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6. 유통 채널

온라인 음악시장의 가치사슬은 크게 콘텐츠 제작, 유통채널, 디바이스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즉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단계와, 미디어를 통해 유통하며 유선 혹은 무선 포털 곧 소비자접점(Point Of Contact)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이를 가능케 하는 과금체계, DRM 등 솔루션을 통한 관리단계, 고객이 접근할 수 있는 디바이스(PC, portable device, digital TV)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오프라인에서는 음반기획사를 중심으로 CD 혹은 Tape로 제작 및 유통이 이루어져 소비자에게 도달하게 되고, 온라인에서는 유무선 포털사이트로 음원이 유통되어 다양한 디바이스(PC/MP3P/MP3폰 등)를 통해 소비자에게 도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온라인 유통망 즉 Point of Contact(POC)들이 등장했으며, 온라인 유통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산업이 등장했다.

기존의 음반제작사 및 도매상에서 맡아오던 생산단계의 마지막 부분인 영업과 마케팅, 유통은 음원중개업자 및 CP 등과의 계약을 통해서 진행된다. 또한 오프라인 대형매장 및 소매상 등을 통해 판매되던 유형매체 대신에 무형매체가 음악포털, 인터넷 포털, 단말기 제조사 및 이동통신사의 포털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형태를 취한다.  다음 그림은 "2005 Digital2 Conference"에서 발표된 음악산업 사례 연구에서 발췌한 오프라인과 온라인 음악시장 유통채널을 비교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온라인 음악의 발전은 전통적으로 음원의 유통에 참여하지 않았던 새로운 유형의 사업자들을 등장시켰다. 가장 눈에 띄이는 것이 음원중계 에이전트이다. 음원 중계 에이전트는 기획사에게 위임받은 각 음원들의 저작권을 관리, 판매하고 CP와의 접촉을 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MCP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요 근래에는 음반 기획사에서 직접 음원 중계를 하거나 몇개의 기획사에서 음원 중계 에이전트를 공동으로 설립하는 경우도 있어 다소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국내의 에이전트로는 만인에미디어, 아인스디지털, 아이스타, 아지트, 엠오엠미디어, 에이온미디어(스퀘어원), 위즈맥스, 튜브뮤직, 판당고코리아, 퍼스트엠, 엠피언, 에이오디오, CJ미디어 등이 있다.

이외에도 ·무선 네트워크 사업자를 비롯해서 포털 등 온라인 서비스 사이트를 운영하는 온라인서비스 제공업자, 소프트웨어, DRM기술, 온라인상의 과금시스템 등을 지원하는 각종 중개업체 및 솔루션 사업자, 콘텐츠를 수집하고, 디지털화하여 관리 및 호스팅 업무를 수행하는 콘텐츠 애그리게이터 등이 새롭게 음악 유통 채널에 등장하면서 점점 더 세분화되어가고 복잡해지는 양상을 띄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결과 중에 가장 큰 특징은 유통채널부문의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유통비용 역시 크게 감소하게 됨에 따라 다양한 사업자들이 적극적으로 진출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메이저음반사의 온라인 뮤직스토어, 독립 온라인 뮤직스토어(애플, 냅스터), ISP와 컨텐츠포털, 모바일 콘텐츠 제공자 등이 다양한 형태로 이 분야에 진출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양상의 가장 큰 결과는 이통사의 온라인 음악 시장의 직접 진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흐름의 선두주자는 SKT이다. SKT는 원음벨과 통화연결음의 음원계약을 음원권자와 직접 체결하고 이를 관리하는 MLB(Music License Bank)를 2004년부터 시행해 오고 있다. 음악 CP들이 음원중계 에이전트와 개별 계약으로 음원을 확보한 후 이를 이통사에 제공을 하던 유통의 흐름을 깨고 SKT가 직접 음원을 관리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SKT의 음악 CP들은 컨텐츠 제작을 하는 업무만을 수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이통3사가 멜론, 도시락, 뮤직온이라는 브랜드로 음악 포탈을 서비스 하고 있다. 이에 관한 국내 현황은 뒤에서 설명을 할 예정이다.



