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디지털 라이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에 사용하던 인터넷 회선이 끊겨서 초고속 인터넷을 새로 신청하려고 하던 중이다. 가장 저렴한 하나로텔레콤광랜이 들어온다는 것을 확인하고 얼마전에 개통 신청을 했다. 그리고 예정대로라면 100M 광랜이 현재 집에 설치가 되어 있어야 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설치가 되지 않고 있다. 설치기사가 집으로 왔다가 그냥 돌아가버렸다.

이유는 우리집이 19층이기 때문이란다. 하나로에서 설치한 광랜은 한 라인을 가지고 3개의 층을 커버한다고 한다. 그래서 2층에 들어오는 라인을 1층,2층,3층이 사용하고.. 5층에 들어오는 라인을 4층,5층,6층이 사용한다. 그래서 18층까지는 문제가 없는데, 우리 아파트는 19층이다. 19층 하나를 위해서 라인을 설치하기는 아까웠나보다. 만약에 아파트 건물이 21층이면 문제가 없었을테고, 20층이면 약간 고민을 했을텐데.. 1개 층에 서비스를 하기에는 설치비용이 아까웠는지 라인 설치를 하지 않아 버린 것이다.

LG 파워콤 광랜은 3월쯤에나 설치가 된다고 하니 지금으로선 구리선으로 들어오는 회선을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되버렸다. 고민을 하던 중 당분간 와이브로를 집에서 사용하기로 했고, LG 파워콤 광랜을 기다려보기로 했다.

설치기사는 돌아가면서 이곳은 설치가 불가능한 곳이니 개통취소 처리하겠다는 말을 했다. 그 다음날 오후 하나로텔레콤 고객 센터에서 전화가 왔다. 가입신청서가 접수되었는데 온라인 개통 신청을 했기 때문에 사인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회의 중에 전화를 받았지만 자초지종을 설명하고 끊어야 했다.
그런데 그 다음 날은 "E-Mail 청구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E-mail을 받아야 했다. CRM 시스템이 대부분 메일러 발송을 스케줄링을 통해서 하며, 다수의 사람에게 순차 전송을 하기 때문에 지체 시간이 있다라는 것은 알고 있지만 2일 후에 메일이 오는 것은 이해할 수가 없었다. 결국 고객센터에 직접 전화를 걸어서 개통 취소를 확인해야 했다. 서비스와는 본질적으로 상관없겠지만 아파트 문틈에 끼어있는 "하나로 광랜 개통 축하 가입 이벤트" 팜플렛을 퇴근길에 보면서 실소를 할 수 밖에 없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비스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는 나로서는 하나로 텔레콤의 서비스 마인드에 아쉬움을 많이 느꼈다. 어찌보면 고객센터에 전화걸어서 이런법이 어디 있냐고 고래고래 소리지르면 해줄 것도 같지만 그런식의 서비스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회사를 상대로 시간을 허비하고 싶지 않았다. 국내 서비스 마인드가 다 그만그만한 것도 사실이지만 하나로의 이러한 서비스 마인드와 엉성한 처리 프로세스때문에 민원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통신위원회에서 금번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07년 초고속인터넷 민원건수가 2006년대비 62.3% 증가했으며 하나로텔레콤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하나로텔레콤의 2007년도 민원건수는 5681건이다. 이는 전체 민원의 32%에 해당하며 지역 케이블 업체를 뺀 3대업체를 기준으로 하면 44%에 해당한다. 이러한 현상은 하나로텔레콤 IPTV에 집중을 하면서 해지 절차를 어렵게 한게 크게 작용을 하였다. 결론은 매출 달성에만 급급한 서비스 마인드의 부재라고 할 수밖에 없다.

국내 인터넷 포탈은 사실 하이텔, 천리안 등의 접속 사이트를 통해 시작되었다. 접속 기술은 있었지만 서비스 마인드가 부족하여 몰락하고 말았으며 650만명에 이르는 메가패스 사용자들도 메가패스 사이트에 접속하지를 않는다. 최근에 IPTV를 필두로 하여 멤버십강화, 서비스 기획 등을 뒤늦게 하고 있는 모습이 보이는데 현재와 같은 서비스 마인드와 업무 프로세스 처리로는 기존 서비스를 이기지 못할 듯 하다. 핸드폰이라는 Device를 만드는 공장에 머물지 않고 더 큰 도약을 꿈꾸며 활발하게 활동하는 노키아를 보고 뭔가를 좀 느끼기를...
2008/02/01 11:30 2008/02/01 11:30

얼마전 사용하던 인터넷을 하나로에서 파워콤으로 바꿨습니다. 전화는 하나로 텔레콤을 계속 유지 했구요. 쉽게 이야기 하면 전화는 하나로 텔레콤을 사용하고 있고, 인터넷은 파워콤을 이용..

Nights

저도 불편함을 느껴서 이번에 명의를 제껄로 바꾸고, 파워콤이나 KT 로 갈아탈려고 합니다. 에휴

mobizen

KT던 파워콤이던 사실 서비스 마인드가 고만고만해서 문제긴 하지만 한번씩 바꿔줘야 정신을 좀 차리기는 할 듯 합니다. ^^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1. 들어가는 글

'2012년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시장 규모는 648억달러' 포스팅에서도 언급이 되었지만 벨소리, 통화 연결음, mp3 등을 필두로 한 모바일 뮤직 시장은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추이는 계속 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 이렇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모바일 뮤직은 그 위상에 비해 연구나 관련 자료등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러한 이유로는 CD, 라디오, 웹, mp3 Player 등의 기존 미디어에서 보여주었던 BM과의 차별성을 정의하기 어렵고, 기획사나 원곡의 저작권자에 따라서 그 유통 구조나 수익 배분 등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부족한 모바일 뮤직시장에 대한 자료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금번에 모바일 뮤직에 자료를 시리즈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모든 것을 공개하기에는 블로그라는 공간이 적절치는 않으니 그 수위나 범위를 적절하게 유지할 것이다. 전체적인 구성은 개요와 시장 분석, 벤더 동향, 국내 현황, 소비자 만족도 등으로 이루어 질 것이다. 시리즈 작성 중에 혹시나 요청사항이나 질문이 있으면 내용이 추가될 수도 있다.

금번 시리즈에서 모바일 뮤직이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기기에서 플레이 할 수 있는 음악"이라고 정의하겠다. 즉, 네트워크 기능이 없는 스마트폰이나 PMP, mp3 Player, 그리도 네트워크 기능이 있더라도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지 못하는 PDA등은 제외한다.



