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봉박두, SKT 앱스토어


9월이 되면 오픈하는 SKT 앱스토어. 기대도 많았었고, 그만큼 말과 탈도 많았던 이슈인 듯 하다. SKT는 6월에 베타테스터를 모집하여 Closed Beta를 통하여 시스템 안정성을 테스트 하였고, 개발자들에게 보다 나은 개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7월에 서울대학교 연구공원 내 SK텔레콤 연구소에 'MD(Mobile Device) 테스트센터'를 오픈하는 등 활발한 행보를 보여왔다.

하지만, 서비스 정식 오픈 일정이 7월에서 8월로, 다시 원래 일정인 9월로 돌아간 것은 일정 부분에 대해 내부 개발자와 만족스러운 소통보다는 전형적인 '언론플레이'라는 느낌을 주었던 것은 아쉬운 점이다.


국내에서 가장 성공 가능성이 높은 앱스토어

앱스토어에 대한 관심이 태풍처럼 몰아치던 5월 애틀러스 리서치에서 IT업종 종사가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해당 조사 중에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앱스토어'를 묻는 항목에서 SK텔레콤 앱스토어를 꼽은 응답자는 48.8%를 차지했다. 이어 애플이 24.4%, 삼성전자가 7.5%, 구글이 6.3%, KT가 4.4%로 뒤를 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Source : 애틀러스 리서치


일부 업계에서 해당 설문 조사에 대한 의구심을 내세우기는 했지만, mobizen 역시 설문 조사 결과와 동일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arket Expand? or Market Shift?

일부 전문가들이 평가 절하할만큼 SKT 앱스토어의 기술적인 요소가 수준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SKAF의 Framework의 안정성은 상용화가 되어야만 알겠지만 훌륭한 기술적인 Concept을 가지고 있으며, 모바일 게임을 위해 최적화시킨 GIGA 역시 뒤떨어지는 기술은 아니다.

문제는 이러한 플랫폼 밑단의 기술적인 접근이 아닌 운영과 시스템이 얼마나 진정성 있는 개방인지가 관건이다. SKT 앱스토어의 이러한 운영의 철학에 따라  침체되어 있는 무선 인터넷 시장을 확장하고 진정한 오픈 마켓으로서 자리를 잡는 것인지, 아니면 기존 'Nate Mall'을 Shift하여 알맹이 없는 성공을 하는 것인지 결정될 것이다.

SKT의 대형 BP를 대상으로 행해지고 있는 강제적인 앱스토어 컨텐츠 풀 구축을 보면, 아직까지도 '개방'이라는 의미를 모르는 '갑'으로서의 권위를 버리지 않고 있는가에 대한 의구심이 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상호 존중이 있는 에코시스템

SKT는 선두그룹 BP들에게 현재 Nate Mall에 있는 우수 컨텐츠를 오픈마켓 Framework인 SKAF와 GIGA를 대상으로 포팅하기를 요구하였다. 이러한 대형 Market Place에 초기 제휴 관계가 필요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하지만 SKT와 일반 BP가 Apple과 EA 처럼 대등한 관계의 제휴였는지, 아니면 위압적인 요구였는지 궁금하다.

현재 SKT 앱스토어에서는 인증을 위해 Signature 를 사용하는데, 시스템 오류로 인해 아무런 문제가 없던 Signature가 Failed나서 개발사들이 아무런 잘못도 없음에도 수시로 어플을 업데이트 해주어야 하는 작업이 빈번하게 생기고 있다. 시스템을 처음 구축하다보면 당연히 불안하고 문제가 많을 수 밖에 없으니 예상되는 문제지만, 이러한 작업들이 얼마만큼 상호 존중 속에서 일어나는지, 일방적인 업무지시 형태인지 궁금하다.

