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게임
예전 포스트에서 LGT 게임 알뜰 요금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한적이 있다.

궁금해 했던 CP와의 수익 분배가 얼마전(정확히는 9월 13일, 해외 출장가느라 약간 정보에 어두웠을 때이다.)에 공지사항으로 안내가 되었다.

요약을 해 보면

- 매월 14일-17일에 신청을 받는다.
- 심사를 거쳐 차월 1일부터 한달간 서비스 하게 된다.
- CP와의 분배는 정상가가 아닌 1450원으로 게산이 된다. 분배 방식은 기존과 동일하다.
  JAVA 플랫폼 = 1,450 * 0.81 * 해당 CP 게임 다운로드 받은 수
  WIPI 플랫폼 = 1,450 * 0.76 * 해당 CP 게임 다운로드 받은 수
- 1개 CP당 5개까지 제안 가능
- 온,오프와 WAP PUSH등을 이용하여 마케팅을 지원한다.(가장 못 믿을 부분이다.)

참.. 빨리도 공지 올린다.
요즘 그 업계를 떠나서 자세한 내막은 모르지만, 상품 기획 CP와 상의 한마디 없이 결정한 다음에..
1차 오픈을 일단 메이저 업체들 두들겨패서 강제로 서비스 시킨 다음에, 언론 보도 자료 내고..
대리점등을 이용해서 홍보한 다음에, 모든 CP에게 오픈한 모양인데..
내 짐작이 아마 크게 벗어나지 않으리라 장담한다. 틀릴 수 있는 점은 메이저 업체들의 범위인데, 아마 무척 좁았을거다.
여하간 LGT는 욕을 할래도 일하는 사람이 없다.
2006/09/20 19:25 2006/09/20 19:25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게임
LGT에 런칭하기 위한 필수 단말기가 몇개 추가 되었다.

<<9월 14일 필수 추가 단말기>>
- QCIF -
LG-LB1500(176*220, 가로 QVGA LCD)
PT-L2200(176X220)
- QVGA -
LG-LB1700
LG-LF1200
LG-LF1300
LG-LV2300
LG-LV2400
SPH-V9850
SPH-B4150
* 가로QVGA의 경우 QCIF로 컴파일 하시거나 가로QVGA(320X240)으로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 PT-L2200 단말기의 경우 된->돤으로 보이는 현상이 있습니다.
<9월 29일 필수 추가 단말기>
- QVGA -
LG-LV4200

LGT가 캔유 시리즈 부터 시작된 QVGA 필수군이 굉장히, 그리고 쓸데없이 검수를 강화하고 있다.
나름대로 전략폰으로 밀어붙인답시고 시작된 내용이 CP들에게 쓸데없는 부담감을 주고 있다.
QVGA 폰만 아니라면 SKVM이나 KTF WIPI 향으로 개발된 게임을 LGT 로 포팅하는 것은 별 부담이 없으므로 LGT의 런칭 갯수가 훨씬 많아질 것이다.
그렇다고 LGT에서 QVGA 쪽 검수의 시초가 되었던 폰들이 자기네들 말처럼 전략폰으로서 시장에 성공해서 그 폰 유저들이 활발하게 모바일 게임을 사용하고 있는가? 전혀 아니다.

QVGA를 필수에서 빼라는게 아니고, 쓸데없는 계단현상이니 무조건 Normal 폰 이미지의 2배가 되야 하느니의 답답한 소리를 하지 말라는 소리다.
LGT.... 쓸데없는 고집은 있는 회사다.
정신 좀 차려라...  제발........
2006/09/20 14:43 2006/09/20 14:43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게임

2004년 7월 부터 2005년 11월 사이의 국내 이통3사의 모바일 게임 런칭 갯수를 ATLAS Research Group 에서 정리를 한 표이다.
SKT와 KTF는 기존 게임을 WIPI 버전으로 컨버팅해서 재런칭한 게임을 포함했으며, LGT는 정액제 게임 포털(아자게임존)의 신규 게임을 합산 한 것이다. LGT의 아자 게임존의 수준을 감안한다면 LGT의 수치는 상당부분 떨어져야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자료라 생각이 든다.

모바일 게임의 무덤이라고 불리우는 KTF가 역시 게임 수는 많다.
런칭 프로세스상 제안서 상에서 런칭 유무를 결정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게임을 만든 후 게임평가단을 거치는 SKT에 비해서 게임수가 많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작년 후반기부터 KTF도 게임평가단 시스템을 도입해, 검수를 통과하더라도 게임성이 저조한 경우에는 런칭을 안 시키겠다는 의욕을 보이고 있으나 그로 인해 런칭 갯수가 현저히 낮아진다던지, 퀄리티가 높아질 것이라고는 그닥 기대가 되지 않는다.
KTF가 바꿔야 할 것은 런칭 시스템이 아니라 마케팅 푸쉬할 수 있는 자기들의 시스템이다. 고작 무료체험메뉴 하나만으로 근근히 버티곤 있지만 크게 Push 할 수 있는 수단이 거의 없고, 다양한 메뉴 구성이 불가능한 지금으로는 상황이 계속 유지가 될 것이다.

