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게임

위의 표는 SKT, KTF 양 이통사에서 출시한 모바일 게임 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목적은 정확히 2가지뿐이다.

첫째, SKT와 KTF를 비교하는 것인데, 당연히 KTF의 런칭 갯수가 살짝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 수치는 어플 수가 아니라 게임수로 비교를 한 수치이며, 어플 수로 하다보면 KTF가 월등히 많을 것이다. 어플 수로 비교한다는 것은 마케팅적인 관점에서 별 의미가 없을 수는 있겠다. 또는 굉장히 중요할 수도 있을 것이고... -.-;;

둘째, 작년과 올해의 어플수의 비교이다.
8월이라는 수치를 생각해보면 등비식으로 올해말까지의 게임 수를 추정해 보자면 SKT는 285개, KTF는 330개 정도로 작년에 비해 상당히 작은 수의 런칭을 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는 실제 체감과도 동일하며, SKT는 올 초에 시스템 수정을 하면서 런칭 프로세스가 전체가 상당 기간 멈춰있었던 것과 KTF의 게임평가단 시스템 도입으로 QC를 했던 것이 원인인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로 인한 결과가 단기적(!!)으로 과히 좋지 못하다는 것에 있는데..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CP들이 예전과 같은 수준으로 게임을 출시하면서 사용자들 에게 외면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장의 침체화라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는 듯 하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게임 수를 낮춰서라도 퀄리티를 올리는 편이 사용자들에게 어필 할 수 있다는 통신사의 정책은 변화가 없을 듯 하다.

과연 퀄리티가 올라간다고 반드시 장기적으로 좋은 방향으로 흐를까....
PMP, DMB, PDA 등의 화려한 비주얼과 대체 타임 킬러 디바이스 시장이 많은 시점에서 그리 쉽게 대답할 수는 없는 상황인 듯 하다.
2006/09/26 19:10 2006/09/26 19:10
미궁괭이

폰게임의 무덤 KTF 답지 않군요...
그래도 여전히 수준이하의 게임이 양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게임이라는 녀석이 반드시 고 퀄리티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mobizen

단순한 논리같이 보이지만 참 어려운 화두 같습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게임
SKT의 게임매출이 끝도 없는 추락을 하고, 최후의 보루처럼 여겨지던 고스톱류도 무너진지 오래되었다. 다양한 스토리와 UI가 입혀지기는 했지만, 아무리 잘만들어도 고스톱 하는데 스토리가 무슨 소용이랴. 고스톱 자체가 재미있어서 하는건데..
사용자들은 자기폰에 고스톱은 하나로 충분하다는것이 대부분인가 보다.

고스톱을 성인으로 분류하여 선물하기 금지와 프로모션 금지를 주도했던 SKT가 슬그머니 꼬리를 내려 놓고 있다. 그래도 고스톱 말고는 년말까지 목표매출 올릴만한 장르가 없다고 판단을 했나 보다.

9월 22일부터 선물하기 기능이 추가되었고, SKT의 항상 하는 시나리오 처럼..
기존 게임에도 추가하라고 한다.
게다가

짱아치닷컴 (탁재훈맞고2006)
조이모바일 (신맞고2006)
(주)바른손 커뮤니케이션즈 (노홍철 맞고)
이매그넷  (프란체스카맞고/컬투)
컴투스 (컴투스맞고2006)
땡구리닷컴 (커플맞고)
모아이테크놀러지 (다세포소녀맞고)
모비클 (두근두근맞고)
벅스모바일 (한게임신맞고)
퍼니빌 (강호동신맞고플러스)
(주)엣데이터 (야근병동맞고)
펀클릭 (원조맞고2006)
레몬(무대리맞고)
게임빌 (정통맞고플러스)
마나스톤 (화투점고스톱)
소리나무엔터테인먼트(주) (2006현영맞고)
(주)나스카 (출산드라맞고)
픽토소프트 (실전아싸맞고)
와이더댄 (뮤직맞고)

무려 20개의 고스톱 게임이 공동 프로모션을 실시한다.
참 드문 케이스라 생각된다.
제발 선물하기 하고 프로모션 진행하라고 하면서 업체들에게 은글슬쩍 자뻑하라는 소리가 아니길 바란다.

SKT... 매출이 급하긴 급한가 보다.
나름대로 뽑아든 초이스가 일리는 있다만은 년말까지 목표치를 채울 수 있을까??
2006/09/25 19:31 2006/09/25 19:31
김두호

강호동신맞고플러스 선물하기

mobizen

이 쌩뚱맞은 리플은 뉘신지?
퍼니빌 직원에는 없는 걸로 알고 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