이러한 관계를 쉽사리 단언하는 것은 위험하지만, 적어도 앱스토어형으로 개발하고 있는 BP들에게 보상이나 선택권이 전혀 없는 것은 분명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방형 마켓에서 '운영의 묘'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렇게 고생하는 BP들에게 '킬러 컨텐츠'로 지정해주고 5:5로 수익배분을 하자는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흘러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기존 Nate Mall에서 운영하던 방식을 그대로 Open Market에 적용하려는 것이다. 컨텐츠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Local Market Place에서 양질의 Contents를 사용자들 눈에 쉽게 뛰게 하여 만족도를 높인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운영의 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의도의 좋고 나쁨을 떠나 적어도 Open Market이라는 본질에서 이미 멀리 떨어져 있는 접근임은 분명하다. 백화점과 시골장터로 흔히 비유되는 기존 Contents Mall과 Open Market의 차이는 운영의 주체가 사업자와 사용자로 구분된다. SKT의 각 사업자들은 Open Market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확실하게 이해하여야 하며, 그 이해에 따라 기존 Nate Mall과 다른 에코시스템을 구축하는 법을 배워야 할 것이다.

만약에 SKT 사업담당자들의 이러한 제안이 위에서 없다고 했던 '보상'이라면 더욱 심각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직은 비난보다는 기대를..

이번 포스팅은 사실 매우 조심스럽다. 이러한 Fact들에 대한 거론이 무조건적인 비판으로 받아들여지고, "강압적이지 않다.", "논의된 적이 있을 뿐 사실이 아니다."라는 단 두마디 답변으로 근거없는 '카더라 통신'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어쩌면, 그 답변이 사실이면 다행이리라..

몇몇 후배들에게 들은 SKT 앱스토어에 대한 불안감과 불만은 생각이상으로 높았다. SKT 앱스토어의 큰 전략이나 운영 방침과 무관하게 사업담당자들의 조그마한 말한마디가 아직까지는 관련업체들에게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생각해 주었으면 좋겠다. SKT의 담당자들은 '근거없는 비난'이라고만 받아드리지 말고, 내부에 '앱스토어 운영 방침'등에 대해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을 했으면 한다.

mobizen은 여전히 SKT 앱스토어에 희망을 걸고 있다. 그것은 SKT를 믿어서는 아니고, 소규모 모바일 업체들이 모두 'Global!'을 외치며 해외 앱스토어에 나가서 쓰디쓴 E-mail을 받는 것보다는 그래도 Local에서 좀더 살아남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고, 여러 유통 채널 중에 SKT 앱스토어가 가장 진일보 되어 있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한다고는 했지만 아직까지 실체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광고 시스템 연동, Gift Card 적용 등 세세한 부분을 모두 채워서 보다 완벽한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기존 'Nate Mall'의 운영 시스템을 모두 버리고 철저히 Open된 Market Place로 자리매김을 하기 바란다.
2009/09/01 08:40 2009/09/01 08:40

애플의 앱스토어 성공사례를 따라 여기저기서 앱스토어를 하겠다고 난리다. 노키아나 삼성/LG와 같은 휴대폰 제조업체도, MS 나 구글같은 OS vendor 는 물론 특이하게도 우리나라에서는 이통사마..

안녕하세요? 글 잘 읽었습니다. T store 사업 담당자로서 한말씀드립니다. 말씀하신 모든 부분에 대해서 저희의 입장을 말씀드리고는 싶지만, 우선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에 대해서 말씀드리..

cubix

개인적으로는 통신사나 단말 제조사 보다는 플랫폼 업체들이 주도적으로 어플 마켓을 운영하는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애플 앱스토어나 구글의 안드로이드 마켓 처럼요..
SKT의 앱스토어... 왠지 그렇게 기대되지 않는 것도 사실입니다.

drzekil

저역시 cubix님과 같은 의견입니다.
앱스토어는 플랫폼 사업입니다..
우리나라에 제대로 된 플랫폼 사업을 할만큼 열린 사고를 가진 기업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ghostsbs

만약 이글대로 된다면 개인개발자나 소규모개발팀은 아무리 잘 만들어봐야 성공하기 힘들다는 뜻 입니다. 대형BP들이 운영사의 지원을 받아 좋은자리(노출이 좋은 곳)를 차지 하고 수익배분을 5:5로 하면..예전 자뻑하던 시절이나 다를게 별로 없어 보이네요..

