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트래픽 CAGR은 78%
최근 발간된 Cisco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보고서에 의하면 2016년까지 전세계 모바일 트래픽이 올해보다 18배 증가할 것이라고 한다. 연평균성장율(CAGR)이 78%로 2016년이 되면 유선 데이터 트래픽의 3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6년 월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10.8엑사바이트(EB)이고 연간 130엑사바이트를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3G 트래픽은 월평균 36.94% 증가
단기간에 스마트폰 2천만명 시대를 만들어낸 국내도 모바일 트래픽이 급증하고 있다. KT 3G 트래픽 용량을 비교해보면 2011년 1월 1,766TB에서 8월에는 4,567TB로 증가되었다. 7개월만에 258%나 증가한 것이며, 월평균 성장율은 36.94%에 이른다.
3G 트래픽은 스마트폰이 가장 많이 차지
화면이 크고 PC Web과 동영상 소비가 많은 태블릿 PC(Smart Pad)가 트래픽을 많이 사용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태블릿 PC는 Wi-Fi 모델의 비중이 높고, 고정된 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전체 3G사용량은 예상보다 크지 않다. 태블릿의 3G 접속 비중은 9.2%에 불과하다. 실제로는 단말대수에서 월등한 휴대폰이 트래픽을 가장 많이 유발시킨다. 휴대폰의 경우 62.8%가 3G 접속을 하며 스마트폰은 피쳐폰에 비해 35배의 트래픽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국내 스마트폰 트래픽 CAGR은 292.44%
1인당 사용하는 스마트폰 트래픽을 살펴보면 2010년 9월에는 SKT 260MB, KT 312 MB 였다. 1년이 지난 2011년 9월에는 각각 820 MB, 826MB를 사용했다. 이 수치를 '2011년 국내 이동통신 시장 리뷰'에서 소개한 통신사별 비중을 고려하여 평균을 내어 보았다. 평균을 통해 얻어낸 CAGR은 292.44%이며, 여기에 스마트폰 가입자 증가율까지 고려한다면 국내 모바일 트래픽은 정말 '폭증상태'라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동영상 서비스가 주범
모바일 트래픽을 일으키는 가장 큰 주범은 유튜브로 대변되는 동영상 서비스이다. Cisco의 보고서에서는 전체 모바일 트래픽의 70.5%가 동영상 서비스에서 발생한다고 언급했다. 국내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은데 2011년 국내 모바일 트래픽 중 63%를 동영상 서비스가 차지했다. pooq, K플레이어와 같은 방송사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와 tvPot, TVing, EveryOn TV 등과 같은 동영상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많이 사용된 탓이다.
망중립성은 모바일 트래픽 폭증과 무관
모바일망의 부하가 늘어나면서 '망중립성 논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망중립성'은 소비자 권익을 넘어서 통신사 고유의 자산과 서비스 사업자의 생존권이 걸려있기 때문에 결론 내기가 쉽지 않은 주제이다. 방통위는 이를 중재하기 위해 '망 중립섭 가이드 라인 1차'를 2011년 말에 발표했으며 포럼 형태로 의견을 모아서 올해 상반기 내로 가이드 라인을 마무리 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실제 망중립성 이슈는 모바일 트래픽 폭증과 전혀 무관한 곳에서 터지고 있다. 2011년 11월 23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진보네트워크센터는 SKT와 KT가 mVoIP 서비스를 불공정하게 제한하여 소비자 이익을 저해했다면서 공정거래위원회와 방송통신위원회에 고발했다. Cisco의 보고서에 의하면 mVoIP가 차지하는 모바일 트래픽 비중은 전체의 0.3%에 불과하다
얼마전에 발생한 KT의 삼성전자 스마트 TV 접속 차단 역시 무선망이 아닌 유선망에서 벌어진 사건이다. 삼성전자 스마트 TV가 발생하고 있는 전체 트래픽은 극히 미비한 것은 물론이다. 망중립성의 논제는 '과도한 트래픽에 대한 통신사의 망관리'라기 보다는 '헤게모니 싸움'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맞다. 물론, 그 싸움에서 반드시 '통신사'가 '악역'에 해당하는 캐릭터라는 의미는 아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방통위의 '트래픽지도' 프로젝트
KT와 삼성전자간의 갈등이 벌어지면서 중재능력 부재를 여실히 들어낸 방통위는 아직까지 '망중립성 논쟁'의 본질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방통위가 무선 트래픽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트래픽 지도'를 만들 것이라고 발표한 것이다. 트래픽 지도는 초고속인터넷망, 2G, 3G, 와이브로, 롱텀에볼루션(LTE)등 국내 통신망에서 각각 실시간 음성·통신과 실시간 엔터테인먼트, 이메일, 게임 등의 용도로 얼마나 많은 데이터 트래픽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보여줄 예정이다.
개인적으로 이러한 프로젝트를 정부가 주도하는 것이 맞는지 의문이다. 미국, 일본 등 해외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있지만 통신사업자가 효율적인 망관리를 위해 자체적으로 추진하고 있을 뿐이다. 과연, 특정 서비스(예를 들면 카카오톡)이 많은 트래픽을 발생하는 것을 파악했다고 하면 그 이후로 정부(통신사가 아닌)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과도한 트래픽을 만들어 냈으니 제재를 할 것인지, 상을 줄 것인지? 다시 한번 말하지만 '망중립성'은 무선망 폭증과 무관하며 방통위가 지금 해야하는 일은 각 업체들의 이야기를 듣고 중재를 하는 것이다.
지역편차가 심한 무선 트래픽
한편, 국내 모바일 트래픽은 지역별로 편차가 무척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트래픽의 22.3% 서울, 21.7% 경기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몇몇 대도시를 제외하면 지방에서 발생하는 무선 트래픽의 비중은 매우 미비하다. 그만큼 '모바일 디바이드'가 심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Comments List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자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흥미로운 이야기네요..^^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 구독하고 있습니다.
내용 중 Cisco 데이터를 인용한 Video Traffic 70.5%는 2016년 전망 수치입니다.
Cisco 보고서 첫장에 보면 2011년 말 기준으로 52%로서, 작년에 처음으로 50%를 돌파했다고 나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아. ^^
앞으로도 좋은 글 많이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