게 이야기하면 이들은 출발선은 달랐지만 지금은 비슷해져 있는 디바이스들이다. 때론 원론적인 이야기도 필요한 듯 하여 이들 둘의 차이점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물론, 시장을 보는 눈이나 기술적으로 이들 둘을 구분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DA폰은 PDA에다가 폰 모듈(국내에서는 CDMA 모듈이라고도 한다.)을 장착한 것이다. PDA의 발전으로 인해 외부확장이 다양해지고 있으나 LCD크기가 크고 본체는 두꺼운 편이다. 폰 모듈을 장착한 것이기 때문에 폰 모듈을 교체하면 통신사 이동이 가능하다. 하지만, PDA폰의 폰모듈이 착탈식이 아니라 내장형인 경우가 많아서 현실과 괴리감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국내의 경우 KT PDA폰의 경우 넷스팟을 지원하여 무선 인터넷을 즐길 수 있으며, 요 근래 디바이스들은 WiFI도 지원하여 네트워크 연결하는 방법이 다양하다. 스마트폰에 비해서 통신사에 독립적인데 어플리케이션이나 내장 서비스등이 그점의 영향을 받는다. 네비게이션이 내장되어 있는 모델도 있는 등 다소 자유스러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지만 특정 이통사의 플랫폼이나 멀티미디어 코덱등은 지원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메모리 관리가 어렵고 복잡하고 배터리 소모가 빠른 것 등을 단점으로 들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은 핸드폰 제조사들이 고급 타겟이나 비즈니스 타겟을 위하여 일반폰에서 발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출발이 일반 핸드폰이다 보니 외부 확장은 제한적이고 크기도 PDA폰에 비해 작고 얇은 편이다. 통신사에 종속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통신사 이동이 대부분 불가능하고 WiFI 지원도 최근에서야 늘어나고 있다. PDA폰에서 일반적이었던 터치 입력기술이 스마트폰에서는 이제야 좀 정착이 되는 듯 하다.

네비게이션과 같은 어플리케이션도 지원하지 않는게 대부분이다. 노키아의 일부 스마트폰 중에 노키아가 개발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정도이다. 통신사 전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VM을 다운 받거나 동영상 플레이를 할 수 있다. PDA폰에 비해 메모리나 배터리는 우월하나 한국어 어플리케이션이 부족한게 단점이다. 다행히도 블랙잭의 경우는 이러한 단점들이 많이 해소되는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플리케이션 측면에서 가장 재미난 비교는 역시 "풀브라우저"이다. PDA폰은 대부분 IE를 내장하고 있고 CDMA 모듈을 모뎀과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PC에서 모뎀을 장착하여 ISP를 거쳐서 인터넷에 접속한 후 IE를 쓰면 되듯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접속한 후에 네이버나 다음에 접속하는 것은 예전부터 당연하게 여겨져 왔다. 하지만 스마트폰은 핸드폰에서 출발하다 보니 이통사 눈치상 외부 인터넷 접속에 눈치를 보고 있다. 이제와서 "풀브라우저"란 이름으로 외부 인터넷을 PC처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새로운 것 처럼 이야기 하지만 PDA폰의 입장에서는 정말 새삼스러운 이야기이다. 이러한 차이는 태생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사실 PDA폰과 스마트폰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기술적인 관점보다는 Value Chain에 있다. 바로 '제조사'의 문제이다. PDA폰은 PDA에서 출발했으므로 핸드폰 벤더가 아닌 PDA 전문 개발사에서 만드는 경우가 많고 스마트폰은 핸드폰에서 출발했으므로 핸드폰 업체가 많다. 물론 이 또한 Dell이 PDA 사업을 접고, Palm에서 스마트폰을 생산하는 등 상황이 다소 복잡해지긴 했으나 근본적으로는 업체가 다르다. 이 때문에 스마트폰은 이통사와 더 친밀한 관계에 의해 마케팅을 하거나 보조금 지원등이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되고 있다. 실상 위의 표가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는 폰벤더가 만든 PDA폰이나, PDA 전문업체가 만든 스마트폰일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문제는 그 경우의 수가 많다는 것이다.