2. 기회요인과 장애요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뮤직의 성장에는 기회요인과 장애요인들이 존재하고 있다. 먼저, 몇가지 주요 기회요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가장 중요한 요인은 원곡을 가지고 다양한 미디어나 서비스로의 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기본적인 Polyphonic 벨소리, 원음 벨소리, 통화연결음, 통화 중 배경음, Full Track mp3 등 다양한 서비스로 쉽게 이식을 할 수가 있다.
위의 내용을 다른 관점으로 보면 제품의 진화가 그만큼 빠르고 다양하게 진행한다는 이야기이다. 신흥 시장에서는 배경화면 다운로드와 함께 Polyphonic 벨소리가 모바일 데이타 시장의 기본을 이루게 된다. 국내에서도 통화 연결음의 엄청난 성장을 옆에서 지켜 본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근래에는 원음 벨소리, 뮤직 비디오 배경 화면, 통화 중에 배경으로 설정을 할 수 도 있고, 개인이 원음을 편집하여 특정 부분만을 사용이 가능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또한 음악 시장은 '10대'라는 확실한 시장이 있다. 미국에서 십대는 "iPod = 포터블 뮤직" 이라는 공식과 더불어 모바일 뮤직에 대해 거부감 없이 받아 들이고 있다. 이는 구매태도에도 적용되어 시장 활성화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디지털 음악 시장은 2004년에 이미 오프라인 유통 시장의 매출을 넘어섰다. 대형 기획사와 음반사들이 디지털 음악 시장에 매진하고 있고 다양한 유통 채널을 찾고 있다. 앞선 여러 요인에 의하여 모바일 뮤직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대형 업체들이 모바일 유통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이 전체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시장에 활력소가 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반면에 모바일 뮤직은 모바일이라는 제한된 영역안에 있으므로 모바일 엔터테인먼트가 가지고 있는 대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 수 밖에 없다. 첫번째가 하드웨어의 제약인데, 많은 양의 음악을 담아야 하는 십대들에게 256MB 정도의 휴대폰 용량은 턱 없이 부족하다.  물론 메모리 카드가 저렴해지면서 예전에 비해 상황은 좋지만 기본 메모리가 작은 것은 사용자들의 불만 사항이다. 음악을 켜 놓고 들고다니면 밧데리의 소모량이 많아 지기 때문에 정작 핸드폰의 기본 기능인 전화를 사용할 때 밧데리가 부족해지는 불편함도 쉽게 경험할 수 있다.
가격은 Full Track 음원의 경우는 사용자들이 별 거부감이 없는 편이지만 일부 영역만 들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비싸다고 많이들 느끼고 있다. 특히 신흥시장에서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Polyphonic 벨소리의 가격은 iPod나 mp3 Player등에 의해서 높아질 데로 높아진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비싸게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다운 받기 위해서 비싼 무선 패킷 요금을 들여가면서 불편한 WAP 브라우저를 통해 검색하고 다운을 받는 것 또한 문제이다. 실제로 이러한 다운로드의 일련의 과정에서 소비되는 패킷비용이 실제 컨텐츠인 음원의 비용보다 비싸게 느껴진다.
불법 복제가 상대적으로 어렵기는 하지만 상대적이라는 전제일뿐 원소유자 입장에서는 신경이 쓰이는 이유이다. 다양한 모바일 DRM의 시도가 있었지만 표준화의 문제도 그렇고 가시적인 성과가 없는 것도 부담스럽다.



3. 종류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뮤직의 종류를 위의 표로 정리를 해 보았다. 서비스 쪽은 누구나 다 알 수 있는 내용이라 일일이 설명을 하지는 않겠다. "월정액 기반의 렌탈 서비스"만을 부연 설명을 하자면 국내의 멜론, 도시락, 뮤직온과 같은 서비스를 말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기(Device)쪽의 종류는 약간 설명이 필요할 듯 하다.
첫번째는 음악을 듣는데 최적화되어 있는 휴대폰을 말한다. LG 전자에서 얼마전에 발표한 "랩소디인뮤직폰"의 경우가 대표적인 예가 되겠다. 음향계의 거장 마크레빈슨이 직접 튜닝을 한 폰으로 가수들이 디지털 싱글 발표를 해당 모델에서 했다고 대대적인 광고를 하고 있다. 고급 사양인만큼 가격대는 높은 편인데 "랩소디인뮤직폰"은 거의 50만원에 이르고 있다.
두번째는 음악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스마트폰인데 현재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여기에 속한다. 가격은 중,고가이며 프로그램이나 사용법이 PC와 유사하므로 사용자들에게는 친숙한 편이다. 하지만 음악을 듣는 것 자체가 목적이 아니므로 음질이나 사용법은 평이하다고 할 수 있다.
세번째는 mp3 플레이어가 내장되어 있는 기본 뮤직폰이다. 요즘에 mp3 플레이어가 없는 폰은 좀처럼 보기 힘드므로 대부분의 핸드폰이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겠다. 위의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음악이 목적이 아니므로 음질은 평이하며, 사용자들도 음악을 듣기 위해 핸드폰을 선택하지는 않는다.

위의 자료는 OVUM 보고서 중 일부로 위 세가지 유형을 잘 표현하고 있다. 음악을 좋아하고 소비하는 사용자는 많지만 음악때문에 폰을 선택하는 사용자들은 아직 많지 않으므로 당분간 기본 뮤직폰의 소비가 가장 많고 고급사양휴대폰이 가장 적은 시장의 비율이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2008/01/30 18:05 2008/01/30 18:05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정보통신부가 이달 내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보고키로 한 '통신요금 인하안'에 '기본료 및 가입비' 인하는 포함되지 않을 전망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F, LG텔레콤은 최근 정통부에 제출한 요금인하안에 기본료 및 가입비 인하는 고려하지 않고 다양한 할인요금제 등 통화요금과 관련된 인하안을 제시했다.

시민단체와 네티즌들은 모든 휴대폰 가입자가 요금인하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기본료 및 가입비 인하를 요구하고 있지만 이통사들은 인수위의 통신요금 인하 방침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기본료 및 가입비 인하는 전혀 고려치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예상된다.

(중략)

이 관계자는 또 "가입비의 경우 전산 처리 비용 등으로 사용되지만 사실상 가입자를 묶어 두는 효과도 있기 때문에 기본료와 함께 인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전문보기)

어제(2008년 1월 24일) 이투데이에 게제된 기사의 일부이다. 논란이 되고 있는 통신 요금 인하 중에 다방면으로 고민하고는 있지만 기본료와 가입비에 대한 고려는 전혀 없다는 것이 골자이다. 그렇자면 일반 사용자가 느끼는 휴대폰 이용요금 중에 비싸다고 느끼는 부분은 어떠한 것일까?

2008년 1월 3일날 마케팅 인사이트에서 발표한 "이동통신 요금 및 만족도"에 의하면 기본료(30.9%)에 대한 불만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가 되었다. 그 다음은 '장기간 사용해도 혜택이 적어’(21.7%), ’10초당 통화료가 비싸’(16.4%) 가 차지하고 있다. 체감적으로 기본료가 비싸다고 일반 사용자들이 느끼는 것이다.

기본료에 대한 반감에 대해서 각 세그먼트별로 좀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중, 고등학생들의 반발은 각각 42.8%, 44.3%로 거의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통신사별로는 SKT(34.3%), KTF(27.5%), LGT(17.7%)를 차지하여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아래는 해당 발표자료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재구성을 해본 그림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통신사 서비스 요금에 대한 불만족 이유


설문에 가입비가 없어서 언급이 되지 않고 있지만 실상은 가입비에 대한 정확한 근거 자료가 없는데다가 액수도 작지 않아서 불만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원문 기사에서는 전산 입력비용이라고 하는데 전산 입력 비용이 55,000원에 이른다는 것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결국은 고객 이탈방지라는 자신들만의 이해할 수 없는 논리로 하여 근거없는 비용을 소비자가 부담을 하고 있는 것이다.

어찌보면 한 기업의 가격 정책을 소비자가 너무 간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공공의 자산인 전파를 임대하여 이용하는 것을 사업의 근간으로 삼고 있으며 서민들의 생활요금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생각하면 일반 사용자들이 목소리를 낼 권리는 당연히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진짜로 원하는 바를 모르지는 않을텐데, 자신의 밥그릇 지키기에 바빠서 소비자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이통사들은 역시 정신 차릴려면 먼 듯 하다.
2008/01/25 09:49 2008/01/25 09:49

2/19~21에 걸쳐 AT&T, Verizon, Sprint, T-Mobile 등의 북미 이통사업자들이 월 $99.99에 무제한으로 음성통화할 수 있는 패키지를 발표했습니다. 사업자마다 약간 상이하지만, Verizon의 경우 $119.99 에 ...

얼마전 있었던 모바일 콘텐츠 관련 토론회에 현업의 의견을 간접적으로 개진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토론 참가자들의 발제문에 제언을 하는 방식이어서 체계적이지는 않지만 나름대로 정리해..

