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요즘에는 대부분의 컨퍼런스나 논쟁의 주제가 '앱스토어' 위주로 진행되면서 상대적으로 뜸해졌지만, 플랫폼에 대한 관심이 극도로 높아진 얼마전만 해도 "어떠한 플랫폼이 살아 남을 것인가?", "어떠한 플랫폼을 선택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았다. 그때마다 "어떠한 플랫폼이 살아 남을 것인지 지금 예상하는 것은 몹시 위험합니다. 훗날에는 몇몇 플랫폼만 생존하고 정리가 될 것은 분명하지만, 그 때가 빨리 오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지금은 유연성있는 전략과 기술력이 중요한 시점입니다."라고 답을 했다.

독일의 저명한 모바일 전문가이자 'PUGcast' 라는 블로그를 운영하는 Clemens Schuchert는 자신의 블로그에서 최근 재미난 설문조사를 하였다. 전문 리서치 기관도 아니고,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가 검증이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공신력있는 내용으로 받아드리기는 힘들지만 가벼운 화두로 소개해 본다. 설문은 "5년 후에도 생존할 것 같은 플랫폼은?"이라는 질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4월 16일부터 진행된 이번 설문은 5월 19일 현재에도 계속 되고 있으며 현재 결과는 위와 같다. 4월 30일까지만 해도 iPhone이 가장 높은 응답율(67.3%)을 보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Windows Mobile이 높은 선택을 받고 있다. 세부적인 수치야 큰 의미가 없을테지만 Windows Mobile과 Android가 1,2위를 하고 있다는 것은 조금 주목할 필요가 있다. MS와 Google은 OEM 사업을 하는 플레이어라는 공통점이 있다.

모바일 OS는 사업자별로 플랫폼 전문 업체와 단말과 플랫폼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업체로 구분 할 수 있다.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업체는 전형적으로 OEM 사업을 하고, 단말과 이통사 친화력을 중심으로 한다. 단말과 플랫폼을 모두 가지고 있는 업체의 경우에는 제한적인 단말안에서 플랫폼을 유통하기 때문에 좀 더 집중력이 높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시장에서 주목받는 사업자들은 대부분 단말과 플랫폼을 모두 가지고 있는 업체들이다. 모바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단말, 플랫폼, 망, 유통채널인데, 이 중 3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으니 집중력이 높을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집중력이 초기 시장몰이를 하는데는 성공 요인이 되었지만 얼마나 오래 지속될 수 있느냐는 것은 조금 지켜봐야 할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단말과 플랫폼을 모두 가진 사업자는 판매할 수 있는 아이템이 자사의 플랫폼이 올라가 있는 자사 디바이스, 그리고 이 디바이스를 통한 컨텐츠 판매 채널안에서만 가능하다. 애플의 iPhone처럼 이 모든 한계를 뛰어넘는 경우도 있지만 흔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에 반해, OEM 판매를 하는 사업자는 상황이 조금 다르다. 그들은 단말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사의 플랫폼이 어떠한 단말이던 많이 올라가기를 바란다. 이들이 앱스토어를 하는 것도 앱스토어 자체에서 수익을 발생하는 것보다는 앱스토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집중시키고,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집중된 채널을 접근할 수 있기 위한 채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렇다 보니 플랫폼이 올라가는 디바이스는 중요하지가 않다.

Android는 스마트폰을 뛰어 넘어 집전화, PMP, 넷북, 셋탑박스 등으로 영역을 벌써 확장하고 있다. MS 역시 단순한 PC, PMP, IPTV 등으로 확장을 꿈꾸고 있으며 최근 'Windows Mobile'이라는 브랜드에서 'Windows'로 바꾼 것도 이러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함이다. 단말이 다양하고, 이들의 성격도 다 다르니 초기 시장이 형성되는 지금에야 집중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하지만 플랫폼이 올라가는 단말이 늘어나고 다양해 질 때 가질 수 있는 힘은 엄청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시장의 움직임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동통신사들은 새로운 플랫폼이 나오면 대부분 기술 검토와 시장 조사를 하기 마련이다. 대부분의 플랫폼들은 선행기술팀을 통해 한번씩 검토가 되었으나, 결국 선택되어지고 집중되는 플랫폼은 customizing이 쉽지 않은 플랫폼보다는 다소 공수가 들어가더라도 자기 입맛에 맞게 변형이 쉬운 OEM 플랫폼쪽이 대부분이다. 이통사 뿐만 아니라 셋탑박스 제조사, PMP, 전자사전 등의 제조사들이 모두 OEM 플랫폼을 준비 중에 있다. 다만, 그만큼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기 때문에 시간은 다소 걸릴듯하다.

