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지난 12월 3일날 Nokia는 향후 5년간 소비될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는 미디어 기업에서 생산해낸 일방향 컨텐츠의 비율은 줄어들고 소비사 집단에서 일명 UCC라고 불리는 자체 생산, 편집된 컨텐츠는 25% 정도로 증가할 것이라는 연구발표를 하였다.(원문 기사 참조) 이러한 현상을 순환(Circular) 엔터테인먼트라고 명명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순환 엔터테인먼트의 주요 4개 트랜드를 간단하게 설명을 해보자면

Immersive Living :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라이프 스타일
괴짜 문화 : 사용자들은 더욱 전문화된 엔터테인먼트를 찾게 되며, 이로 인해 상업적인 것과 창의적인 경계가 모호해진다.
G Tech : 기술의 여성화. 엔터테인먼트의 성격이 민주적, 정서적, 개별적인 성향이 강해진다.
지역주의 : 사용자들이 자신의 거주하는 지역이나 고향등에 관련된 컨텐츠에 애착을 나타낸다.

이러한 현상은 서유럽이나 미주권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국내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이다. 위의 자료를 국내 모바일 컨텐츠에 적용해보자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모바일 컨텐츠도 UCC의 강세로 인하여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이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모호하게 되며 이러한 트렌드를 이끄는 그룹은 얼리 어댑타가 될 것이다. Contents Provider가 생산해 내는 컨텐츠의 타겟은 여전히 젊은 층을 상대로 할 것이며, UCC를 생산해내는 그룹의 대다수 역시 젊은 학생층이 될 것이다. 젋은 학생들이 생산해 내는 컨텐츠는 그들의 직업적, 시간적인 한계로 인해서 지역주의가 더 강해질 것으로 예상이 된다.

UCC의 강세로 인해서 Contents를 직접 생산해내는 단순 Contents Provider 보다는 Media Platform 제공사가 성장을 할 것이다. 기업들과 대형 포탈, UCC 전문 업체들이 준비하고 지향해나가야 할 항목이 아닌가 예상이 된다.
2007/12/18 19:45 2007/12/18 19:45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몇일 전에 전자신문에 나왔던 기사이다.

기사 초반에 언급되는 일부 이통사라는 것이 SKT는 별반 관심이 없고, KTF가 가장 적극적이라는 것을 제목과 본문에서 알 수 있다. 유선에서의 네이버가 가지는 브랜드 파워와 다양한 인프라를 고려해 볼 때 네이버의 정액제라는 것은 대단한 메리트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 BM의 Base에 검색이 있다면 조금 이야기가 달라진다. 풀브라우저를 통한 검색은 논외로 치고 일반 WAP 브라우저에서의 검색이 무선시장을 흔들만한 요소가 있는 것은 아니다.(일본의 특수성과 이통사내 컨텐츠 검색은 좀 다른 이야기가 되겠다.) 검색 자체가 큰 시장임에는 부정할 수 없으나 검색에서 로얄티라는 것은 없다. 어떤 자료를 찾기 위해서 여러 검색 사이트를 뒤지지 어느 한 검색 사이트를 뒤지지는 않기 때문이다. 우선순위에 문제가 있을 뿐이고, 이 우선 순위에서 국내 사용자들이 네이버를 가장 먼저 선호하고 있고, 어떠한 이유이던 대부분의 검색이 네이버의 결과로도 충분히 만족하기 때문에 다른 검색 사이트로의 유입이 작을 뿐이다.

무선에서의 검색이 유선에서의 검색과 동일하고 차별요소가 없다면 초고속 인터넷과 와이브로가 발달이 되어 있고 골목마다 PC방이 있는 우리나라 환경에서는 미래가 없다. 기본적으로 위치정보나 개인정보를 활용한 개인화된 결과를 내지 못하는 General한 검색 결과라면 정액을 지불하고 굳이 네이버 검색을 사용할 이유는 없다. 대부분의 정보는 Nate나 MagicN이 내는 결과로도 충분하며 네이버의 검색결과를 선호한다면 정액제가 아닌 지금의 서비스로도 충분하다.

검색을 근간으로 하여 모바일의 벽을 넘어설려면 네이버 검색은 좀더 모바일 환경에 친화적일 필요가 있다. 각 이통사들이 준비하고 있는 Mesh Up 서비스와의 연결하여 좀더 개인화된 결과를 보여주거나 TV의 연예 뉴스 프로그램에서 어떤 스캔들 기사를 내보내면서 아래에 자막안내를 하고, 그 안내에 따라서 "369#1"으로 문자를 보내면 그 기사에 대한 네이버 검색을 가진 CallBack을 리턴한다던가 하는 실시간 개념을 가져가는 등 말이다. 네이버는 물론 앞으로 더 많이 발전할 것이고 무선의 고려도 더 심화될 것이다. 하지만 당장은 아니다.
 
이 문제의 요지는 네이버 전용 요금제는 환영할만하고 활용방안이 많다. 그리고 검색서비스는 그 중에 일부일 뿐이라는 것이다. 자신이 운영하는 네이버 블로그에 리플이나 트랙백이 달리면 SMS로 알려주는 기능과 동일한 Level이다. 기사에서처럼 무선 인프라에 무임승차할만큼 우리나라 무선 환경이 개방적이지도 Active하지도 않다. 이러한 것은 해외의 무선 인터넷 검색도 마찬가지다. 아니라고 하는 분들은 나에게 객관적인 데이타를 던져보시라. 세계 우수 검색 사이트가 화이트라벨을 제외하고 이통사 Walled Garden 밖에서 선전하고 있는 경우가 있는지... 구글의 트랜스코딩 기술의 우위성 말고 시장 자료말이다.

2007/12/18 16:16 2007/12/18 16:16
떵꺼리

모든 걸(검색,메일,블로그...) 네이버로만 해결한다면 정액제 가입을 생각해보겠지만 그렇지 않은 현재 상황에서는 필요성을 못느낍니다.

mobizen

떵거리님의 리플과 관심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

포탈의 모바일 정책과 움직임에 대해서 문장 몇개로 언급하기가 쉽지 않은게 현재 무선의 상황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을 말씀 드리자면 네이버의 이러한 노력은 성공 실효를 떠나서 일반인들이 무선에 좀더 친숙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긍정적으로 판단하는 편입니다.국내 포탈 1위 업체로서 무선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노력하는 모습에서 점수를 줄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히려 무선에 무임승차 운운하는 것이 좀 오버이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