Posted
Filed under 리뷰
1. 들어가는 글
사용자 삽입 이미지
(Source : SA)

위는 리서치 기관 SA에서 2007년 11월에 발표한 세계 카메라폰 시장 규모 자료이다. 꼭 이런 자료를 가지고 이야기 하지 않아도 이제는 핸드폰에 카메라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핸드폰을 이용해서 사진을 찍는 것이 그만큼 우리 생활에 깊숙히 들어와 있는 것이다. 이렇게 찍은 사진을 일일이 PC에 케이블로 연결하여 Sync를 하고 편집한 후 자신의 블로그나 미니홈피에 올리는 이들이 많아졌다. 하지만 일련의 과정이 상당히 번거롭고 귀찮을 때가 있다. 점차적으로 PC에 연결하는 일을 미루게 되고, 그러다 보면 사진찍는 것도 시들해진다. 사진을 PC와 연결하지 않고 자동으로 업로드 하는 방법이 없을까? 이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Nate 포토앨범' 서비스이다.

'Nate 포토 앨범'은 T World 내에서는 '폰사진 자동 저장 서비스'라는 명칭으로 안내되고 있으며 심야시간에 유휴 네트워크망을 활용해 단말에 저장된 모든 사진을 자신의 개인공간(마이앨범)으로 일괄 자동업로드 하고, WEB, WAP(Nate무선인터넷), VM(ⓜPlayon)에서 편리하게 활용 및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또한 옵션을 선택하여 자신의 미니 홈피에도 같이 업로드를 할 수 있다.



2. 시작하기

Nate 포토앨범은 월정액 기반이며 VM으로 서비스 된다. 모든 폰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보유하고 있는 폰에서 사용가능한지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보고 가입을 하는 것이 좋다. 물론, 지원되지 않는 폰은 가입시 사용할 수 없다고 고 안내문구가 나오면서 가입이 되지는 않는다.
지원되는 단말 목록은 2007년 12월 12일 현재 총 90개이며 목록은 아래와 같다. 지원하는 단말은 계속되어 추가 되므로 추후에라도 자신의 폰 모델이 이 목록에 없더라도 확인해 보는 것이 정확하다.

- 삼성
SCH-B300,SCH-B330SS,SCH-B340,SCH-B360,SCH-B380,SCH-B410,SCH-B450,SCH-B470,SCH-B490,SCH-B500,SCH-B510,SCH-B540,SCH-B550,SCH-B560,SCH-B570,SCH-B590,SCH-B600,SCH-B630,SCH-B640,SCH-B660,SCH-B680,SCH-B710,SCH-B750,SCH-C210,SCH-C220,SCH-S230,SCH-S500,SCH-V650,SCH-V670,SCH-V700,SCH-V720,SCH-V740,SCH-V770,SCH-V840,SCH-V850,SHC-V870,SCH-V890,SCH-V900,SCH-V910,SHC-V920,SCH-V940,SCH-V960,SCH-W200,SHC-W210,SCH-W240,SCH-W270,SCH-W290,SHC-W300,SCH-W330,SCH-W380

- 팬택
IM-8400,IM-8500,IM-R100,IM-R110,IM-R200,PT-S100,IM-S110,IM-S130,IM-S230,IM-U100,IM-U110,IM-U130,IM-U140,IM-U150,IM-U160,IM-U170,IM-U200,IM-U210,IM-U220,PT-S200

- LG
LG-SB190,LG-SB270,LG-SB310,LG-SB630,LG-SH100,LG-SH110,LG-SH130,LG-SH150,LG-SH170,LG-SV240,LG-SV260,LG-SV280,LG-SV300,LG-SV590

- 모토로라
V9m,MS550,MS700,MS800,VK600C,VK700C

월정액 가입과 VM을 다운받기 위한 접속경로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입을 선택하고 동의를 하면 가입 처리가 된 후에 VM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주소와 함께 SMS을 수신하게 된다. 이때, 접속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다운로드가 된후, 설치를 하게 된다. 가입은 http://photo.nate.com/ 에서도 가능하며 가입할 때 싸이월드 자동 전송에 대하여 옵션 선택을 할 수가 있다. 기본 서비스는 월 1,500원으로 즐길 수 있으며, 자신의 미니홈피로도 동시에 업로드 할 수 있는 싸이월드 옵션을 선택하면 월 500원이 추가되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서비스 사용하기

기본적으로 Nate 포토앨범 VM은 폰에 있는 사진을 홈페이지와 미니홈피로 업로드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새벽에 사진을 업로드 하는 것이 기본기능이다.  특별한 설정을 하지 않으면 랜덤한 시간에 업로드가 되며, 원한다면 특정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현재 단말에 있는 사진 목록을 보며 이미 업로드된 사진과 업로드 할 사진을 볼 수 있으며, 특정 사진의 업로드를 여부 또한 설정이 가능하다.

마이앨범 메뉴를 통하며 이미 업로드되어 있는 사진의 목록과 앨범 관리가 가능하다. 기본 앨범 이외에 앨범을 생성하거나 각 앨범에 대한 공개/비공개 여부, 댓글알리미 여부, 스크랩 허용 여부, 즐겨찾기 허용 여부 등의 설정도 가능하다.

물론 위와 같은 관리는 모두 Web에서도 가능하다. 사진을 올리거나, 앨범을 관리하거나 댓글을 입력하는 것등의  모든 서비스들이 유선과 무선이 완벽하게 통합되어 서비스가 되고 있다. 참고로 필자는 본인의 폰이며 Nate 에 폰인증이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웹과 동기화가 되지 않았다. 이럴 경우에는 '마이앨범 정보관리'에서 '폰번호 변경' 메뉴를 통해서 폰 인증을 다시 한번 받으면 해결이 된다.



4. 다양한 공유 서비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을 필두로한 UCC가 모두 그러한 듯 Nate 포토 앨범 역시 업로드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공개하고 공유하면서 다른 사용자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태깅, 댓글, 스크랩 등을 지원하고 있다. 등록된 사진은 태그를 기준으로 하여 카테고리별로 구분되어 등록된다. 사이트에는 다양한 주제로 포토 콘테스트가 열리며, 채택이 되면 최대 5만원 상당의 선물을 주게 된다. 2008년 1월 18일, 현재는 "싱숭생숭 포토~"라는 주제로 콘테스트가 열리고 있다. 공개되어 있는 사진들을 보는 것도 재미난다. 외모에 어느 정도 자신감이 있는 분들이 공개를 하는 듯 아름다운 여성이나 잘생긴 남성들이 많으므로 솔로분들은 관심있게 보시라.

웹에서는 '엔터테인먼트' 메뉴 아래에 일반인이 찍은 UCC외에도 "Korea그라비아', '스타화보', '스타블로그' 등도 있다. 포토서비스인 만큼 사진 인화나 사진 꾸미는 서비스도 지원을 한다. 사진 인화는 웹을 통해서도 가능하고 모바일에서도 추가 VM을 다운로드 받으면 가능하다. '포토 꾸미기'에는 얼굴 보정을 해주는 '포토스피드성형', 재미난 이미지와 합성을 할 수 있는 '세상에 이런 포토', 그리고 사진을 통해 관상을 봐주는 '모바일 관상' 등의 메뉴가 있다.

좀 재미있는 개념이 보통의 메타 태그를 생성자만 할 수 있는 것이 비해 '주인장태그'와 '방문자태그'로 구분되어 모두 태깅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메타 블로그나 다른 UCC 사이트에서도 추가해도 재미난 기능이 될 듯 하다.



