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한 3년전에 업계에서 꽤나 잔뼈가 굵은 사람하고 술자리를 할 기회가 있었다.
그 친구가 하는 이야기가 무선 망개방의 영향으로 한국의 무선 포탈은 일본의 무선 포탈 구조와 점차 닮아갈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내가 물어보았다. 일본의 무선 포탈의 어떤 점을 말하는 것인지?
그 친구는 대답을 못하였다.
그래서 다시 물어보았다.
가격 정책인지 메뉴 구조인지 독립형태의 포탈 지원을 말하는것인지?
역시 대답을 못하였다.
소위 영업이나 사업을 한다는 사람은 일케 모르면서 아는체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일본과 국내의 무선 포탈의 차이점은 일단 메뉴 구조에서부터 시작을 한다.
국내는 컨텐츠의 종류별로 첫 카테고리가 구분이 되어 있고 그 안에서 각각의 컨텐츠가 싸그리 담아져있는 반면 일본은 컨텐츠가 첫 카테고리가 컨텐츠 중심으로 되어있다.
쉽게 말해 디즈니 관련 컨텐츠가 있으면 디즈니 음악은 음악 카테고리 안에, 디즈니 게임은 게임 카테고리 안에 디즈니 배경 화면은 그림 카테고리 안에 있는 국내 포탈에 비해 일본은 디즈니라는 카테고리 안에 음악과 게임, 그림 등의 카테고리가 있어 그 안에서 컨텐츠를 즐길 수 있다.



게임을 즐기는 유저는 다른 것 보다는 게임 카테고리만 들어가고 컬러링 자주 바꾸는 사용자는 음악 카테고리만 자주 들어가는 국내 사용자에 비해 컨텐츠 타이틀(이를 테면 디즈니, 지브리 등)에 크게 비중을 두어 컨텐츠를 즐기는 일본 사용자들의 차이점때문에 생기는 구조라고 보면 된다.
또한, 사업자 구조 즉 음악 CP와 게임 CP 등이 구분되어 있는 국내 CP 구조와 무선 CP면 모든 것을 다하는 일본의 사업 구조의 영향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컨텐츠 메뉴 구조의 차이점 때문에 일본은 각 타이틀별로 과금을 해야 하는 정액제가 예전부터 잘 발달이 되어있고, 수익구조의 틀이 이러한 정액시스템이 큰 축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네이트와 같은 이통사의 컨텐츠 Hub를 무선 포탈이라고 부르는 반면 일본에서는 디즈니, 지브리와 같은 컨텐츠 타이틀 하나하나를 무선 포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는 I-mode의 비공인 서비스가 예전부터 발달이 되어 있어서 인데, 무선 망개방이 비교적 빠른 일본에서는 이러한 하나의 컨텐츠 타이틀이 통신사 공인 포탈 외에 다수가 존재해 사용자들이 무료로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중요한 것은 일본도 국내와 같은 카테고리별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컴투스가 일본에서 선전했던 "미니게임천국" 이라는 메뉴와 같이 게임 카테고리도 엄연히 존재하며 이러한 메뉴 역시 정액제 또는 다운로드 과금의 두가지 방식이 다 존재한다.

정액제 일변도였던 일본 포탈들도 얼마전부터 다운로드 과금방식으로 많이 전환을 하고 있는 것도 알아두어야 할 점이다.

3년전, LGT에서 이러한 일본식 포탈로 ez-i를 개편할려고 했었다. 별로 기대는 안 했다만 지금은 오리 무중이다. LGT가 이러한 문화와 CP 사업 구조등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그러한걸 기획을 했었을까 당시에도 무척 의심스러웠다. 아마 내부적인 팀 구조 때문에 실행에 옮겨지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약간은 두서없이 설명을 했으나 포탈 구조의 차이를 이해하는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2006/10/25 11:09 2006/10/25 11:09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약간은 지난 포스팅(IT에서 일주일 늦은거면 지난거긴 하지)이지만 요즘 스카이프의 발전 속도에 놀라고 있는 통에 국내에 스카이프를 탑재한 와이파이 전용폰이 국내에 나왔다고 한다.
지난주부터 야근에 철야를 하느라 포스팅할 시기를 놓쳐서 이제야 포스팅을 한다.

스카이프 탑재 와이파이 전용폰 국내 첫선 zdnet 원문

E-bay가 소유하고 있는 VoIP의 절대강자 스카이프는 예전의 국내 다이얼패드를 생각나게 해서 씁쓸하다. 국내 업체 새롬이 개발하고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닷컴 기업의 선두였던 다이얼패드는 이제는 온데간데 없고 외산인 스카이프가 대표적인 브랜드가 되고야 말았다.
다이얼패드가 나왔을 때 누구나 만들 수 있다고 우습게 보던 개발자들은 이제는 스카이프를 보며 신기해 하고 스카이프 탑개 기기가 나왔다고 너스레를 떤다.

사실 스카이프는 국제 VoIP 표준과는 약간은 동 떨어져있는 자체 규격을 사용한다.많은 VoIP 전문가들이 그래서 스카이프는 안되... 라고 지금도 외치지만...
좀 떨어져서 볼 수 있는 우리가 볼 때는 이또한 개발자들만의 자만 섞임 목소리라고 여겨지며, 현재 누가 뭐라 해도 스카이프의 영향력은 엄청난 듯 하다. 참고가 될까 하여 컬룸비아 대학에서 정리한 스카이프 기본 기술을 첨부하니 관심있는 개발자들은 참고하기 바란다.

이번에 나온 이러한 와이파이 이용 확장 스카이프등은 당장은 실용성은 없어 보이지만 대중화가 되고 수많은 디바이스에 포팅이 되면서 엄청난 파워를 가질 것이다. 과거의 화려한 컨텐츠와 기술등을 주식 장사로만 만족하던 업체들과 누구나 할 수 있다고 우습게 여기던 우리 개발자들은 반성을 좀 하도록 하다.

P.S. 우리나라 옥션이 이베이것이다 보니 국내 판매와 마케팅은 옥션이 전담하고 있다. 국내에서의 옥션의 파괴력은 대단하나 자사의 제품을 판매하는데는 아직은 약간 서툰면이 있는 듯 하다. 지켜봐야겠다.
2006/10/23 20:23 2006/10/23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