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아래는 Wireless intelligence 보고서와 국내 이동통신사 IR자료를 기반으로 가입자수 기준의 세계 Top 20 이동통신사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해 본 표이다. 거대 인구를 기반으로 한 China Mobile이 월등하게 앞서고 있으며, 그 뒤로 Global 사업에 성공한 Vodafone이 2위를 달리고 있다. China Unicom도 5위를 차지해 중국 시장이 모바일시장에서 왜 중요한지를 충분히 설명해 주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Top 20 이통사 중 몇개를 임의로 선정하여 주요 지표를 정리해서 그들을 비교해보자. 아래는 2008년 매출액을 기준으로 정리해 본 내용인데, 각 이통사마다 년회계 기준이 조금씩 차이가 있으므로 그 점을 유의해서 보도록 하자. 가입자수로는 13위인 AT&T가 매출액을 기준으로는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iPhone을 중심으로 하는 데이타매출과 고객 충성도가 이통사의 실적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증명하고 있으며, 규모의 경쟁에서 성공하고 있다. 가입자 기준 1위였던 China Mobile은 매출액에서 한참 뒤로 밀려나 있어 AT&T와 대조를 보이고 있다.

매출액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영업이익이 높지 않은 것도 흥미로운 점이다. China Mobile은 매출액 대비 높은 영업이익을 보여주어 알짜배기 장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Softbank의 경우에는 마케팅 비용이나 투자비용이 높아지면서 영업 이익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모습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입자수만큼이나 차이가 나는 것이 바로 종업원 수이다. 국내 이통사들의 종업원수와 해외의 이통사들을 비교하면 현저한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AT&T의 종업원수는 302,660명인데 비해, 국내 이통사들은 대부분 1/10 정도의 수준을 유지한다. 그렇다면, 종업원 1인당 매출액을 계산해 보면 어떠한 결과를 보일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까지 극히 낮은 수치를 보여왔던 국내 기업들이 전반적으로 질적인 우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특히, SKT의 수치는 월등한 수치를 보여준다. 짐작컨데, 국내 기업들의 이러한 수치는 국내 이통사들은 비정규 계약직의 의존도가 높고, 기업의 종업원수에서 비정규 계약직들은 포함이 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점을 고려한다고 해도 국내 이통사들이 해외 이통사들에 비해 질높은 사업을 운영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질적인 성장도 좋지만 이제는 Local Company를 벗어나 Global 전략을 성공시키는 것도 보여줘야할 시점이다. 최근, 각종 해외사업에서 실패하고, 얼마전 힐리오도 정리했던 SKT가 최근 카자흐스탄 3위 이동통신사인 NEO인수를 추진 중에 있다. 이번만큼은 지금까지 겪었던 시행착오를 통해 한단계 성숙한 결과를 보여주기 바란다. 또한, 단순한 국내 기업 하나가 진출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솔루션 사업자나 장비사업자, 컨텐츠 제공업체들이 해외로 시장을 넓힐 수 있는 교두보의 역할을 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2009/07/21 08:38 2009/07/21 08:38

세계 Top 20 이동통신사 가입자 현황 Via: 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China Mobile의 가입자가 4억명이 넘는단다. 1종업원당 매출에서는 국내 이통사들이 압도적이다.

cubix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는 통계인 것 같습니다.
차이나 모바일은 중국내에서 거의 독점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으니 당연한 결과로 보이고,
앞으로도 당분간은 가입자 수에서만큼은 경쟁자가 없어 보이네요
개인적으로 보다폰이 국내에 진출해줬으면 하지만, 마땅히 인수할만한 업체가 보이지 않는군요
언제나 잘 보고 갑니다^^

mobizen

언제나 좋은 포스팅을 해주시는 cubix님~ 리플 감사합니다. 차이나 모바일의 무서움은 지금은 양이지만, 언젠가는 서비스의 질도 무시못할 수준까지 올라올 듯 합니다. ^^

지나가다

질 높은 사업이라고 볼수도 있겠지만 저건 상식을 벗어난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겠네요

mobizen

ㅎㅎ 관점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니깐요, 말씀하시는 면도 분명히 존재하다고 생각합니다.

라이카마이신

저도 쿠키폰 쓰는데 개인적인 만족도가 높아요~ 중간에 잃어버렸는데 누가가져가서 벌써 2번째 쿠키폰이라져. ㅋ

좋은 자료 감사히 보았습니다.
모바일 계통에서 일하시는 분인가보네요.

mobizen

ㅎㅎ 제 트위터를 보시고 오셨나 보네요. 네~ 모바일 업계에서 근무하는 모바일쟁입니다. 리플 감사합니다.