5. 마치는 글

가장 아쉬운 것은 Nate 에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마케팅이 소극적이라는 것이다. 이는 Nate의 전략 상품인 'tossi'를 비롯한 유사한 서비스가 많다라는 것과 VM이 지원하는 단말이 아직은 많지 않다는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듯 하다. 타 서비스와 충돌이 나는 문제는 Nate 포토앨범은 폰 자동 전송 서비스로 명확하게 서비스 성격을 구분하고 지금은 '싸이월드'만 존재하는 옵션 서비스를 다양하게 확대하는 것으로 해결해야 할 듯 하다. 단순하게 무선 Nate 안에 있는 서비스나 SKT의 관계사 서비스만을 지원할 것이 아니라 설치형 블로그나 포탈의 블로그, 미니 홈피, 카페, 커뮤니티 클럽 등을 다양하게 옵션으로 지원하면 좀더 경쟁력이 있을 듯 하다. 지원되는 단말이 작은 것은 시간을 두고 천천히 해결이 될 듯 하다. 필자의 폰의 경우도 12월 초까지 지원을 하지 않았지만 새로 추가되는 단말에 포함되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었다.

SKT내에 유사 서비스가 하나만 존재한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이미 충돌이 나는 서비스가 다수인 관계로 Nate 포토앨범 내의 커뮤니티 성격은 언젠가는 버려져야할 항목인 듯 하다. '사진 자동 전송'이라는 개념을 기본 솔루션으로 하여 다양한 외부(!) 서비스와 접목한다면 많은 사용자 층을 확보할 수 있을 듯 하다.
미니홈피와 같은 외부서비스로의 자동 전송이 과연 옵션이어야 하는 것도 생각해볼 문제이다. 사용자들이 네이트 포토 서비스(Web)으로 전송하고 미니 홈피가 옵션인 것이 원할까, 아니면 미니홈피로의 전송만을 원할까... 현재는 미니홈피로의 자동전송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네이트 포토로 자동 전송이 선택되어야만 가능하다.

폰카로 찍는 사진의 해상도가 점점 좋아짐에 따라 단순한 개인적인 사진 외에도 기업형 시장과 접목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도 이용될 수 있었으면 한다. 폰카로 사진찍는 횟수가 많으며 이러한 사진을 미니홈피로 업로드를 빈번하게 하는 분이라면 사용해 봄 직한 서비스이다.
2008/01/19 01:14 2008/01/19 01:14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요 근래 정체를 알 수 없는 서비스를 계속 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qipit 라는 이름의 이 서비스는 폰카로 찍은 문서, 화이트 보드, 노트 등의 사진을 MMS나 E-mail로 전송하면 pdf로 변환을 해주는 서비스를 한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1. https://www.qipit.com 로 방문에 계정을 만들고, 자신의 핸드폰 번호와 모델을 등록해 놓는다.
2. 회의 중에 써 놓은 노트나 화이트 보드, 그리고 문서등을 폰카로 찍는다.
3. 자신의 핸드폰이나 PC로 그 이미지를 copy@qipit.com 를 수신자로 하여 발송한다.
4. pdf로 변환된 link를 받게 된다.
5. 모든 비용은 무료이다.

E-mail로 보내도 되므로 MMS를 사용하여 보내보기도 했고, 계정을 만들 때 내 번호 앞에 국가 번호 82를 붙혀서 테스트도 해 보았지만 국내 핸드폰에서는 실패하였다. 물론 돌아오는 MMS 망 연동이 안되어 있으니 당연할지도..
결국 PC에서 테스트를 해보았다. 가지고 있는 LG 초콜렛 폰으로 문서를 찍은 후, 해당 이미지를 등록하니 pdf가 생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qipit.pdf

생성된 pdf


내가 너무 기대를 했나? 일단 jpeg 이미지를 pdf로 컨버팅을 해주는 것 말고는 없다. 물론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밝기 조절, 가장자리 컷팅 등의 작업은 한다. 하지만, 이미지를 문자인식 엔진을 통해서 Text로 바꾸어 주는 기능은 없었다. 그러고 나니 도대체 이 서비스가 뭘 위한 것인지 모르겠다. 이미지 포맷을 pdf로 바꿔서 뭘 어쩐다는건지? 물론 사이트에 보면 Documents 관리 기능이나 이를 팩스나 E-mail로 전송도 가능하며, 특정 멤버와 공유를 할 수 있다고는 하는데 그게 왜 jpeg면 안되고 pdf로 변환을 해야만 하는 걸까?

폰카 이미지를 활용하여 업무에 사용하려는 컨셉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으나 이를 어디에 응용을 해야 하는지 감이 잡히질 않는다. 요즘 문자 인식 기능이 추가가된 디카를 생각해보면 그러한 기능이 폰카에 있어도 될 것 같고.. 잘 고민해보면 뭔가가 나올 것 같기도 한데.. 잡힐듯.. 말듯...
2008/01/15 11:03 2008/01/15 11:03
Nights

유용할것 같기도 하네요 ^^;;
하지만 휴대폰의 카메라 성능이 좀더 좋아야 할듯 합니다.

mobizen

유용이라는 건 개인의 필요나 성향에 따라 다르니깐요~ ^^;;

개인적으로 이 서비스 자체만을 평가한다면 절대 성공할 수 없는 서비스죠. 제가 고민하는 것은 폰카를 이용해 업무에 적용하는 발상입니다. 아직까지 폰카에 대한 응용서비스가 UCC나 재미 위주여서 좀 더 영역을 확대시키려는 의도를 높게 평가한겁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얼마전부터 무선 Nate 검색을 하면 나오던 웹검색 결과 중에 네이버 결과가 빠져있다. 네이버를 제외한 다음, 야후, 구글의 검색 결과는 아직도 존재한다. 
T interactive에는 네이버 검색 엑스퍼트가 지난달(2007년 12월)에 추가되었고, 풀브라우저를 사용하면 웹과 동일한 검색 화면을 얻을 수 있으므로 크게 불편한 점은 없지만 빠지게된 정치적인 이유나 전략적인 배경이 궁금하다.

타 이통사의 경우를 보면 지난해 9월에는 KTF 멀티팝업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LGT와는 포괄적 업무 제휴로 인해 무선 인터넷 ez-i 에 접속하여 메인페이지 검색창을 네이버로 설정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무선에서의 네이버전용요금제" 포스팅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네이버의 현재 무선 검색 가지고는 경쟁력을 가지기가 힘이 들다. 검색으로 이통사와 Deal하기에는 무리일텐데 자꾸 변화를 시도하려는 이유를 모르겠다. 검색 엔진에 자신이 있는 건지 무선인터넷 시장의 이해도가 부족한건지...
2008/01/10 11:11 2008/01/10 11:11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mobizen

관심 감사드립니다.
모쪼록 하시는 서비스 완성되시면 한번 접해볼 수 있는 기회 부탁드립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Source : 한겨레 신문)

2008년도가 시작되면서 SMS 요금이 3사 모두 인하가 되었다. 꽤나 중요하고 큰 이슈인데도 의외로 조용하다.  단순하게 30원에서 20원으로 내리는게 전부일만큼 문자가 간단하지 않다. 정액제, 문자쿠폰, 로밍 등의 내용이 있기 때문이다. 혹시 도움이 될 듯 하여 간단하게 정리를 해 본다. 내용을 보면 이통사들의 전략과 고객을 대하는 태도를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문자정액제 사용자들의 대부분은 Max 만큼 사용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한 점에서 그나마 현실적인 LGT의 문자 정액제 인하와 대조적으로 KTF는 모든 사활을 3G에서 풀어보겠다는 의지와 SKT의 고객무시 정책에서 3사의 태도를 알수 있다.

