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symbianv3.com 에서 노키아가 개발 중에 있는 Nokia Multiscanner를 알게 되어 정보를 공유한다. Nokia Multiscanner는 폰카를 이용하는 문자인식 프로그램(OCR)이다. 프로그램이 아직 정식으로 릴리즈되거나 홍보된 것도 아닌데 성능은 훌륭하다고 한다. 인식하는 문자는 라이브러리로 제공되며, 현재는 영어나 프랑스, 그리스어, 중국어, 일본어 정도를 지원한다. SW를 설치한 후 원하는 문자 라이브러리만 네트워크를 통해서 업데이트 받으면 사용할 수가 있다. 이동 중에 신문에서 중요한 신문을 보거나 컨퍼런스에 가서 책자를 종종 폰카를 이용해서 찍곤 하는데, 이미지가 아닌 문자로 얻어온다는 것은 색다른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 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OCR SW는 러시아에 있는 'ABBYY' 가 가장 많이 알려져 있으며, 2006년도에 Mobile용 SDK를 발표한 적이 있다. 그 당시 Nokia도 해당 SDK를 이용하여 제품을 발표한 적이 있는데, 이번 Multiscanner 역시 동일한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것인지, 새로운 제품을 자체 개발한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ABBYY'의 모바일용 SDK 발표 당시, 국내에서도 디오텍에서 독점 계약을 해서 소개된 적이 있다. 디오텍은 해당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폰카를 통해 명함을 인식해서 정보를 주소록에 등록하는 등의 응용 프로그램을 선보였고 광고도 하는 듯 했으나, 시장의 큰 관심을 받는데는 실패하였다.

'문자인식' 기술은 스캐너 보급이 일반화된 PC 시장에서 조차 큰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문서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일부 특정 기업이나 악세사리와 같은 느낌의 명함관리기 정도로 사용되곤 하지만 대중적이지 못하고 있다. 대중적이지 못한 이유는 OCR을 사용하다보면 인식률 자체가 90%를 넘어서곤 하지만 나머지 10%가 무척 불편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모든 AI 기반 SW의 한계이다.

또한, 기업형 SW라는 인식이 강해서 개인들이 쓰기에는 조금은 딱딱한 느낌이 난다. 예전에 소개한 'qipit' 역시 완성도는 좋으나 딱딱한 기업형의 느낌이 강하다. Nokia Multiscanner의 미래역시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솔루션은 기업형 시장이 아니라 Consumer 기반의 서비스와 결합해서 조금 가벼워질 필요가 있다. 문자인식을 통해서 해당 Text가 내 블로그나 미니 홈피에 포스팅이 자동으로 된다던지, 구글 번역기와 메쉬업되어 다른 언어로 번역이 된다던지..

문자를 인식해서 E-mail로 보낸다거나 명함인식을 하는 것은 기본적인 기능으로 필요하긴 하지만 뭔가 딱딱한 느낌이 든다. 몇십년된 솔루션이 각광받지 못할 때는 타겟 마켓을 바꾸어볼 필요가 있다.
2008/11/15 11:17 2008/11/15 11:17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글과 애플은 태생이나 회사의 주수입원이 전혀 다른 회사이다. 하지만 'iPhone'과 'Android'라는 제품으로 인해 모바일에서 대결구도를 이루고 있다. 아니, 사실은 Prosumer들이 내심 그들의 대결구도를 바라고, 만들어 가고 있다.

광고를 주수익으로 하고 자사의 광고 솔루션이 다양한 플랫폼에서 작동되기를 원하는 구글의 손님은 '기업'이다. 반면에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유통 채널을 한손에 거머지고 강력한 Walled Garden을 구축하는 애플의 손님은 'End user'이다. 애초에 두기업은 라이벌이라고 부를 수도 없는 기업들이다. 디바이스인 'iPhone'과 플랫폼인 'Android'를 놓고 비교를 하는 것이나, 폐쇄형 유통 채널인 'Store'와 판매 솔루션인 'Market'을 비교하는 것이나 원론적으로 따지고 들자면 겹치는게 없다. 하지만, 세상은 갈수록 복잡해져 가고, 무선과 유선, HW와 SW의 구분이 점차로 없어짐에 따라 이 두기업도 사업영역이 부딪히는 것 처럼 보인다.