학주니

역시나 차이나모바일.. 짱깨의 엄청난 인력군은 무시할 수 없군요..
국내 이통업체의 규모대비 효율성은 이미 증명된 바 되었지만 마켓이 글로벌이 아닌 로컬이라는 것이 아쉬울 뿐입니다.
또한 로컬에 한정지어서 효율성이 증명되었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을 듯 합니다.. -.-;

mobizen

맞습니다. 사실 그만큼 투자나 Risk를 안고가는 새로운 도전에 소극적이라는 뜻도 되죠. 지금은 조금 다르지만 얼마전까지 국내 이통사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Action 이었다고 생각도 드네요.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가디

"이점을 고려한다고 해도 국내 이통사들이 해외 이통사들에 비해 질높은 사업을 운영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어떤 면에서 질 높은 사업을 펼친다는 것인지 모르겠는데요.
직원 1인당 이익률이 높은 것이 질 높은 사업이라는 말씀이신가요?
보통 질 높은 사업이라고 말할 때는 그 회사의 수익률이 아닌 서비스 평가로 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mobizen

저는 좀 다르게 생각합니다.

가디님의 말씀하시는 서비스라는게 고객 서비스인지, SW 서비스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거시적으로야 모두 고객 서비스에 포함은 되겠지만. 그럴 포괄적인 단어의 접근은 다소 위험할 듯 하구요.

SW 서비스라면 사실 국내 이통사.. 못하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해외 이통사들과 비교해보면 몇몇 앞서가는 회사를 제외하고 상대적으로 뒤진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통사들은 어디서나 동네북이죠...

또한 이통사 입장에서 무조건 서비스 한답시고 나서는 것도 제 개인적으로는 별로 안 좋아합니다. 이통사 입장에서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Data Pipe나 그냥 Service Enabler로의 역할만 잘 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절대적인 평가로야 국내 이통사들은 어떻게던 욕 먹죠. 해외 이통사들 중 AT&T, O2, Vodafone 등과 같은 몇몇 선도적인 기업 말고 어느 기업이 그렇게 서비스를 잘하던가요? 전 개인적으로 요즘 NTT도 헤매는 것 같던데.. 솔직히..AT&T도 3S 전략이 어쩌고 저쩌고 전략을 그럴듯 하지만 아이폰 연관된 서비스 외에 잘한다고 느껴지지 않던데요~

가디

제 말의 의도는 1인당 매출액을 보여주시면서 그것이 전반적인 국내 기업들의 질적인 우위를 보여준다는 말이 이해가 안된다는 뜻이었습니다. 즉, '1인당 매출액 -> 기업의 질적 우위'라는 연역 과정이 이해가 안된다는 이야기고요.

간단히 말해서 국내 이통사가 어떤 점에서 질 높은 사업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는 말이었습니다.

mobizen

그렇군요. 문맥상 그다지 이해하기 어려운 구절은 아닌 것 같고 공감을 못하시는 것 같군요.

저는 '기업의 질적 우위'라고 표현한 적이 없습니다. 1인당 매출이 '질적 우위'에 있다고 했죠. 본문을 다시 보시죠.

가디

제가 문맥을 잘못 이해한거 같네요.

"이점을 고려한다고 해도 국내 이통사들이 해외 이통사들에 비해 질높은 사업을 운영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저는 위에 문장을 보고 말씀하시던 '질적 우위'가 '기업의 질적 우위'라고 생각어요.

ibrik

1인당 매출액 자체가 그 기업의 모든 효율성을 설명해 주기는 어려울 듯합니다. 기업의 효율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다양하니 말입니다. 따라서 1인당 매출액을 기업의 효율성 지표 자체로 평가하기보다는, 해당 기업 효율성의 한 부분을 이루는 '기업 내 노동력 사용효율성' 정도로 평가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해석이 아닐까 합니다.

나그네

회사입장에서서는 인당 매출이 높은걸 환영하는 바이겠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그냥 폭리를 취한다고 밖에 안보여지내요,

mobizen

ㅎㅎ 그런 해석도 가능하지요~

세어필

마지막 그래프는 왠지 우리나라 근로자가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ㅋ
뭐.. 그래도 확실히 효율이 압도적으로 높네요.

mobizen

우리 나라 개발자들이 고생을 하기는 하죠. 같은 그래프를 보면서 그런 면도 보시는 세어필님의 시각이 참 좋다는 생각이 드네요~

song

한국/외국기업의 1인당 매출액 차이가 지나친 것으로 보아, 사업 효율성이 좋다기 보단, 무언가 비정상적인 요인이 따로 있을 듯 합니다. 이를테면, 콜센터 및 각종 자회사의 존재 등.. 좋은 자료 잘 봤습니다.

mobizen

네. 분명히 제가 계산을 여러번 체크 했기 때문에 문제는 없으나 조건식에 허점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

우기태

정말 깔끔한 자료로 군더더기 없는게 참 좋네요.