사실 이통 3사의 가격은 이미 많이 인하가 되었다. 무선 인터넷 패킷 비용 인하와 망내 할인, 그리고 이번의 문자할인까지... 하지만 고객들은 아직도 통신 요금은 비싸다고 인식하고 있고, 차기 대통령또한 통신비용을 거론하고 있다. 이는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은 도대체 어디에 사용하는지 출처를 알수가 없는 가입비와 기본요금에 대한 인하가 아닐련지.. 그리고 진정으로 고객이 필요로하는 가격 정책을 만들 줄 아는 자세...
2008/01/04 13:56 2008/01/04 13:56
리브리스

SKT는 가입비도 가장 비싸죠(고객무시 ^^;;) 통신사도 나름대로 할말은 있겠지만 그동안 투자비회수는 된 걸로 알고 있는데요. 이제는 적절한 경쟁과 이윤추구가 수반되어야 하는데.. 그래야 서비스와 기술발전도 이룩할 수 있고요. 지금 통신사들 정책을 보면 밥그릇 언제 놓아야 할지 재는 것 같은 인상밖에 안풍깁니다.

mobizen

5만 5천원은 너무 비싸지요. 기본 요금도 SKT가 다른 통신사에 비해서 비싸지 않나요?

Posted
Filed under 리뷰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들어가는 글

온라인 게임, 엔터테인먼트, 정보 등이 발달되어 있고 온라인 컨텐츠의 활성화가 일반화 되어 있는 현재에서도 아동용 컨텐츠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이다. 현재 온라인 교육컨텐츠는 수험생과 자격증, 영어 정도에 치중이 되어 있고 아동용 컨텐츠는 찾아보기 힘들다.

키즈 시장규모는 연간 17조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수치이지만 대부분이 학습지를 중심으로한 Offline에 치중이 되어 있다. 대형 업체인 대교의 edupia와 한솔교육의 재미나라 정도가 국내 아동 컨텐츠에 투자를 하고 있을 뿐이다. 온라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장규모가 작은 모바일에서는 더욱 심각하다.

아동용 컨텐츠를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오늘은 국내에 흔하지 않는 아동용 컨텐츠 중, 모바일 Edutainment인 모바일 재미나라를 리뷰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2. 둘러보기

접속하는 방법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을 통하면 접속이 된다. 전체적인 메뉴 구성은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5년 9월에 처음 런칭했을 때는 동영상 위주의 구성이었지만 오랜 기간을 통해서 대부분의 컨텐츠를 VM으로 제공하여 훨씬 쾌적하고 쉽게 모바일 재미나라를 즐길 수 있게 되어 있다.

가격표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처음부터 유료 컨텐츠를 구입하기가 부담스러운 사용자들은 무료맛보기 메뉴를 통해서 몇몇 컨텐츠를 무료로 즐길 수가 있다.



3. 컨텐츠 즐기기

재미나라는 MBC의 브레인서바이버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소개되었던 "올챙이송"을 통해 인지도가 높아진 교육 브랜드이다. 아동 포탈인 쥬니어네이버, 야후! 꾸러기등에도 볼만한 컨텐츠는 거의 재미나라의 아웃링크이다. 국내 키즈시장의 30%를 잠식하고 있는 기업답게 아이들이 좋아할 훌륭한 컨텐츠들을 웹에 보유하고 서비스 중에 있다. 이러한 다양한 컨텐츠를 모바일로 포팅한 것으로 모바일 재미나라는 이루어져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아용 컨텐츠인만큼 게임나라를 제외하고는 일방향의 화려한 움직임과 색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아이들이 있는 집안 치고 재미나라 동요를 모르는 집은 없으리라. 온 국민이 부르던 올챙이와 개구리를 비롯하여 곰잡으러 갑시다, 누가누가 잠자나, 장난감 기차, 악어떼, 엄마돼지아기돼지 등 웹에서 익숙하게 듣던 동요를 그대로 모바일에서 듣고 볼수가 있다.
VM으로 되어 있으므로 한번 다운로드를 받으면 언제 어느때 던지 아이들이 보고 싶어할 때 보여줄 수 있다. 일방향의 컨텐츠이고 한번 플레이시키고 나서는 보기만 하면 되므로 낮은 연령때 어린이들은 동요나라를 가장 좋아할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화나라의 경우 나이가 4-5세 이상이 되어야 집중을 할 수 있을 정도이다. 짧은 챕터들로 구성되어 있어 질려하지 않을 정도이다. 동화에서는 그림과 함께 글이 나오고 성우가 그 글을 읽어주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성우의 사운드는 모바일의 특성 때문인지 그다지 명쾌한 전달을 하지는 못하고 있다.
아쉬운 것은 동요나라에 비해서 양이 많지 않다는 점이다. 창작 동화에서는 엄마 아빠 결혼사진에는 왜가 내가 없죠, 커다란 무, 여우와 곰 세마리, 고양이집에 불이 났어요 등 4개의 컨텐트만 존재하고 영어 동화에서도 역시 4개의 컨텐츠만 존재한다. 동화 나라에서는 동화를 VM으로 제공하지만 반쪽이, 팥죽할머니와 호랑이, 토끼와 자라, 직녀와 견우, 구렁렁덩 새 선비 등은 "동화 옛이야기"라는 카테고리로 구분되어 동영상 나라에서 VOD를 통해서 볼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게임나라는 재미나라 홈페이지에 있는 플래쉬게임을 그대로 모바일로 포팅해 놓이다. 나이가 어린 영아의 경우에는 조금 어려운 게임이다. 게임의 완성도는 일반적인 모바일 게임에 비해 떨어지나 어린이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생각하면 납득할만한 수준이다. 동일 게임을 웹에서 보고 싶으면 재미나라 홈페이지에 접속 후에 창의나라 카테고리 안의 놀이똑똑을 찾아가면 된다.

동글동글짝짝은 재미나라 홈페이지의 동일 카테고리에 있는 컨텐츠를 그대로 옮겨 온 것으로 멍멍이 사형재, 뮤리, 새지, 아링, 테로라는 캐릭터를 활용하여 창작 동요를 보여주고 있다.

키즈웰빙은 튼튼한 아이, 즐거운 아이, 여유있는 아이, 행복한 아이 라는 큰 카테고리를 가지고 게시판 형태로 아이들과 부모들이 궁금해야할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4. 부족한 컨텐츠와 로얄티

위와 같은 서비스는 국내 환경에서 상업적으로 성공하기는 굉장히 힙든 서비스다. 모바일의 유아컨텐츠를 흔히 이야기할 때에 LGT에 있는 유사 서비스의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을 하는데, 굉장히 특별한 Case였으며 실제로 오래가지 않았다. 위의 서비스는 온라인과의 연동이나 서비스 또는 투자로 생각하면서 유지해야지 애초부터 상업적인 성공을 기대하다보면 기업의 입장에서는 실패를 할 수 밖에 없다.

모바일 재미나라의 경우가 그러한 경우이다. 애초부터 상업적인 성공을 바랬다.(개인적으로 잘 알고 있는 기업이다.) 월정액 회원이 증가를 해야 하지만, 한번 가입해서 대부분의 컨텐츠를 다운 받은 후에 이동중이나 집에 있을 때 아이들이 보여주면 좋아한다. 하지만 다양한 컨텐츠가 자주 업데이트되지 않으므로 월정액을 유지할 이유가 생기지 않으므로 해지를 하게 된다. 이러한 해지는 서비스 업체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고 이러한 수익성 악화를 다시 컨텐츠 업데이트를 하지 못하게 되는 악순환을 낳는다.

결국 이러한 서비스는 컨텐츠 업데이트 빈도에 따라 유지할 수 있느냐가 결정이 되는데 지금의 컨텐츠의 퀄리티는 훌륭하지만 신규가 없으므로 실패이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이윤을 바라볼 수 밖에 없으므로 애초에 이러한 서비스는 한솔교육에서 직접 하던지, SKT의 지원을 받아야만 가능하다.

또한 유아가 놀 수 있는 컨텐츠를 훌륭하지만 부모들이 즐길 컨텐츠나 의사 소통 수단을 전혀 없다. 일방적인 컨텐츠의 백화점식 배열이라면 로얄티가 생기지가 않는다. 재미나라 회원을 위한 특정 서비스라던지, 부모들을 위한 의사소통 방안, 재미나라 회원인 자신의 아이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로 부모들이 알 수 있는 등, 오히려 재미나라 회원에 특화된 서비스를 하였더라면 기업의 입장에서는 덜 실망하지 않았을까 싶다.



