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지식경제부에서 어제(2008년 7월 8일) 오후 삼성동 코아로직 회의실에서 “이동통신 전략 협의회”를 열고, ’2012년 모바일 최강국을 목표로 하는「이동통신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하였다. 발표 자료는 여기에 있으니 모바일 산업에 관련된 분들은 반드시 읽어보기를 바란다. 이번에 발표한 '1 to 10'이라 불리우는 전략의 개요는 아래와 같다.

< 1 to 10 전략 개요 >
① : 세계 휴대폰 시장 점유율 1위 달성  (21%(’07)→35%(’12))
② : Mobile 2.0 비즈니스 모델의 선도 국가
③ : 한중일 3국간 협조체제 강화를 통한 차세대 국제표준화 선도
④ : 4대 부품군별 육성전략을 통한 휴대폰 부품 경쟁력 강화
⑤ : 5G 이동통신 기술에 대한 선제적 대응
⑥ : 휴대폰 생산량 연간 6억대  (2.5억대(’07)→6억대(’12))
⑦ : 연간 수출액 700억불 달성 (290억불(’07)→700억불(’12))
⑧ : 휴대폰 국산부품 채용율 80%  (69%(’07)→80%(’12))
⑨ : 이통산업의 국내 GDP 내 비중 9% 달성 (6.9%(’07)→9%(’12))
⑩ :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 IPR의 10% 이상 확보 (극소(’07)→10%(’12))


비록 그 자리를 가보지는 않았지만 발표 자료와 언론 보도 자료를 보니 참 답답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 Fact만 전달한 다른 기사에 비해서 제대로 정리를 한 디지털타임스 조성훈 기자의 기사를 아래 링크에 소개하니 참고하기를 바란다.

[현장리포트] 과유불급한 이통산업발전전략

회의 내용이 대학생들이 학교에서 과제로 하는 '핸드폰 디바이스 산업의 활성화'도 아니고 정부가 하는 전략에다가 '모바일 최강국'이란 타이틀을 건게 이 정도니 우리나라 모바일 산업은 당분간 계속 암울 할 수 밖에 없다. 디바이스를 많이 생산하고 칩의 국산 비율만 올리면 된다는 발상 자체도 웃기고, 교과서에서나 보는 뻔한 소리를 정책으로 내는 것 조차 능력부재를 스스로 드러내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작 논의되어야 할 가격 정책(디바이스던 서비스이던), 내장형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서비스, 이통사의 지배력 등 현실적인 것은 2012년이 되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으로 보이나 보다. 초반에 언급되어 있는 해외 대형 벤더들의 플랫폼에 대한 대응책은 후반에 가면 찾아 볼 수가 없고, 국내의 모바일 컨텐츠나 서비스등을 단말과 같이 패키지해서 수출하게끔 하는 건설적인 비전보다는 많이 만들어서 팔면 1위가 된다는 논리만 있으니 답답할 뿐이다.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도 놀란다고 문서 곳곳에 남발되어 있는 '표준'이라는 단어 조차 신경쓰인다. 제발, 정책을 위한 표준을 만들지 말고 발전을 위한 표준을 만들어야 할텐데... 어쩌면, 이통사보다 더 먼저 바뀌어야 할 조직은 정부일지도...

2008/07/09 11:03 2008/07/09 11:03
뽐뿌맨

네엡,저도 올려 놓으신 자료 보았습니다.개인적인 소견으로 말씀대로 안타깝습니다.너무 인프라에만 취중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조언자가 대부분 제조사 임원들이라서 그런것같습니다. 제 생각엔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비즈니스 모델이 더 중요한데 말이죠. 사람들이 아이폰만 보는데 아이폰 외에 아이포드나 이번에 나오는 모바일미가 더 멋지고 부가적으로 돈을 더 버는데 말이죠.

mobizen

무선 컨텐츠 시장은 불황인데 비해 단말쪽은 잘 나가고 있으니 이왕 밀어주는거 잘나가고 있는 쪽만 밀어주자는 심보인지, 참 이해가 안됩니다. 뽐뿌맨님의 블로그는 저도 잘 보고 있습니다. 아이디가 '뽐뿌맨'인줄은 오늘 처음 알았네요. 실명이 더 익숙해서 말이죠. 리플 감사합니다.

거부기아찌

철저하게 단말 공급자 중심의 전략이란 느낌이 드네요.

국내 모바일 컨텐츠 시장, 국내 이통 시장은 어떻게 되든 말든
단말만 해외로 잘 팔면 된다는 그런 관점이 곳곳에 깔려 있는 것 같습니다.