누구나 아는 진리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지 않는가?
시장의 성공은 런칭 갯수가 아니라 하나를 런칭하더라도 퀄리티 Up, 마케팅 Push가 가능한 곳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LGT...?? 별로 관심의 대상도 아니다.
2006/09/20 13:29 2006/09/20 13:29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어제 포스팅 한김에 누구나 아는 이야기를 한번 해보려고 한다.

KTF, LGT를 비롯한 수많은 유선 포탈 등에서 익숙한 CP(Contents Provider)대신에 SKT는 BP(Business Partner)란 용어를 사용한다.
사실 SKT가 BP란 용어를 사용하는데는 나름대로 그럴만한 이유가 있기는 하다.

KTF, LGT와는 달리 SKT는 협력업체들에 관한 프로그램이 몇개있다.
(SKT 하는 짓이 이쁘지만은 않지만 잘하는 것은 잘한다고 해주어야 한다. 이러한게 1등과 2등의 차이라고나 할까?)

협력업체 직원들에 대한 각종 온,오프 교육을 지원하는 Partner On Acadmy,
방학때가 되면 실시하는 협력업체 자녀들의 특별 교육 프로그램,
년말연시가 되면 각 협력업체들을 초대하여 실시하는 파티 등..

나름대로 자신들의 위치와 비전을 공유할려고 애쓰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협력 업체들과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다보니 협력 업체가 CP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폰 개발사도 있을 것이고, 플랫폼 개발사, 회계법인, 각종 수출 에이전시 등...
이러한 협력 업체들도 무수히 종류가 많아서 CP라고만 부르기는 문제가 있어서 BP라고 부르고 있다. BP라고 부르는 만큼 파트너로서의 대접을 못받아서 그렇지 나름대로 애초에 컨셉은 괜찮다는 것이다.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이 있다.
년말이나 년초가 되면 SKT에서 매출액 기준으로 해서 상위 BP 업체들을 초청해서 파티를 열곤 한다. 대부분이 폰개발사(여기야 워낙에 큰 곳이니깐)과 대형 Contents Provider 들이 자리를 할 것으로 예상을 한다. 여기에 예상치 못한 분들이 나타난다.
그들은 바로 수도권에 있는 대형 SKT 영업소이다.
SKT도 몇개인지 파악을 못한다는 영업소...
그 중에 수도권의 대형 업체들은 대형 CP들 보다 더 수익을 많이 올리고 있다는 것이다.

수도권 대형 영업소..........
어쩌면 가장 원초적인 마케팅 타겟이다.

2006/09/19 14:33 2006/09/19 14:33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SKT의 최근 공지 이다.

제목 : 10월 1주차 게임평가 진행불가
기간 : 10월 5일 ~ 10월 8일(NGM시스템 도입으로 사이트 접속차단기간)
사유 : NGM시스템 도입으로 SSO와 연동되는 PRM사이트 차단으로 평가 불가능
협조요청 : NGM시스템 도입으로 제안서관리및 결과 입력을 하는 PRM사이트의 접속 차단으로 10월 1주차에 평가를 원활히 진행할수 없게 되었습니다. 평가를 진행하여도 실제 평가 기간은 2일정도밖에 없기에 제대로된 평가결과가 나올수 없다고 판단하여 10월 1주차에 게임평가를 진행하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이에 BP여려분의 양해 바랍니다. 또한 안정적인 NGM시스템 도입을 위해서 10월 1주차에 게임제안은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게임제안은 9월28일까지 제안하시어서 9월 29일에는 모두 평가대기상태의 제안만 존재 하였으면 합니다. 이점 다시한번 BP여러분의 양해 부탁드립니다. 

제목 : 9월 4주차 결과 발표 연기
날짜 : 10월 3일 (기존 9월4주차 결과발표일)
사유 :  10월 3일 개천절 휴일및 10월4일 샌드워치데이 휴일로 지정되어서 10월 1주에 10월 2일외 다른 기간 휴일로 사업팀내부의 게임평가진행 불가로 결과 발표를 연기 하게 되었습니다.
9월 4주차 게임평가 결과에 대해서 10월 2주차 화요일인 10월 10일날 결과가 발표됩니다.

지네 마음이다.
양해를 부탁하는건지 그냥 그렇게 알아 들으라는건지.