7. 각 업체의 업무와 수익배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부분의 컨텐츠가 그렇겠지만 위에서 설명했던 음악의 유통 채널의 다변화로 인해 업체간의 업무와 수익 배분의 흐름을 간단하게 정리할 수가 없다. 혹자는 정리하는게 의미가 없다고는 하지만 위의 그림은 지인의 도움을 받아서 간략화시켜서 정리해본 자료이다. 앞장의 설명으로 SKT에는 왜 MCP나 개별 CP가 없는지 설명이 될 듯 하여 상세한 설명을 하지는 않겠다.

계약의 경우 미디어에 따라 다른 비율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고, 일괄 적용을 하는 경우도 있다.  미디어의 구분을 아래와 같이 구분 할 수 있다.

통화 연결음
원음 벨소리 서비스
AOD 서비스
VOD/MOD 서비스
노래방 서비스
음악편지
동영상배경화면
JAVA
WIPI
월정액 기반의 포탈 서비스
* 각 서비스에 따라서 월정액은 다른 정산 비율이 적용된다.

음반 기획사가 가장 모바일에 매력을 느끼는 부분은 바로 선구매 방식의 정산이다. 대부분의 계약이나 정산은 일정 비율을 적용하되, 일정 금액을 MG 형태로 선구매를 해준다. 벨소리의 수익배분 형태는 이미 "벨소리 다운로드의 수익배분 흐름" 포스팅에서 언급한 적이 있으니 또다른 자료로 참고하기를 바란다.

2008/02/13 11:34 2008/02/13 11:34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스라엘의 신생 핸드폰 업체, Modu에서 새로운 개념의 컨셉폰을 발표했다. 사실 정확히는 컨셉폰의 홍보 동영상을 발표했다고 하는 것이 맞지만 이름없는 New Face가 추진하기에는 다소 신선한 개념의 컨셉폰이라 인터넷을 통해 화제가 되고 있다.

Modu는 얼마전까지는 InFone Tech라는 이름의 작은 이스라엘 기업이었으나 이번 새로운 컨셉폰 개발을 위해서 2007년 6월에 2천만 달러로 증자를 하는 등 파격적인 변신을 하였다.

이번 컨셉폰은 단순한 하드웨어에 대한 컨셉에서의 새로운 시도뿐만 아니라 휴대폰의 에코시스템을 파괴한다는 점에서 흥미롭게 지켜봐야 한다. 제조업체가 단순한 벤더로서 통신사에 해당 폰을 납품하고 통신사는 해당폰으로 여러가지 BM을 만들어서 돌아가는 기존의 에코시스템을 파괴하고 휴대폰 업체로서 새로운 에코시스템을 만들어갔다고 평가받고 있다. 핸드폰 공장에서 벗어날 생각을 하지도 못하고 독불장군처럼 혼자서 군림하려고 하는 국내 업체들과 달리 Modu는 주변의 업체들와의 돈독한 파트너쉽으로 새로운 컨셉을 시도하고 있다. 정확한 파트터사의 목록은 아직 공개되지 않고 있지만 자동차 멀티미디어와 네비게이션의 선두주자 Blaupunkt를 비롯하여 MP4 플레이어, 디지털 포토 프레임, 디지탈 카메라 업체, DECT 폰 등 다양한 업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번 새로운 에코시스템에 대한 도전의 근간은 당연히 Modu폰이다. 이 Device는 단순한 폰이 아니라 다양한 기기들을 연결시키고 작동시켜주는 Core로 사용이 된다. Modu 폰 자체가 거대한 SIM Memory Card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아래 동영상을 플레이해보아야 한다. 동영상의 시작은 아침에 일어나서 Modu폰을 오디오 시스템에 장착하여 Modu폰 안에 있는 음악을 듣는 것으로 시작한다. 집에서 좀더 그립감이 좋은 폰에 장착하여 Modu폰 모듈을 사용하여 통화도 할 수 있다. 출근 하는 길에 일어나면서 오디오 시스템에 장착해서 들었던 음악을 카오디오에 장착하여 이어서 들을 수가 있다.