rednakta

애플의 경우 무료 어플리케이션 사용률이 상당합니다. 시장을 키움과 동시에 사용자의 습관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아이폰에서 WIFI가 지원되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봅니다. WIFI가 지원되는 단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무료어플리케이션이 시장을 확대시키기에는 한계라고 봅니다. 정말 저렴한 요금제나 WIPI단말에도 WIFI가 제공된다면 모를까...이러한 점이 SKT 앱스토어의 한계라고 보입니다.

another

정곡을 콕 찌르시는 지적입니다. 밝히긴 뭐하지만, 카더라 통신은 아닙니다. 물론, 사업초기의 시행착오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미, Apple의 AppStore라는 벤치마킹하기 좋은 서비스가 버젓이 성업중에 있는데 이에 대한 분석조차 하지 않은 듯 합니다. 귤이 탱자가 된 듯한...
Local에서의 희망은 서서히 꺼져가는 듯 합니다. 안타깝네요.

DewPoint

애플과 같이 플랫폼사에게 open market은 새로운 수익원이 될 신규시장이지만...
SKT에게 open market은 기존 Nate mall과 cannibalization을 걱정해야 하는... 단순하지 않은 시장이지요.
옳고 그름을 떠나서 이통사가 플랫폼사와 동일한 운영정책을 선택하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여하튼 끝에 언급하신... 광고연계나 또 다른 BM과 연계를 통해 개발사가 수익을 확보할 수단들은 다양해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kkh6547

국내에 WIFI 적용되는건 정말 드물고 제가 본건 티 옴니아 밖에 못봣습니다.
그래고 1Kb 당 3.5 원이 책정 된다고 하니 미래가 보입니다
결국 티스토어는 이 정책을 계속하다보면 망하는건 시간문제일뿐입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KTFT Ever의 '인터넷 연결하기'

버스폰을 고르던 중 KTFT EVER 모델 중 한개를 구입하였다. 단말을 구입하면 주소록을 옮기거나 사진, 동영상 Data를 PC로 옮기기 위해 PC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고, Ever에서는 'PC Communicator'라는 이름으로 프로그램을 배포하고 있었다. 'PC Communicator'는 여러가지 기능이 있는데 이중 '인터넷 연결하기'라는 메뉴가 눈에 띄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처음 선택을 하면 네트워크 설정 마법사가 실행되고, 설정이 끝난 후에는 해당 휴대폰을 통해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진다. 이동 중에 노트북 등에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를 '테더링(Tethering)'이라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테더링(Tethering)이란

테더링은 무선인터넷에 연결된 휴대폰이 중계기 역할을 하여 주변의 다른 기기들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iPhone 3GS에 테더링 기능이 추가되면서 최근들어 언론에 노출되기 시작했지만 새로운 기술도 아니며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었던 서비스이다.

테더링은 기술적으로 Smart Phone, Feature Phone 모두 가능한 서비스로 USB 케이블, 블루투스, WiFi등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공유하는데 예전에는 주로 노트북에 연결하여 사용을 하다가, WiFi를 지원하는 Gadget이 늘어나면서 WiFi를 통한 공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새로운 서비스는 아니야

EVER와 같이 전용 프로그램이 아니더라도 Feature Phone들은 USB 케이블을 통해서 COM 포트 할당을 해왔으며, 예전부터 할당된 포트를 통해서 인터넷 접속 기능을 사용할 수 있었다. 일부 이동통신사에서 이러한 테더링 서비스를 통한 망부담을 이유로 접속을 차단하거나, Data 정액과 별도로 요금을 부가하여 경제적인 문제로 대중화되지 않았을 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COM PORT를 통한 접속은 정확하게 말하자면 중계기의 역할이라기 보다는 모뎀(Modem)이라고 이해하는게 정확하다. 실지로 이러한 접속 방식은 특정 번호(SKT의 경우 1501)에 전화를 걸어서 사용하는 것으로 이용 중에 전화를 받는 것은 불가능하다.