BP라는 말도 안되는 용어를 만들었으면 정말 반이라도 Business Partner로 생각을 해주던지.
시스템때문에 막히는건 이해하겠다.
2주 연속 문제가 생기니깐 한주를 당기던지..
아니면 추석 연휴 끝나고 하던지...
상식아니냐? 바보들만 모인 집단이면 이해라도 하지..
공부는 엄청 잘하는 분들로만 구성되어있더구먼...
업무능력도 배려도 문제가 아니겠지..

애초에 BP를 BS(Business Slave)로 생각하니깐 그렇지..
그냥.. CP라고 해라...........
ㅉㅉㅉ
2006/09/18 20:03 2006/09/18 20:03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네이버 팝업은 망개방을 대비해서 NHN의 네이버를 앞세워 망개방에 기반한  모바일 컨텐츠 시장선점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2003년 하반기에 KTF와 제휴하여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현재 모바일 싸이월드와 대립구도에 있다.

4.1. 서비스 이용요금
팝업네이버는 현재 정보 이용료 무료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4.2. 구성
네이버 팝업은 유선인터넷의 네이버를 모바일의  포맷에 맞춰 컨버전이 잘 되어 있어서 유선의 네이버와의 이질감도적고, 유선인터넷의 주요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그리고 실시간 뉴스 업데이트등 유,무선 실시간 연동에 기반한 서비스를 하고있다.


네이버의 기타 무선 서비스는 대부분의 포탈에서 하고 있는 서비스와 대동소이하여 팝업 서비스만을 분석을 해 보았다.
누가 뭐래도 현재 유선 시장에서는 네이버 세상이다. 네이버의 팝업 서비스 또한 컨셉 자체가 나쁘지 않다.(이 부분에 대해서 이미 여러차례 개인적인 의견을 이야기 한 듯 하다.)
다음과 마찬가지이다. 네이버는 1위 업체이다. 상위 업체가 아니고 1위 업체이다.
지금 잘나나고 있는데 뭐하고 돈 안되는 무선에 신경써야 하냐는 것은 2등 또는 3등이 할 소리이다.

네이버 자체의 서비스가 어떤 기가막힌 새로운 서비스를 통한 성공 모델이라기 보다는 Well-Made와 서비스 안정, 그리고 탁월한 마케팅 능력이라고 본다면 지금의 네이버 무선은 초라하기 그지 없다.

쓸데없이 한게임 서비스 게임 모바일로 포팅하는것 좀 그만 하고..
그건 돈 버는 것도 아니고 시장 개척도 아니고 아무 의미없는 짓이다.
지팡 MCP 계약은 왜 했는지도 모르겠다. 지금 하는 짓은 MCP가 아니라 일반 CP만도 못하다.

1위로서의 리더쉽과 시장 개척, 여러번의 시행착오를 통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의 모습을 네이버가 보여주기를 희망한다.
2006/09/18 17:53 2006/09/18 17:53
마물

딴지는 아니지만 팝업 네이버 월정액 900원이 올해 3월인가부터 무료화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팝업 네이버는 아주 유용하더군요.
서비스를 무료로 한 것은 좀 더 많은 이용자를 끌어들여, 미래에 무선 인터넷 이용자를 확보해두는 측면에서 매우 잘한 결정 같습니다.

mobizen

아.. 그렇군요...
몰랐네요.. 죄송..
이런건 딴지가 절대 아니죠.. ^^

자료가 약간 예전 자료라 올리기 전에 매직엔과 네이버에서 검색을 해 보았었는데 못 찾겠더라구요..
그래서 그대로 올렸습니다..
다시 찾아보니 http://mobile.naver.com/phonenaver/popup/ 에 있군요.. ^^

위의 자료를 수정하겠습니다..

지동아빠

팝업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을 개발한다고
KTF에서 제안하라고 해서, 두꺼운 책만하게 제안서를 썼던 일이 생각나는군요.

ASIA라는 이름이었죠. 플랫폼 이름이...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세계 이동단말기 시장의 가파른 성장 어쩌고 저쩌고는 이제는 사뭇 놀랍지도 않다.

하지만 가트너의 최근 자료에 의하면 세계 시장의 높은 성장율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들의 점유율은 약간은 답보 상태이다.
이는 노키아와 모토톨라가 하이엔드 시장과 저가 시장을 적절하게 공략하는것에 비해 삼성과 LG는 저가단말에 대한 대응 부족과 하이엔드 시장에의 경쟁력 심화가 된 것으로 보인다.
삼성... 너마저 무너지면 안되자나~

LG의 경우는 더욱더 심각하다. 영업이익의 경우는 -까지 간다.

아래표는 상위 5대 기업의 최근 영업이익률 추이를 나타내는 표이다.