생태계에 대한 관점도 없고, 단말만 쌈빡하게 만들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그런 환상에 젖어 있는 것 같습니다.

위피가 잘 안되는게 단말이 쌈빡하지 않아선가요 ?
대한민국 모바일 콘텐츠 시장이 성장하지 못하는게 단말이 없어서일까요 ?
정말 앙꼬 없는 찐빵 같은 계획이란 느낌이 팍팍 드네요.

mobizen

이것도 전략이라고 발표하는 지경부나 이걸보고 2012년에는 한국이 모바일 1위 국가가 된다고 떠드는 언론이나 한심하기 그지 없습니다. 답답하네요...

Posted
Filed under 리뷰
사용자 삽입 이미지
LGT OZ의 약진 때문일까? KTF에서 소리없이 진행하는 모바일 SNS가 있다. 바로 '무게타'라고 불리우는 무료게임타운이다. 요 근래 주의깊게 계속 보고 있는 서비스인데, 네트워크 게임에서 보자마자 욕설만 쏟아내는 초딩들을 제외하면 완성도 면에서 꽤나 높은 점수를 줄 수 있는 서비스이다. 관련 URL은 아래와 같다.

공식 홈페이지 : http://www.mugeta.com
관련 블로그 : http://blog.naver.com/mugeta79
'무료게임타운을 만드는 사람들' : http://blog.naver.com/limlimpd/
모바일에서 접속 : 36979 + SHOW 키 또는 매직엔 키

해당 서비스는 현재 약 40여종의 무료 게임과 모바일 폰피, 쪽지, 카페, 대전 시스템, 랭킹, 아바타 꾸미기등의 서비스로 이루어져 있고, 정보이용료 뿐만 아니라 패킷까지 완벽하게 무료로 제공되고 있어 요금 걱정 없이 누구나 다 서비스를 마음껏 이용할 수 있다. 메뉴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현재 서비스의 구성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뉴 이름과 구성을 보면 어떠한 서비스인지 대략 짐작이 갈 것이다. 그렇다! 서비스명만 봐도 이미 모두 눈치챘겠지만 일본의 모바게타운과 아주 유사한 서비스이다. 좀더 보기 쉽게 아래에 두 서비스를 비교하여 정리를 해 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획자가 철저하게 모바게타운을 벤치마킹했으며, 성공 요인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무게타는 단순한 서비스 구조 뿐만이 아니라 BM, 마케팅 방법, 타겟 유저 등이 모바게타운의 초기 형태와 완벽하게 동일하다. KTF 엔터테인먼트 사업부에 가면 엄청나게 걸려있는 무게타 포스터에 비해 왜 제대로 된 광고를 아직 안하고 있는지, 아바타 외에 어떠한 BM을 준비하고 있는지까지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가 있다.

이번 포스팅은 무게타가 모바게타운을 따라하기 했다고 비난하고자 함이 절대 아니다. mobizen 또한 모바일 1세대로서 수많은 일본 모델에 대해서 연구하고 일부 국내 적용을 한 경험이 있기에 나혼자 도도한 선비인냥 비아냥거리고 싶지 않다. 비록, 그 방법론에서 논쟁거리를 남겨두고 있지만 이번 무게타 서비스가 성공하기를 몹시 바라고 있다. 이 침체되어있는 모바일 마켓에서 뭔가 활성화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어려울 때, 모두가 답답할 때, 뭔가를 할 수 있는 실행력에 손가락질보다는 박수를 쳐주고 싶다. 게다가 이렇게 대놓고 베끼는 것도 용기라면 용기다.

하지만 불행히도 무게타의 미래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를 말할 수 밖에 없다. 일반 사용자들이 모나와를 비롯한 커뮤니티에서 언급했던 게임의 재미 요소나 커뮤니티적인 요소의 불만, 지식광장의 비효율성 등은 시간이 지나면 해결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의 주체인 엔타즈도 열심히 사용자들의 반응을 수집하고 있으며 뭐가 문제인지 잘 이해하는 듯 하기 때문이다. 보다 더 근본적인 문제는 BM에 있다. 무게타가 모바게타운을 그대로 따라하고 있으니 BM의 구성도 아래와 같은 순서로 만들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번의 경우는 실제로 엔타즈의 목표일지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1번과 2번을 논의해보자. 사실, 1번과 2번 BM이 성공하지 못하면 3번 BM까지 갈 수도 없으니 지금 단계에서 3번의 논의는 의미도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무게타에서는 아바타의 아이템 판매만을 BM으로 하고 있다. 가입을 하면 300 클로버를 무료로 주고, 친구를 초대할 때마다 200 클로버를 지급해서 아바타에 대한 충성도를 유도하고 있다. '아바타'는 지금까지 웹상에서 광고 시장의 부족함을 메꾸어주는 훌륭한 BM으로 작용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유선에서의 아바타의 시장도 정점을 찍었다고 평가해오는 이 BM이 모바일에, 그것도 싸이월드 미니미에 많은 투자를 이미 해온 십대들에게 적용이 될지 미지수이다.