5. 끝맺는 글

유아용 컨텐츠의 가장 큰 특징은 구매자와 실사용자가 다르다는 점이다. 모바일 재미나라의 경우는 실사용자의 타겟은 3세부터 7세까지의 유아로 맞추어져 있고, 구매자는 30대 초반으로 맞추어져 있다. 10대 일변도의 모바일 컨텐츠에서 30대가 구매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컨텐츠이다. 이러한 마케팅 타겟과 재미나라의 오프라인 브랜드를 잘 활용을 하면 직접적인 성공보다는 브랜드 인지도와 잠재고객 잠식등의 효과는 분명히 있을 것이라 판단이 된다.

중요한 것은 아이들이 좋아하다는 것 아니겠는가? 밖에서 쇼핑 할때, 식사중일 때 울고 보채는 아이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가장 안성맞춤인 컨텐츠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기업에서 모바일을 바라보는 각도와 엇갈리는 마케팅 포인트가 아닐련지..
2007/12/22 14:28 2007/12/22 14:28
티거

중국에선 KID 폰이 역대 최강의 실패작 중에 하나라죠? 폰값/유지비보다 보모를 구해서 아기 옆에 바짝 붙이는 게 싸게 친다나.. 뭐라나... ( China Mobile B2B 담당자가 농담으로 한 이야기 인데 사실인지는 알수 없습니다.. ㅋㅋ )

mobizen

아직까지 유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Biz가 쉽지 않은 것은 사실이죠~ 어쩌면 고객보다는 유아 전문 기업의 보수적인 성향이 근본적인 원인일 수도 있을 듯 합니다. ^^

리플 감사드립니다.

Posted
Filed under 리뷰
1. 들어가는 글

모바일에서 뉴스를 공짜로 보는 방법은 너무나 많다. 이미 리뷰를 통해서 설명을 했던 네이트 투데이나 티인터렉티브를 이용하면 다양한 뉴스를 무료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필자와 같은 모바일에 익숙한 사용자와는 달리 대부분의 사용자는 여기서 무료가 정보이용료만을 언급하는 것이며 무선패킷비용은 발생을 한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 오늘 리뷰를 통해서 소개할 모바일 조선의 경우는 복잡한 가입 절차와 같은 것 필요없이 모든 서비스를 완전히 무료로 즐길 수가 있다. 참고로 조선일보 구독여부와 아무런 관계가 없이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2. 설치하는 법

모바일 조선은 WAP 서비스가 아닌 VM으로 동작을 한다. VM을 다운로드 받는 방법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면 가입 및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다. 가입을 한다라는 의미는 모바일 조선은 단순히 VM 사용뿐만 아니라 속보를 SMS를 이용해서 알려주는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조선일보의 뉴스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이유 때문에 모바일 조선을 해지하기 위해서는 단순하게 VM을 삭제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고객센터 1577-8585에 전화를 걸거나  http://mobile.chosun.com/ 을 통해서 해지 의사를 밝혀야 조선일보의 뉴스 문자가 오지 않게 되어 있다.



3. 사용방법

사용방법은 극히 쉽다. 기사의 카테고리를 뉴스, 재테크, 스포츠, 연예, FUN 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기사는 토탈 약 30개 정도를 제공하여 준다. 모바일 조선 VM을 한번 설치하면 새벽에 기사가 오게 되고 그 기사를 저장해서 보여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기사를 보는 속도나 환경은 쾌적하다.

카테고리 구분이 섬세하지가 않아 조금은 엉뚱한 카테고리에 기사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를 테면 오늘자 기사 중에 IT와 관련된 기사 "소리바다", "LG 텔레콤 인사 소식"등은 "재테크" 카테고리 안에 들어가 있으나 기사의 수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혼동을 줄 정도는 아니다.

날마다 오는 기사는 update되기 때문에 어제 날자의 기사는 볼 수가 없게 된다. 그래서 중요한 기사의 경우는 스크랩을 하여 저장을 해놓고 언제든지 볼 수 있다. 이벤트와 공지사항의 경우 메뉴 버튼을 클릭해서 볼 수 있으며 친구에게 모바일 조선을 선물하여 알릴 수 있는 메뉴도 존재한다.

환경설정을 통하여 글자와 배경색을 6가지 옵션 중에 선택할 수 있고 스크롤 속도도 설정을 할 수가 있다. 환경설정 중에 유의할 내용은 자동실행 부분인데 이 부분을 "설정"으로 해 놓은 경우에는 새벽에 뉴스를 수신한 후 모바일 조선 VM이 실행되게 되어 있다. 대부분 그 시간에는 잠을 자고 있을 시간이므로 아침에 깨어나보면 핸드폰 액정에 모바일 조선 VM이 실행되어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만약에 충전기와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이고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조선일보의 뉴스를 보고 싶다면 설정을 해놓아도 무방하지만 충전기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라면 밧데리를 저장하기 위해서라도 "해제"로 설정을 해 놓기를 권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4. 유료서비스

모바일 조선 일보 VM에서 보는 모든 기사와 SMS를 통해 받는 속보의 경우는 무료이다. 하지만 조선일보도 이윤을 창출해내는 기업인바 유료 서비스가 부분 존재한다.
첫번째는 오른쪽 소프트키에 있는 "유료 속보" 이다. 모바일 조선 VM의 경우 1일에 한번씩만 기사아 업데이트 된다. 그러한 이유로 현재 시간의 기사를 읽을 방법은 없다. 이러한 경우에 오른쪽 키를 누르면 아래 그림과 같은 경고 문구가 뜬 후 WAP Page로 접속이 되어서 모바일 조선의 실시간 기사를 열람할 수가 있다. 각 기사는 유료 서비스이다. 아쉬운 것은 위와 같은 유료 속보의 경우에도 VM으로 읽었으면 하는 것이다. VM의 장점인 익숙한 UI와 스크랩 기능등을 사용했다면 유료 서비스다운 느낌을 받을 수 있으리라.
두번째는 아주 중요한 속보의 경우 SMS로 알려주는데 이 기사에 대한 상세 내용을 볼려면 WAP 으로 접속해야 하며 이때 역시 과금이 이루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조선일보의 유료 서비스에 대해서는 현재 모바일 시장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판단이 된다. 언제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있는 뉴스라는 것과 진입 장벽이 높은 모바일에서 어설픈 유료화나, 개인별 설정을 한다는 이유로 고객이 등록하기에 머뭇거릴만한 요소 등을 넣지 않았다는 점에서 시장 트렌드를 잘 이해하고 있다고 판단이 된다. 실제 부분 유료의 경우에도 모바일 조선에서 크게 기대를 하는 것도 아닌듯 하고, WAP으로 링크만을 해 놓기 때문에 따로 유지비가 들어가는 것도 아니다.



5. 마치는 글

모바일 조선일보의 특징은 양질의 기사를 무료로 볼 수 있다라는 것이다. 현재 패킷요금은 SKT와 협의를 해서 전액 조선일보에서 부담하고 있다. 물론, 소비자가격은 아니지만 조선일보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운 금액이다. 사용자가 많으면 많아질 수록 조선일보가 부담해야 할 금액은 커진다. 위에서 언급했던 유료화 모델에서 얻어내는 수익이 절대 크지 않음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기사 아래에 몇개의 광고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활성화될려면 시간이 좀 더 필요하리라.