그리구 뜨거운 Issue~~


머 재무재표상으로 인건비만 포함되는 건 아니지만
저런 비유... 전 참 재미있게 봤습니다.


200만 달러 ~
이정돈 해주는 센스 ㅎㅎ

mobizen

저 정도 벌어주는 기업이 많지 않죠~ ㅎㅎ

아주나비

DoCoMo와 SKT는 평균 연봉 차이가 별로 나지 않았던 걸로 기억하는데 수치대로라면 SKT 직원들이 착취당하거나 DoCoMo 직원들이 지나치게 많이 받아가는거겠네요 ㅎㅎ 암튼 Fortune 자료에서 1인당 매출액 구성을 좀 따져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국내 이통사들의 인력과 조직이 저토록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지에 대해선 좀 회의적이네요. mobizen님 글 잘 보고 있어요, 고맙습니다.

mobizen

아주나비님. 오래만이시네요. 역시 자극적인 그래프라 리플이 많이 달리네요..의도한 바는 아니지만 말이죠.

수치 계산은 오류가 없을 겁니다. 제가 몇번 확인을 한거라서.. 조건식에 문제는 있을 듯 합니다. 국내 이통사들의 종업원수가 상대적으로 노무 적더라구요.

부운

1인당 생산성은 기업의 질적 평가에 대한 중요한 평가가 맞습니다.
본문중에.. 비정규직 직원이야기가 나왔지만. .실제. 국내의 3개 이동통신사의 비정규직업무는 한정된 업무를 하고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은 인력이지요..

전체적으로 상대적인 비교를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쉽게 이해가 가는 자료네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mobizen

제가 본문에 비정규직은 언급한 것은 상대적으로 너무 작은 종업원수를 가진 국내 이통사들의 수치에 대한 짐작입니다. 해외 이통사들은 사무직이나 개발자 이외에, 네트워크 장비나 대리점 판매 사원등도 다 Count가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국내 이통사들도 직영 대리점도 상당하고..그 안에 있는 매니저들이야 정사원이겠지만, 대부분 계약직이잖아요. 네트워크 선로 하시는 분도 계시고..

그리고, AT&T와 같은 경우에는 사실 무선만 카운트된 것은 아니라서 분명 통계적인 허점은 있습니다. 하지만, 비교적(!) 정확한 데이터를 뽑아 보더라도 격차는 줄어들어도 국내 이통사들의 '1인당 생산성'이 월등한 것은 사실일 겁니다.

공룡사랑

<<이통사 주관식 수능문제>>
1. 세계에서 거의 꼴찌..의 한국의 이통사가 세계에서 1인당 생산성이 최고 ? 이유는
2. 세계에서 가장 로컬적인 한국의 이통사가 세계에서 수익률이 최고 ? 이유는
<<정답>>
1. 폐쇄적 독과점으로 인한 소비자/고객 지향 상품개발/서비스 아닌 고객 덤태기 쓰우는 전략
2. 폐쇄적 독과점 으로 인한 소비자/고객의 선택의 여지가 없는 폐쇄적 망구조로 울며 겨자먹기

mobizen

정답은 전부 공감~ 문제는 절반만 공감..

eothd

1인당 매출액은 어떠한 근거로 작성한걸까요? AT&T에는 무선외에도 무진장 많은 사업부서가 있습니다. 기타 회사들도 마찬가지이고요. 무선분야에만 근무하는 인원을 정확하게 IR에 기재하는 회사는 없는것 같습니다. 1인당 매출액의 근거는 좀 미약한것 같습니다.

mobizen

맞습니다. 정교한 데이터는 아닙니다. 지적해 주신 사항은 본문은 아니지만 위의 댓긇에서 이미 제가 언급했던 내용이구요..
SKT만해도 11번가나 토시등 무선과 다른 사업부문이 있으니 그러한 종업원 수도 빼야하고, 매출도 빼야죠. 의미없는 비교라고 볼 수도 있겠네요. ㅎㅎ

H군

주제가 이통사수익구조인 만큼, AT&T의 wireless 부분의 revenu인 49,335(백만$)만 사용한게 타당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24,028(백만$)은 무선, 유선, Yellowpage 매출액까지 합산된 AT&T 그룹 전체의 매출로 알고 있습니다. (Soure : '08 AT&T annual report)

mobizen

네. 맞는 말씀입니다. 정확한 데이타 산출이 되려면 말씀처럼 무선 매출을 기준으로 무선 인력을 나눠줘야 하겠죠. 문제는 무선만 전담하는 인력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으니깐요. 사실, 그런 구분이 모호한 시대에서 그런 구분이 가능할련지 조차도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