2006/09/15 18:46 2006/09/15 18:46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처음 만들 때부터 참 말 많았던 와이더댄..
SKT의 인재들이 모여서 만들었다고 해서 주목도 많이 받았고, 각종 의혹과 정치적인 것이 엮이면서 참 말이 많았던 회사다.

이 회사가 나스닥에 상장을 하더니만, 이제는 미국의 리얼네트웍스사에 팔렸다.

지나간 이야기인데 이런일이 있었다.
와이더댄이 정말 조건이 좋은 회사였다.
똑똑한 인재, SKT의 전폭적인 지지, 풍부한 현금(이 현금 가지고 말이 많았잖은가?) 등..
거기에 비해 와이더댄이 하는 일은 정말 초라하기 그지 없었다.
SKT가 주는 일만 따라하는 외주업체와 같은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단다.

그래서 유명한 컨설턴트한테 컨설팅을 받았다.
어케 하면 회사가 클 수 있는지...
컨설턴트가 분석을 해서 얻은 결론은 "SKT와 결별해라" 였다.
나름대로 의미가 있었겠지.
충분히 잠재력이 있는 회사니깐 SKT의 방어막에서 떠나면 오히려 거친 들판에서 크게 활보치며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지금은 SKT의 안락한 담벼락이 장점이기도 하지만 큰 성장을 방해한다고...

하지만, 와이더댄은 모질지 못했다.
들판의 싱싱한 고기보다는 동물원에서 주는 양념이 된 고기가 더 맛있었으니깐...

그랬던 와이더댄이 결국은 SKT의 품을 떠났다.

뭐.. 자의로 인해서 떠난건지 SKT의 정치적인 수단인지는 보면 알겠지.
SKT가 그렇게 똑똑할까? 난 잘 모르겠다.
2006/09/15 18:08 2006/09/15 18:08
미궁괭이

와이더댄이 그런 회사였군요.
일반 사용자 수준의 시각에선 그저 그런 회사로만 보였는데..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컬러링, 그러니깐 정확히 말하자면 CRBT 의 시스템 중에 하나이다.
내가 하나라고 이야기 한것은 컬러링 시스템이 이 하나의 방식만 있는 것도 아니며 이것만으로 완벽히 돌아갈 수 없다는 것은 의미한다.
하지만 개략적인 하나의 예제로서의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런 자료...
역시나 마찬가지로 실제로 쓸려고 찾아보면 의외로 찾기 어렵다.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좀더 자세한 사항을 다 열거하기에는 입장이 약간 곤란함을 이해해 주기 바란다.
2006/09/14 20:05 2006/09/14 20:05
hoya

모바일쪽에서 일을 하다가 업계를 떠나버린 이름없는 개발자 입니다.
우연히 블로깅을 하다가 좋은 자료를 만났네요...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sobi

소중한 자료 함부로 가져 갑니다...^^;;
감사히 담아갑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LGT다 또다른 할인요금 정책을 내 놓았다.
아래는 보도자료 중 일부이다.

LG텔레콤(대표 정일재)이 10일 1분 이내 짧은 통화를 자주 나누는 이용자를 위해 ‘1분 통화 할인 요금제’를 선보였다.
이번에 선보이는 요금제는 기본료 1만5000원에 처음 1분은 50원, 이후부터는 10초 당 20원에 통화할 수 있다. 회사측은 휴대폰 이용자의 평균통화 시간이 1분 30초임을 감안하면 표준 통화료(18원/10초) 보다 약 35% 저렴한 요금제라고 설명했다.
LG텔레콤은 낮시간 통화량이 많은 이용자를 위해 ‘낮시간 할인요금제’도 출시했다. 이용자는 10초당 15원의 통화료로 낮시간 대(오전 9시∼ 오후 5시)에 통화할 수 있고 기본료 2만원에 무료통화 60분을 추가로 제공받는다. 그 외의 시간대는 10초당 18원의 표준 통화료를 적용받는다.


LGT의 사업의 목표와 연구의 목표는 오직 할인 요금인가 보다.

요즘 싸게 해준다는데 싫어하는 사용자도 없을 뿐 더러, 사용자를 위한 각종 할인 요금을 연구한다는게 나쁜 짓은 아닌 듯하다.

하지만, 작금의 세상은 싼요금 + 좋은 서비스 아닌가?
모든것은 한쪽으로만 너무 치우치지 않아야 하며, 다른 것들과 균형을 이루며 발전을 해나가야 보기에 좋은 법이다.

LGT의 요근래의 요금체제의 행보는 자칫 사용자로 하여금 소위 말하는 "싸구려" 제품처럼 보이기에 딱 알맞다고 본다. 요금제와 함께 경쟁사와는 다른 색다른 서비스와 컨텐츠도 함께 연구하는 LGT가 되기를 바란다만은...
LGT의 조직 분위기상 어려워만 보인다.

2006/09/12 15:35 2006/09/12 1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