일본 모바게타운이 단순하게 아바타로 첫번째 스테이지를 완벽하게 Clear한 것을 일반화하는 오류를 범하지 말기 바란다. 왜 일본내에서도 비슷한 모델의 2위 사업자가 없는지를 조사해보기를 바란다. '모바일 아바타' BM에 대해서 존재 자체를 부정하자는 것은 아니다. 다만, 시대가 바뀌었으니 좀 더 모바일다운 '아바타' 시스템을 고민하라는 것이다. 지금의 무게타 아바타 시스템이 5년전 네오위즈나 싸이월드 아바타와 뭐가 다른가? 좀 더 시대에 맞고 모바일다운 아바타 시스템을 고려하지 않으면 미래도 없다. 실제로 예상보다 못한 저조한 아바타 수익을 얻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렇다면, 기업 광고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가? 사실 이 질문 보다는 우리나라 모바일 CP가 광고 영업을 할 준비가 되었는지를 묻고 싶다. 'Walled Garden'이라는 인큐베이터 안에서 자란 신생아와 같이 우리나라 모바일 CP는 철저하게 '정보이용료'외의 BM에 취약하다. 광고의 영업력은 물론이거니와 하는 방법 조차 모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까지 광고영업을 할 필요가 없었다는 것은 한국 모바일 CP에게 일종의 울타리 같은 역할을 해 왔으니 면역력 또한 있을리가 만무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엔타즈의 기획자는 이미 알고 있지만 모바게타운의 광고는 일반 광고라기 보다는 프로모션 이벤트에 가까운 시스템이다. 유선 웹사이트에 배너 광고를 달아 놓은 것과는 비교할 수 없게 Active하여야 한다. 과연 그러한 Know How가 있는지 '엔타즈'라는 게임 전문 업체의 조직을 한번 냉정하게 살펴보아야 한다. 이런 면역 체제가 약한 기업을 '무료 정보료, 무료 패킷료'라는 전쟁터로 무책임하게 내몰아버린 KTF가 얼마만큼 지원을 해줄지도 의문이다.


물론, 이 포스팅을 엔타즈에서 볼리는 만무하지만, 위의 이야기는 비난이 아닌 애정이 깃든 잔소리이다. mobizen은 무게타를 응원한다. LGT의 OZ와 같이 SHOW에서도 뭔가 하나 대단한게 나오기를 바라고 있다. 박수를 치고 싶은 마음에서 하는 소리이다. 베끼는 것은 좋다. 하지만, 'Localization'이란 단어를 좀더 깊이 생각하기 바란다. 사실 여부를 떠나서 예전에 KTF에서 엔타즈에 투자한 자금 때문에 엔타즈가 KTF에 떠밀려서 진행하고 있는 서비스라는 시선도 있다. 그러한 세간의 의혹을 떨쳐버리기 위해서라도 현재 사용자들에게 지적된 서비스 시스템은 빨리 보완을 하고, 다른 것은 다 베끼지만 BM만은 '엔타즈'것을 찾길 바란다. 사용자만 모이고 수익은 없어서 실패하는 서비스가 되지 않기를 부디 바란다.
2008/07/08 11:37 2008/07/08 11:37
ldjok

좋은 글 잘 보고 있슴미다. :)

mobizen

관심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mobizen

반갑습니다. ^^ 말씀하신 모든 의견에 100% 공감합니다.
다만, 본문에도 언급했듯이 그렇게 되지 않기만을 바랄 뿐입니다. 너무 힘들이 빠져 있어서 말이죠..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mobizen

정말 돌파구가 좀 빨리 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mobizen

네~ 좀 잡음이 많았던 회사죠

jedi master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모바게타운 제대로 따라하기 버전이네요. 그동안 누구나 생각했지만 따라하지 못한 것 같은데... 아무튼 지적하신 대로 국내화시켜 잘 이끌어나가기 바랍니다.

mobizen

제다이맛스타님, 오랜만이시네요. 맞습니다. 제대로 따라하기 하고 있죠. 잘되기를 응원할 뿐입니다. 리플 감사합니다.

퍼가겠습니다

베가엑스사용자

저베가엑스사용자입니다!물론케이티구요!
근데왜스마트폰은,특히베가엑스는지원가능한단말기가
아니라고뜨는거죠ㅠㅠ개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