시장 자체는 PDA폰은 하락세이고 스마트폰이 대세라고 할 수 있다. 2개의 경계가 모호할 시대에서 이통사 친화적인 단말이 살아남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냥.... 원론적으로 그렇다는 것이다. 관심있는 분들만 참고하시기를..
2008/04/01 17:47 2008/04/01 17:47
돌고래

글을 읽다보니 궁금한게 있어서요...
우리나라는 핸드폰으로 무선인터넷을 하려면 위피를 의무적으로 탑재해야 한다고 알고있습니다. 작년엔가 KTF가 위피없는 폰을 만들기도 했지만..여전히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PDA폰이나 스마트폰은 위피 탑재 의무가 없는건가요? 규제를 한다면 어떤 기준으로 무엇을 규제하는 것인가요?
또, 소위 구글폰이나 아이폰이 한국에서 서비스를 한다면-하려면 역시 위피를 탑재해야 하는 건가요?
무식한 질문입니다만...좀 애매한것 같아서요..
늘 좋은 글 감사합니다...

mobizen

2007년 3월 30일 제99차 정보통신정책심의위원회에 따르면 무선인터넷에 접근하지 않는 핸드폰의 경우에는 위피를 탑재하지 않아도 됩니다. 작년에 KTF가 만든 위피없는 폰은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이 없어서 가능한 거였습니다.

구글폰이나 아이폰이 무선인터넷에 접속을 하지 않으면 위피를 탑재하지 않아도 됩니다만, 현실적으로 BM이 없어지는 폰은 국내에 내놓을 이유가 없으므로 위피가 커다란 진입장벽인 것은 사실입니다.

예전 아이폰이 처음 나왔었고 뜬금없는(!!!)루머 덕분에 KTF가 아이폰에 관심있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요, 이때 SKT 담당자 입에서 KTF가 아이폰 도입하면 위피로 딴지놓으면 된다는 소리를 하곤 했습니다.

lesmin

좋은 글 감사합니다. 근본적인 위와 같은 구분 기준 이외에도 Microsoft의 경우, Windows Mobile 5.0 PocketPC Edition과 Smartphone Edition을 구분하고 있는데, 의외로 터치액정/UI을 쓰느냐 안쓰느냐 등을 구분기준으로 사용하기도 하더군요. Windows Mobile 6에서도 위와 같은 구분이 여전히 존재합니다만 Windows 7부터는 모두 통합될지도 모르겠습니다.

mobizen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부분은 맞습니다. 저도 그 부분을 넣을까 하다가 빼버렸는데.. 메모리 부분하고도 연관이 되고 해서요..