전용 프로그램을 통하거나 Smart Phone이 WiFi 중계기가 되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테더링이라고 할 수 있다. Windows Mobile폰에서는 '인터넷 공유'프로그램을 통해 테더링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테더링을 막기 위해서 Window Mobile을 포팅할 때 해당 기능을 삭제하고 배포를 하여 사용자들의 원성을 샀고,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접근 권한 설정을 제어하여 '인터넷 공유'기능을 활성화 하거나 테더링 전용 프로그램인 'WMWifiRouter'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상반된 이통사 입장

iPhone 3GS의 테더링 기능이 주목을 받으면서 해외의 이동통신사들의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AT&T와 Sprint는 단말에 따라서 상반된 정책을 펴고 있다. iPhone과 Palm Pre와 같이 인터넷 접속이 빈번한 단말에서는 테더링을 금지하고, Black Berry와 일반 Windows Mobile 폰의 경우는 추가 요금을 부과하여 사용을 허락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국의 O2의 경우는 iPhone 3GS전용 테더링 서비스 요금제 'Bolt On'을 제공하여 합법적인 테더링 사용을 유도하고 있다. 일본 NTT DoCoMo는 NEC 'N-06A'를 통해 추가 요금을 지불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통사입장에서는 과도한 트래픽이 부담

AT&T는 현재 iPhone 테더링을 금지하고 있지만 끊임없는 루머가 나오고 있으며, 9월쯤에 월$55 정도의 금액이 될 것이라는게 지배적이다. 이러한 정상적인 방법 외에도 iPhone, Palm Pre, Android 등에서 Jail Break를 통해 테더링하는 사용자는 무척 많다.

테더링은 휴대폰이 아닌 일반적인 WiFi내장 Gadget을 쓰기에 적당하며, 국내의 경우도 iPod Touch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Traffic을 Heavy가 발생하는 사용자들의 태더링 사용은 이동통신사 입장에서는 망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소이며, 이를 이유로 불허하고 있다. 국내 사용자들도 테더링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Needs가 있는 만큼 무조건 막을게 아니라 요금제 개선을 통해서 정상적인 방법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가입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나저나 이런 고전적인 이슈를 공론화할만큼 iPhone의 위력이 대단하긴 하나보다....
2009/08/28 08:29 2009/08/28 08:29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에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블루투스 무선 기술이나 USB 케이블 등으로 두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인..

학주니

저는 테더링이라는 말을 처음 듣는 순간..
문장을 읽어주는 서비스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용어 정말 참 잘 만들어요~~ ㅎㅎ

mobizen

ㅎㅎ 오늘 발표 잘 하셨나요?

전자양

우리나라에서 테터링이 막혀 있나요? 스마트폰인 M480 미라지를 이용중인데 기본 메뉴에 "인터넷 연결 공유"라는 항목이 있고, 사용 역시 아무 문제 없이 했습니다. LG나 KT의 경우에도 테터링을 제한했던 기억은 나지 않는데 혹시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mobizen

아닙니다. 막혀있지 않습니다. 검색만 몇번해도 일반 폰에서 태더링하는 법을 쉽게 알 수 있답니다. ^^

Zunn

역으로 테더링 하는 방법은 없나요 Smartphone에서 BT을 통해 Desk Top으로 연결되어 Desktop의 유선 Internet을 사용하는 그런것 말입니다.

mobizen

가능합니다. 이미 Active Sync에는 그런 기능이 내장되어 인터넷 공유가 된답니다. 현실적으로 BT를 통해서 하는 경우는 아직 없는데요, Needs가 없는 편에 가깝겠죠.

혹시 그런 상황이 있다면 Windy31(http://www.mobizen.pe.kr/706)와 같은 공유기를 권해드립니다.

Zunn

감사합니다.
저는 Q1 Ultra사용자로 Wibro를 사용하고 있거든요.
iPhone이 나오면 살생각으로 Wibro를 이용해서 iPhone을 좀 활용해 볼 생각이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