실제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앱스토어 등에서 컨텐츠를 소비하기에 적당한 OS를 예상하는 것이라면 더 복잡해 질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단순히 생존여부에 대한 확률이 가장 높은 것을 선택하라면 mobizen 역시 이러한 OEM 플랫폼에 한표를 던질 것이다. Market Share의 이슈가 아니니깐...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05/20 09:26 2009/05/20 09:26
NoPD

OEM OS 와 그렇지 못한 OS 의 차이는 미처 생각해보지 못했던 것 같아요.
늘 도움받고 갑니다 :-)

mobizen

부족한 글에 관심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퓨처워커

플랫폼 사업 = 스티커판매~.. 제가 먼저 쓰던 단어인데. 헐헐..Copyright를 걸어둘껄 그랬군요.. 좋은 내용 보고 갑니다.

mobizen

Copyright 거시면 지불할께요. 트랙백으로.. ^^

학주니

뭐 여러 단말기에 탑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생명력을 길게 만들어주는 원동력일까요..? ^^;

goMan

플랫폼 사업 = 스티커 판매? 재밌는 단어네요^^

goMan

근데 제가 무지해서 그런데 OEM 사업이라 하면 어떤 건가요??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2009년 1분기 국내 이통사의 매출 실적을 보면, 이통사들의 분기 데이터 매출이 1조원에 육박한다. 과연 이러한 데이터 매출의 구성 비중은 어떻게 되어 있고, 무선 CP들의 몫은 얼마나 될까? KTF IR 자료만이 무선 데이터 매출의 상세 내역을 공개하는데, 분기 실적 발표 자료를 이용해서 자료를 재구성 해 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체 무선데이터 매출은 증가세에 있지만 세부 항목울 보면 모든 항목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09년 1분가에는 계절적인 요인으로 메시징사용료 매출이 전분기 대비 2.2% 감소하였다. 반면, 정액데이터 가입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무선데이터 사용료는 증가하였다. 반면 정보이용수익은 전분기 대비 5.2%나 감소하였다. 각 항목의 비중을 재구성 해보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근거를 알 수 없는 기본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고, 메시징 사용료가 28.61%를 차지하여 그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CP들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정보이용 수익 비중은 8.4%밖에 되지 않고 있다. 이런 정보이용 수익 중에서도 상당 부분은 KTF가 직접 매출을 가져가고, 일부분만 CP들의 차지가 된다. 실제 CP들의 매출 추이를 재구성 하여 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부 수익 구성과의 비중도 일정하지 않아서 전체 데이터 매출 추이와 큰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09년 1분기 현재, 전체데이터 매출 내의 비중은 겨우 3.81%에 불과했으며, 정보이용수익 내에서의 비중은 45.38%를 차지하였다. 타 이통사들은 자료를 공개하지 않으니 알 수가 없으나,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짐작된다. 뭔가 떳떳하지 못하니 공개를 안하는 것일게다.

위 도표들은 재주 넘는자와 돈버는 자가 각각 누구인지를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고, 이러한 수익 구조에서 이통사가 왜 Data Pipe로 전락하는 것을 왜 두려워하는지 짐작할 수 있다. 이통사들은 정보이용료로 벌어들인 수익은 전부 재투자하고 있다고 이야기 하지만 그것을 느낄 수도 없고, 전체 데이터매출 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저 정도인데 무엇을 바라고 사업을 해야 할지 답답하기만 하다.

이러한 상황을 알리가 없는 일반 사용자나 어설픈 기자들은 '모바일게임이 3000원이라고? 흥! 웃기시네'와 같은 기사를 보고 이통사와 CP들을 같이 욕한다.(일반 사용자는 그렇다 치더라도 기자정도 되면 욕을 제대로 했어야 한다는 생각은 든다.) 욕도 같이 먹으니 패킷 비용도 CP들에게  같이 나눠주던지, CP들은 욕 안먹게 해주던지...
2009/05/19 09:39 2009/05/19 09:39

이런 것이 횡포지. 어서 빨리 이통사들이 파이프로 전락하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

KT는 상생협력을 통하여 글로벌 통신 leader로 앞장서겠답니다아. KT는 상호 신뢰에 기반한 성과를 극대화하고 협력사 경쟁력 강화 지원에 열린 기업 생태계 구축에 힘을 써서, KT는 Family Partnershi..

겨자

아이폰이 못 들어오는 이유겠지요.^^
정보이용료는 버릴 수 있어도 데이터 통화료는 못 버릴테니...

mobizen

답답하죠...

PIGGY

스크랩 하기가 어디있는지 모르겠네요.
자료 마음대로 가져가면 안될것같은데, ㅠㅠ
댓글로 대신 답니다. 좋은 자료 가져갑니다 ^^

navi2k

언제쯤 이통사들의 횡포가 없어질까요? 참 너무하네요

떵꺼리

요즘은 더 분위기가 안좋습니다. ㅡㅜ

a4b4

복잡하게 생각할 것 있나요?
그냥 이통사는 유무선 포털 사업을 못하게 하면
모든것이 쉽게 해결 됩니다.

애아범

이통사 횡포는 절대 안없어 집니다. 통신망 개방하고 외국 통신사 들어와서 가격 정책 한번 다 뒤집고 콘텐츠 가지고 있는 사업자가 돈 버는 환경이 조성되려면 한국에서 난리가 날겁니다. SKT가 아마 로비를 총 동원해서라고 막을 걸요. 데이터 패킷 요금 좀 내리자고 몇번이나 건의했어도 꿈쩍도 안합니다. 돈을 적당히 좀 끍어 모으면 좋으련만..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어나니머스

그돈 다 어디간거야 -_-
난 굶주린데 ㅜ_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