구글은 2008년 10월 22일, Android Market을 오픈하였다. 구글은 처음부터 Android Market이 지향하는 바가 App Store와 전혀 다르다고 했었고, 실제로 전혀 다른 아이템이었다. 하지만 많은 애널리스트, 블로거, 리서치 기관들은 이 둘 사이를 비교하고 분석하기 시작하였다.

소비자들은 평화를 원하지 않는다. 과거 MS와 Apple, MS와 Sun의 전쟁을 즐겨보았던 것처럼, 지금은 구글과 애플의 싸움을 서서히 붙히고 있다. Android Market이 오픈한지 24시간만에 아래와 같은 보고서가 나오고 온 세상 블로거들과 애널리스트 발표 자료에서 분석을 해대니 물러서기가 자존심이 상하게 되어 버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봐도 구글의 입장에서 누구와 대결 구도를 가질 필요가 없었나 보다. 구글은 자사의 사이트가 아닌 다양한 사이트와 플랫폼에서 구글의 기술 솔루션과 광고 솔루션을 사용해야지 수익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애플과는 입장이 다르다.

그래서일까? Android Market을 오픈한지 불과 4일 후인, 10월 26일에 iPhone용 Google Eatrh를 발표한다. 그리고 남들에게는 라이벌로 보이는 App Store에 등록하고 단숨에 Free Download 1위로 등극해버린다. 마치, 구글의 Android는 iPhone과 싸우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은 듯 하다. 물론, 의도적으로 일정을 그렇게 맞추지는 않았겠지만 절묘한 타이밍이라고 할까?

평화주의자처럼 보이는 구글의 이러한 제스쳐를 우리들은 알고도 모르는 척 하고 있다. 누군가 그랬나? "흥정도 부치고 싸움도 부치라고.." 그들의 대결구도가 우리를 즐겁게 한다. 구글이 아무리 서로 다른 모델이라고 한들 우리는 둘을 비교하고 같이 분석할 것이다. 이미 좋은 벤치마킹 자료들이 나와주어 모바일 산업에 활력소가 되고 있으니 이 또한 좋다. 구글의 다음번 제스쳐가 또 한번의 평화적인 제스쳐일지, 우리가 기대하는 공격일지 지켜보도록 하자.
2008/11/14 09:24 2008/11/14 09:24

주간 블로고스피어 리포트 98호 - 2008년 11월 2주 주요 블로깅 : 한국 소셜미디어 시장 규모 : 포털이 제공하는 블로그를 포함했을 때, 국내 블로그 시장도 그리 작지는 않습니다만 ... 양보다 질..

떵꺼리

음...자칭 IT강국(Infra 강국?)이고
삼성과 LG를 가지고 있는 나라에 살고 있는데,

왜 딴 세상 얘기처럼 들릴까요?

개인적으로 구글/애플 마켓에 Free 어플 올려보고 싶은 1인
구글 VS 삼성, 애플 VS LG 이런 구도를 보고 싶은 1인

mobizen

하긴... 저의 경우 항상 이런 내용만 쳐다보는 사람이지만 다른 사람은 당연히 먼 나라 이야기겠군요. 저희도 대결구도를 통해 서로 발전하는 것이 있으면 좋겠는데.. 아쉽네요

자에몽

구글 vs 애플 vs MS 의 대결구도 참 볼만하죠. 왠만한 영화 못지않은 시나리오 입니다.
MS와 야후가 합병되면 구글 vs MS간의 싸움이 더 뜨거워지겠죠? ㅎㅎ

mobizen

MS가 조금 내려가는 느낌이 있는데, 저력이 있으니깐요... 둘이 싸우는것보단 셋이 싸우게 하는게 잼나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