조선일보가 가지고 가는 기사의 색깔이나 지금까지 가지고 온 이미지에서 대해서는 여기서 논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조선일보의 이러한 미래를 위한 투자와 무선인터넷 활성화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노력하는 모습에 모바일쟁이로서 힘찬 박수를 보낸다. 거대 기업들이 이러한 노력을 할 때 무선 시장은 서서히 힘을 받을 것이며 시장 활성화가 된 이후에 이윤은 부메랑이 되어 그 기업으로 다시 돌아갈 것임을 확신한다.
2007/12/20 17:50 2007/12/20 17:50

왜 하필 조선일보죠. 조선일보를 속보로 보고픈 마음은 없네요

mobizen

흐음... 그러시는 분은 안 보시면 됩니다.
선택은 소비자의 몫이니깐요..

저 역시 조선일보의 논체와 기사가 좋은 것은 아닙니다만 제 블로그에서는 그런걸 논하고 싶지 않습니다. 저는 모바일쟁이입니다. 적어도 모바일에 투자하고 미래 비전을 꿈꾸는 자세에서는 박수를 칠 수 밖에 없습니다.
더불어 미디어 전략측면에서 이러한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투자로 인해 사용자들이 조선일보의 기사를 쉽게 접하면서 익숙해진다는 것 또한 배워야 할 점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저의 바램은 이러한 전략을 벤치마킹하여 다른 좋은 언론사나 좋은 미디어 기업들이 모바일 환경의 투자나 소비자에게 좀 더 나가서게끔 자극을 받았으면 합니다.

상기 조선일보의 전략때문에 사회 전체 여론에 부정적인 영향이 심어진다거나 언론으로서 조선일보의 비판이라면 제 블로그는 적당한 자리가 아니라고 말씀 드리고 싶네요. 그러한 자리라면 저 또한 님의 의견에 동조할 것입니다.

다만 모바일 산업에 대한 비판과 미디어 전략이나 부족한 것이라면 환영합니다. ^^

--

블로그 글 잘 보고 갑니다~ 글 쓰신 분의 노력에 대해서는 한마디 말도 없이 저런 말이나 남기고 사라지는 사람이 조선일보 어쩌고 한다는 것도 우습네요 ㅎㅎ 저러면 자기가 잘난 줄 아나봐요 ㅋ

일본처럼 모바일로 더 많은 것을 하고 싶은 욕심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어쩐지 잘 되지 않는가 싶어서 억울하네요~ 개인적으로는 너무 화면들이 작아서 그런 거 아닌가 싶어요;

쇼우찐

저 역시 글쓴이와 비슷한 생각이에요. 처음에는 조선일보를 받아서 본다는 것이 조금 꺼려졌었는데 다른 신문사에서는 안하는 것 같고.. 날씨라든지 운세라든지 그날의 굵직한 이슈들을 접할 수 있다는 것이 좋더라구요.
제 나름대로 정치 기사같은 것은 비판적인 시선으로 보고 있어요. 어떤 식으로 기사를 쓰는지도 보고 있고. 알고 보는 것과 모르고 보는 것은 다르니까. 전 그런 생각으로 보고 있는데 한겨레 라든지 다른 신문사에서도 모바일 신문을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mobizen

안녕하세요 쇼우찐님.
의견 감사합니다.

택형

잘보고 갑니다
저도 모바일쪽에 관심이 많아서
모바일 조선일보는 처음봤을때 충격이였습니다
관련해서 여러가지 사업도 생각하게되었고요 ^^
좋은 서비스 많이 만들어주시길 바래요

mobizen

리플 감사합니다. 택형님..
조선일보라는 선입견이 많이 작용을 하는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서비스를 만드는 사람이 아니랍니다. ^^

Posted
Filed under 리뷰

1. 시작하는 글

점점 개인화가 심해지는 시대라고는 하지만 그럴 수록 사람들은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Communication Channe)l을 찾아내고 만들어 낸다. 대표적인 모바일 기기인 핸드폰의 음성 통화, 문자, 수많은 채팅 사이트 등은 이러한 현대인의 Communicaiton 욕구를 채워주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에 발맞추어 언제부터인가 우리들 PC의 트레이에 메신저가 한두개씩 자리 잡은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이 되고 있다. 메신저가 발달하면서 메신저를 여러개 설치하는 것에도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별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은 메신저에 대한 통계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10대 네티즌의 메신저 이용 갯수(자료출처 : DMC 리서치, 2006년 08월 25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네티즌의 일평균 메신저 이용시간 현황(자료출처 : 랭키닷컴, 2007년 10월 04일)

이렇듯이 메신저는 우리 생활에 자연스럽게 침투가 되어 사적인 채팅이나 업무용 대화, 파일 전송, 화상 전화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복합적으로 지원해주고 있다. 대형 포탈들과 커뮤니티 사이트들이 각각 저마다의 메신저를 서비스하고 있지만 국내에서 네이트온이 사용자 확보에 1위라는 것은 이제는 모두 당연하게 받아드리고 있는 상황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주요 메신저 서비스 이용자수 현황(자료출처 : 코리안클릭, 2007년 03월 09일)


SKT역시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다양화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다. 최초의 음성 통화에 이어서 거침없이 성장하고 있는 SMS사용은 핸드폰의 기본 기능을 충실히 해주고 있으나 사용자들은 단순한 커뮤니케이션과 함께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당초 포스트 SMS로는 MMS가 될 것으로 모두 예상을 했으나 MMS는 당초의 기대에 못미치는 성적을 보이고 있다. 이에 SKT를 비롯한 통신사업자들은 또다른 채널을 찾고 있다.
또한 각종 디바이스와 서비스들이 융합이 되면서 통신 사업자들의 킬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트렌드도 모바일만의 서비스보다는 기존의 익숙한 서비스를 모바일에 접목하는 "멀티채널 전략" 을 많이 도입 중이다. 이러한 두가지 통신사의 흐름에 맞추어 나온 서비스 중에 하나가 모바일 메신저이다. 이에 이번 리뷰에서는 SKT의 대표적인 메신저인 NateOn을 리뷰를 해보고자 한다.



2. 서비스 개요

SKT의 모바일 NateOn은 WIPI로 개발된 VM으로 제공된다. 필자가 보유하고 있는 LG 초코렛폰에서 910KB를 차지하여 크기만으로도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

NateOn을 다운 받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http://mobileim.nate.com/help/main_skt_service_down.htm 에서 자신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잠시 후 다운 로드 할 수 있는 Callback URL이 담겨 있는 문자가 오게 되는데 이때 확인키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다운로드가 되게 된다.

둘째는 자신의 폰으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의 경로로 접속해서 다운받으면 된다.

모바일에서 가장 거부감이 심한 요금에 대해서는 아래 표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필자와 같은 경우에는 약 2달전부터 정액제에 가입하여 아무 부담없이 사용하고 있으나 가끔씩 아주 급한 경우만 사용하는 이들은 종량제만으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을 것이다. SMS의 가격이 30원인 것에 비하면 비교적 저렴한 편이라 여겨진다. 일반적인 모바일 서비스 정액제는 정보이용료만 해당을 하고 데이터 통화료는 포함이 되지 않는 것에 비해 NateOn 정액제는 데이터 통화료가 포함이 되어 있으므로 훨씬 자유로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SKT의 정액제 요금에 대한 정책 변경으로 12월 1일부터는 정액제에 가입이 되어 있더라도 3개월 연속 미사용하는 경우에는 요금이 청구되지 않는다.



3. 사용 기능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네이트온을 처음 접할 때의 느낌은 "와~ PC버전하고 똑같네" 였다. 그만큼 모바일 NateOn은 PC버전에서 지원하는 대부분의 기능을 지원해주고 사용법및 UI도 최대한 동일하게 제공해준다. 점차 IMS가 발전을 되면 스마트폰에서는 차후 파일전송이나 화상채팅과 같이 지금은 지원해주지 못하는 기능까지도 추가되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위의 표는 모바일 NateOn이 지원하는 기능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디자인 역시 PC 버전 NateOn이 가지고 있는 깔끔한 이미지를 그래도 유지하고 있고 사용법 역시 직관성이 뛰어나서 굳이 설명을 할 필요없을 정도이다. 혹시나 사용법을 모르는 이들이 있다면 http://mobileim.nate.com/help/sub_guide_01_login_skt.htm 을 방문하면 잘 구성되어 있는 이용가이드를 볼 수가 있다.