지금 생각해보니 넣는게 나을 뻔 했네요.. ㅎㅎ

고 성 준

스마트폰이면 PC에서 보던 동영상을 그대로 옮겨와서 볼수가 있나요?
핸드폰으로 볼려면 변환해서 봤어야 했잖아요? 시간도 오래걸리고~

mobizen

스마트폰의 플랫폼에 따라 다르겠지만 가장 일반적인 Windows Mobile을 사용하는 경우 CorePlayer로 하면 일단 플레이는 됩니다. 하지만, PC의 AVI를 낮은 CPU에서 플레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으합니다. 처리 속도 문제때문에 화면 끊김이 심할 겁니다. 결국은 인코딩을 해야 매끄러운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국내 스마트폰의 활성화는 글쎄.." 에서도 비슷한 언급을 했지만 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빠르게 성장을 하고 있다. 지난 번과 비슷하지만 시장 조사 기관 iSuppli에서 2008년 3월에 발표한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추이 및 전망 자료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다면 이러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이 지역색을 띄지 않고 비슷한 양상을 가지고 있을까? 그렇지가 못하다. 유럽은 노키아의 영향을 받아 심비안 기반의 스마트폰가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으며, 일본과 중국이 중심이 되는 아시아권에서는 Linux와 Symbian이 주도권 싸움을 하고 있으며, 북미권은 현재 혼전 양상이다. 아래는 GigaOm의 자료를 기준으로 재구성해본 자료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른 지역의 OS 점유율 추이는 큰 변동없이 흘러가고 있으나 북미권의 시장 점유율 변화는 정신이 없을 정도이다. 2006년 말까지만 해도 MS가 선두에 있고 블랙베리를 기반으로한 RIM이 바짝 뒤를 쫓는 형태였다. 하지만, iPhone의 등장으로 인해 MS사의 시장 일부분을 잠식해버렸고, ACCESS 사의 ALP가 오렌지향으로 계약이 되면서 새로운 다크호스로 등장하면서 2007년 전반기에 위의 도표에서 보여주는 결과를 만들었다. 그러던 것이 2007년 말에는 Apple사의 제품의 점유율이 MS사를 넘기는 기염을 보였다. 아래는 Canalys에서 발표한 2007년 4분기 북미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현황표이다. iPhone 하나의 모델 가지고, 많은 모델에 포팅이 되어 있는 MS 보다 많은 점유율을 보여주고 있다라는 것은 그만큼 파급 효과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이폰에 영향을 덜 받는 다른 지역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상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듯 각 지역별로 굉장히 꾸렷한 스마트폰에 대한 성향을 보여주고 있다. 심지어 (주)미쯔비시종합연구소, 2007.05에 조사한 단말 선택시 고려사항을 보면 소프트웨어 성향에서 MS 제품이어야 한다는 것이 1위를 차지할만큼 MS사의 제품을 선호한다. 이는 작은 것을 선호하는 일본인의 특징상 일반인들은 Normal 폰을 선호하고, 스마트폰은 아직까지는 기업용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국내와는 유사하고 유럽쪽은 상이한 현상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본인들의 이러한 성향은 기업형 고객으로서 메일 체크나 Exchange Server를 통한 자료 교환의 중요성을 그대로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얼마전에 발표했던 iPhone SDK에서는 Active Sync를 지원하여 비MS 스마트폰 OS 중에서는 거의 최초로 이 기능을 지원해 주고 있는데, Apple 역시 이러한 기업형 고객성향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Linux 계열 OS가 아시아에서 넘어야 할 산이 바로 이러한 점이다.

위의 도표에서는 다른 재미난 점도 보여주고 있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역시 요금에 대한 고민인데, 기업이 시장을 이끌고 있는 일본 시장에서 요금에 대한 문제가 가장 먼저 언급된 것 역시 흥미로운 점이다. 반대로 생각하면 요금 문제만 해결이 되면 기업형 시장이 아닌 일반 시장으로 확대가 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USB 이용 가능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것은 그만큼 다양한 부가 장치를 사용하고 싶다라는 것을 뜻한다. 그것이 메모리 장치이던, 통신 장치이던... mobizen도 블랙잭에서 USB 형태의 Wibro 단말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강하게 희망하니깐 말이다.

혹시나 저 멀리 있는 안드로메다 행성에서 만든 플랫폼에 국내 스마트폰에 희망을 거는 이들이 있다면 이러한 성향을 이해하고 사용자들의  Needs를 채워주지 못한다면 결단코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풀브라우저나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로 스마트폰의 활성화를 꿈꾸고 거기에 비전을 두고 싶다면 국내보다는 유럽이나 북미쪽을 겨냥하는 것을 권한다.
2008/03/18 14:18 2008/03/18 14:18

휴대폰 과연 어디까지 발전 할까? 컴퓨터의 미래 모습은 어떠할까. 미래의 컴퓨터는 착용하고 있는 것일까, 가지고 다니는 것일까. 여러가지 의문을 스스로 던져 본다. 휴대폰의 미래 모습을 ..

알데바란

이전 자료 살펴보다가... 2007년도 예측에서는 2011년도 예상이 3억5천만대가 안되는군요.
실제 2011년 판매 대수는 4억9140만대.. 역시 예측은 어려운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