아직은 정확한 스펙이 밝혀진 바도 아니고 상용화를 위한게 아닌 컨셉폰 일 뿐이므로 일반인이 직접 경험을 하거나 기술적인 이해를 하기에는 시간이 소요될 듯 하다. 상황에 따라서는 '컨셉'만으로 끝날 수도 있는게 컨셉폰이니 말이다. 여러 전문가들은 이러한 기술적인 근간으로는 Modu폰을 USB 메모리 기기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각각의 디바이스들이 이들을 인식하여 플레이하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Modu는 각각의 벤더들에게 이러한 것을 가능케 할 수 있는 SDK를 제공하고 말이다.

컨셉폰이니만큼 너무 지나치게 호들갑을 떨 필요는 없지만 단순한 디자인이나 하드웨어 스펙을 위한 컨셉이 아니라 에코시스템 붕괴라는 컨셉을 들고 나온만큼 재미나게 보고, 기존 벤더들도 보고 뭔가를 느끼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좀더 고화질의 동영상을 보고 싶은 사람은 http://www.modumobile.com/ 로 접속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Modu의 설립자이자 CEO인 Dov Moran의 이야기를 옮겨본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의역을 했으므로 이해바란다.

"모바일 사업은 현재 혁신이 필요하다. 현재 모바일 시장에는 수백여개의 핸드폰 모델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동시에 한개의 모델만을 사용하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사용자들은 약정계약에 의하여 긴 기간 동안 다른 모델을 사용할 수 없도록 묶이게 된다. Modu는 자유롭고 제약없는 가능성과 특별한 비용 지불 없이도 폰을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2008/02/11 18:05 2008/02/11 18:05

[출처 : 모바일컨텐츠 이야기(http://www.mobizen.pe.kr/434)]이스라엘의 신생 핸드폰 업체, Modu에서 새로운 개념의 컨셉폰을 발표했다. 사실 정확히는 컨셉폰의 홍보 동영상을 발표했다고 하는 것이 ..

smallsea71

새롭고 재밌는 정보 감사합니다.
동영상을 보면 여러가지를 하는데 매우 많이 사용되는데 사실 많이 복잡해 보이네요.
물론 사용하면 틀리겠지만...

제 블로그로 게시하겠습니다. 문제되면 삭제하구요.

mobizen

안녕하세요~ smallsea71님.
전혀 문제될 것 없습니다. ^^

떵꺼리

게임에 나오는 소켓 아이템 같네요. 어디에는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외관을 중시하는 분은 싫어하실 듯
휴대폰 표면이 많이 긁힐 것 같아서요. ㅋ ;)

mobizen

그래도 뭔가 새로운게 나올 것 같은 느낌이 들죠? 상용화는 많이 기다려야 할 것 같지만 말이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떵거리님~

희망

안녕하세요. 재미있는 소식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사 좀 퍼가겠습니다.

mobizen

^^ 넵.. 희망님..
요즘 그쪽 카페에서 종종 들어오시네요..

달홍

역시 제일 재밌는 것은 '컨셉폰' 인 것 같아요. 관건은 얼마나 많은 파트너를 보유하느냐겠네요... 누구나 대세라고 생각하는것을 이스라엘의 처음들어보는 회사가 출발선을 끊었다니 신선하네요!

디자인은 좀 실망스럽지만... 마치 펀샵에서 파는 (그리고 많은 남자들이 열광하는, 그리고 달홍은 별로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고가의 유럽제 시계를 보는 것 같아요. @_@ 그리고 이름이 Modu 라는 게 꼭 우리말 '모두' 같아서 어쩐지 의미심장하네요 :)

mobizen

다른 디바이스에 들어가는 Core라는 개념에서 출발해서 최대한 Simple한 기능을 가진 외관을 고려하다 보니 나온 디자인 같네요. 개인 취향의 차이는 있겠으나 저는 심플한 느낌을 강조해서 좋던데요. ^^

인조인간

안녕하세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제 블로그에 정보를 등록하였습니다.
출처는 명시하였구요.
혹 문제가 된다면 바로 자삭하도록 하겠습니다.

mobizen

전혀 문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