모바일 NateOn은 모바일에서 구현하기 힘든 플래시콘까지 추가다운로드 구성을 통해서 구현이 되어 있다. 다만 이모티콘은 이미지 대신에 해당하는 문자로 보여주고 있으며(이모티콘을 보내는 것은 가능하다.) 상대방 폰트 색등은 지원하지 않지만 사용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

프로그램의 안정성 또한 무척이나 높은데 2달 가까이 사용을 해왔지만 한번도 다운이 되거나 폰이 리셋이 된 적이 없었다. 문자가 오거나 전화가 올 때에도 별 이상없이 동작을 하고 있다.

기능과는 좀 다른 이야기지만 모바일 NateOn에게 개발자로서 정말 칭찬해주고 싶은 사항은 자체 폰트 구현이다. 핸드폰 LCD의 크기를 고려할 때 핸드폰 내장형 폰트를 사용하면 한 화면에 보여지는 대화의 내용이 작을 수 밖에 없다. 모바일 NateOn은 이러한 문제는 자체 폰트로 해결을 했는데 폰트의 가독성이나 크기가 모바일에 최적화 되어 있다. 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VM 서비스들이 자체 폰트로 보여지지만 Nateon은 입력기까지도 자체폰트로 처리를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반적인 레이아웃이 안정감을 주고 많은 줄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대화내용 파악이 한결 쉽다. 실제 한글 오토마타 처리나 Code값 처리를 어떻게 했는지는 알 수가 없으나 "뷁", "야헿헿" 등과 같은 일부 통신체에 해당하는 Code값은 표현하지 못하는 것은 약간 아쉬운 점이다.



4. 모바일 NateOn만의 장점

MMS가 성공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SMS와의 차별성이였다. 단순 문자 외에 Rich한 Context를 담을 수는 있었지만 그 외의 차이는 없었고, 그 유일한 차이점은 사용자의 Needs가 아니었다. 모바일 NateOn이 또하나의 텍스트 Communication 채널만으로 머물고 있다면 MMS와 똑같은 전철을 밟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모바일 NateOn은 태생이 SMS가 아닌 PC 메신저이므로 이러한 문제를 쉽게 극복을 할 수 있다.

첫째, NateOn은 PC와 모바일에 접속하고 있는 모든이들과 대화를 할 수가 있다. 급한 일이 있을 때 회사 동료와 업무를 이야기 할 수 있으며, 답답한 지하철에서 친구와 수다를 떨수도 있다. 그리고 SMS가 1:1의 비실시간 대화를 할 수 있다면, 모바일 NateOn은  그룹대화나 그룹 쪽지등을 이용하여 1:n 실시간 대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은 SMS와 구별될 수 있는 근본적인 차별점이다.

둘째, 메신저 이외의 부가 기능이다. PC에서 NateOn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메신저 안에 싸이월드관리, 메일 관리, SMS 송신기능 등을 통합한 아이디어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NateOn만의 장점이 모바일에서도 그대로 적용이 되는데 모바일 싸이월드가 따로 필요없이 싸이월드를 이용할 수 있으며, Nate 메일을 사용하는 이들은 실시간으로 메일 확인이 가능하다. 역시나 자체 폰트덕분에 WAP상에서 메일 확인하는 것보다 UI나 가독성이 무척 뛰어나다. 실제로 필자는 메인 메일이 nate.com 인 관계로 요긴하고 사용하고 있다.

셋째, SKT가 제공하는 다양한 이벤트이다. 현재는 NateOn 정액제에 가입을 하면 전원에게 한달에 100건에 해당하는 문자를 무료로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또한, 11월 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정액가입자중에 추첨을 통해서 스노우보드 풀 패키지를 주는 등의 이벤트로 진행 중이다. 자세한 사항은 http://nateonevent.nate.com/event/20071105_mobile/index.php 로 가서 확인하면 된다.
리뷰 이벤트도 계속하고 있는데 모바일 네이트온을 사용하고 리뷰를 남기면 매월 30명을 뽑아 경품을 준다. 자세한 사항은 http://nateonevent.nate.com/event/mobile_review/index.php 에 접속하면 된다.



5. 마치는 글

모바일 NateOn은 자신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항상 Open이 될 수 있다는 기본 기능만으로 매력적이다. 국내 1위를 달리고 있는 메신저라는 것은 그만큼 내가 Communication 할 수 있는 대상의 폭이 넓다라는 의미이므로 다른 메신저에 비해 더 큰 장점이 있을것이다. PC버전을 모바일로 이식하는 프로그램의 완성도도 뛰어났으며 앞서서 언급했던 폰트나 UI등 모바일에 최적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는것을 쉽게 알 수가 있었다.

필자가 가장 불편했던 것은 NateOn 자체의 문제가 아닌 밧데리였다. 출근길에 1시간 이상 모바일 NateOn을 사용하다보면 밧데리 소모량이 꽤나 많다는 것을 알수가 있다. 필자의 경우에는 회사로 들어가서 충전을 할 수 있기때문에 큰 무리가 없으나 장시간 밖에 있기 위해서는 밧데리가 가장 큰 문제였다. 물론 이 사항은 NateOn뿐만 아니라 모든 모바일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고민이다.
또한 일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달리 사운드와 진동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플래시콘에서만 옵션 설정을 통해서 사용할 수 있을 뿐이다. 수많은 대화가 오갈 때 사운드나 진동이 너무 남발되는 것을 막아주는 의도로 짐작은 되지만 사용자 옵션을 두어서 대화를 할 때 PC에서 들을 수 있는 동일한 사운드를 들려준다면 좀더 친숙할 것이다. 새로운 사용자가 대화를 걸 때나 쪽지가 올 때 등등 사용자 알림을 모두 비주얼로만 표현하고 있는데 이또한 진동을 통해 좀 더 강하게 알려 주었으면 하는 아쉬움도 있다. PC버전에서 제공하는 새글 알림 기능이나 실시간 메일 수신 알림도 모바일 버전에서 그래도 제공을 했으면 NateOn만의 강력한 장점을 좀 더 살릴 수 있지 않겠냐는 생각이다.

모바일 NateOn은 자체만으로 훌륭한 서비스이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편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아주 구형폰이 아닌바에야 대부분의 폰을 지원하므로 지금 한번 다운받아 사용해보기 바란다. 지금은 PC사용자와 대화를 하기 위해 모바일 NateOn을 사용하지만 언젠가는 모바일 NateOn 사용자들과 대화하기 위해 PC 앞에서 기다리는 이들이 생기지 않을까? 그 때가 되면은 핸드폰 사진 전송, 컬러링 선물 등과 같이 모바일 버전 사용자끼리만 즐길 수 있는 특화된 기능이 나올 것이다.

2007/11/23 11:25 2007/11/23 11:25
리브리스

전에 컨퍼런스관계로 제천에 간 적이 있었는데요. 후배가 핸드폰으로 네이트온으로 채팅을 하더군요. PC에서 동작하는 nateon과 거의 흡사하게 서비스가 되는 걸 보고 신기해 하곤 했습니다. 아직은 핸드폰을 사용하는 관계로 문자입력에서 불편하지만 PC를 사용할 상황이 안되었을 때 연락수단으로서는 매력이 있는 것 같아요.

mobizen

약간은 객관성이 결여되는 말이겠지만 네이트온 정액의 경우 패킷 요금까지 포함이 되므로 문자 사용량이 많고 네이트온을 자주 사용하는 이들에게는 꼭 추천해주고 싶은 서비스입니다. 한번 사용해 보심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