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현재의 에코시스템에서 'Mobile Browser'라는 Application의 Spec은 이통사가 정하고 관리를 하고 있다. 해외 이통사들이 'Mobile Browser'에게 요구하는 기능은 현재 대동소이하다. 그래서 아래에 그들의 요구 사항 중 주로 언급되는 내용을 정리를 해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Web 2.0

Web 2.0 서비스라고 불리우는 사이트들에 대해서 특별한 처리를 요구하고 있다. 주로 언급되는 서비스는 YouTube, GoogleMap, Flickr, Facebook 등이다. 이중에서 가장 강하게 요구되는 사이트는 당연하게 YouTube 이다. 많은 브라우저들이 Proxy Server 를 거쳐 YouTube의 동영상을 단말에서 지원하는 Codec으로 인코딩하여 보내는 방법으로 해결되고 있다. LGT OZ 역시 가장 고민하는 부분인데, 곧 해결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Background Job

파일을 Download하거나 Upload 하면서도 웹서핑을 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을 요구한다. 대부분의 브라우저들이 이 기능을 이미 지원하고 있으나 표준이라고 할 수 있는 OMADL(Open Mobile Aliance Download) 2.0 을 지켜주기를 원하고 있다.



3. Widget

브라우저 모듈을 이용한 Widget 솔루션을 이제는 실효성 논란을 떠나서 대세가 되어버렸다. 이부분은 다른 포스팅에서 더 자세히 설명을 할 것이다.



4. Advanced UI

'IPhone Impact'를 통해서 생겨난 UI에 대한 개선의 선두에는 브라우저가 있다.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다 해당이 되겠지만 가장 관심이 많은 '브라우저'에게 이러한 요구가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5. Legacy Phone

Client에서 모든 것을 처리해야 하는 일반적인 의미의 'Full Broswer'는 고사양폰을 요구하고 있다. 그렇다보니 시장에 이미 출시되어 있는 폰이나 저가형 폰에서는 성능의 한계 때문에 불편이 생기기 마련이다. 많은 사용자들을 끌어드려야 하는 통신사 입장에서는 이러한 Legacy Phone들을 지원하는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Proxy Server 기반의 브라우저나 Transcoder 솔루션을 이용한 '풀브라우징'의 존재가 'Full Browser'가 아니라고 구박받지만 시장에 존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6. Performance

Performance 이슈는 Browser라는 단어가 지구상에 없어질 때까지 계속 Browser 개발사들을 괴롭힐 듯 하다. Performance는 크게 Application 성능과 Packet의 단축으로 구분된다. 현재 Application 성능은 Java Script 처리 쪽으로 집중되어 있고, Packet의 단축은 압축을 하거나 html Source 중에 주석과 같이 쓸데 없는 부분을 제거하는 등의 노력이 진행 중이다.

Packet을 압축하는 솔루션은 흔히 EMO(Embedded Browser Optimization)라고 부른다. EMO는 Proxy Server를 거쳐서 단순하게 압축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와 같은 경우 이미지의 크기를 단말 크기에 맞추어서 Resize 해서 보내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다. 재미난 것은 Vodafone의 경우 EMO 솔루션 시장의 대다수를 차지 하고 있는 'bytemobile'을 아예 망에 넣어버렸다. 그래서 모든 패킷이 bytemobile을 거쳐 압축되어 전송이 되며 Browser에서는 이를 해제하여 분석하게 된다. 아래는 bytemobile의 간략한 Diagram 이다. 참고로 국내에서는 iCent사에서 bytemobile 사업을 대행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통사들의 이런 요구사항에 의해 브라우저 개발사들은 오늘도 열심히 기능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해외 이통사들의 자료를 중심으로 정리를 했으나 국내 이통사가 요구하는 바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개발 방향성을 참고로 하면 Mobile Browser가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는지를 짐작할 수 있으리라. 다만, 이러한 요구사항은 '이통사'의 요구사항이지 고객이 요구사항과는 다를 수도 있다는 점은 조금 생각을 해봐야 할 부분이다.
2008/07/09 20:07 2008/07/09 20:07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지식경제부에서 어제(2008년 7월 8일) 오후 삼성동 코아로직 회의실에서 “이동통신 전략 협의회”를 열고, ’2012년 모바일 최강국을 목표로 하는「이동통신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하였다. 발표 자료는 여기에 있으니 모바일 산업에 관련된 분들은 반드시 읽어보기를 바란다. 이번에 발표한 '1 to 10'이라 불리우는 전략의 개요는 아래와 같다.

< 1 to 10 전략 개요 >
① : 세계 휴대폰 시장 점유율 1위 달성  (21%(’07)→35%(’12))
② : Mobile 2.0 비즈니스 모델의 선도 국가
③ : 한중일 3국간 협조체제 강화를 통한 차세대 국제표준화 선도
④ : 4대 부품군별 육성전략을 통한 휴대폰 부품 경쟁력 강화
⑤ : 5G 이동통신 기술에 대한 선제적 대응
⑥ : 휴대폰 생산량 연간 6억대  (2.5억대(’07)→6억대(’12))
⑦ : 연간 수출액 700억불 달성 (290억불(’07)→700억불(’12))
⑧ : 휴대폰 국산부품 채용율 80%  (69%(’07)→80%(’12))
⑨ : 이통산업의 국내 GDP 내 비중 9% 달성 (6.9%(’07)→9%(’12))
⑩ :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 IPR의 10% 이상 확보 (극소(’07)→10%(’12))


비록 그 자리를 가보지는 않았지만 발표 자료와 언론 보도 자료를 보니 참 답답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 Fact만 전달한 다른 기사에 비해서 제대로 정리를 한 디지털타임스 조성훈 기자의 기사를 아래 링크에 소개하니 참고하기를 바란다.

[현장리포트] 과유불급한 이통산업발전전략

회의 내용이 대학생들이 학교에서 과제로 하는 '핸드폰 디바이스 산업의 활성화'도 아니고 정부가 하는 전략에다가 '모바일 최강국'이란 타이틀을 건게 이 정도니 우리나라 모바일 산업은 당분간 계속 암울 할 수 밖에 없다. 디바이스를 많이 생산하고 칩의 국산 비율만 올리면 된다는 발상 자체도 웃기고, 교과서에서나 보는 뻔한 소리를 정책으로 내는 것 조차 능력부재를 스스로 드러내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작 논의되어야 할 가격 정책(디바이스던 서비스이던), 내장형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서비스, 이통사의 지배력 등 현실적인 것은 2012년이 되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으로 보이나 보다. 초반에 언급되어 있는 해외 대형 벤더들의 플랫폼에 대한 대응책은 후반에 가면 찾아 볼 수가 없고, 국내의 모바일 컨텐츠나 서비스등을 단말과 같이 패키지해서 수출하게끔 하는 건설적인 비전보다는 많이 만들어서 팔면 1위가 된다는 논리만 있으니 답답할 뿐이다.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도 놀란다고 문서 곳곳에 남발되어 있는 '표준'이라는 단어 조차 신경쓰인다. 제발, 정책을 위한 표준을 만들지 말고 발전을 위한 표준을 만들어야 할텐데... 어쩌면, 이통사보다 더 먼저 바뀌어야 할 조직은 정부일지도...

2008/07/09 11:03 2008/07/09 11:03
뽐뿌맨

네엡,저도 올려 놓으신 자료 보았습니다.개인적인 소견으로 말씀대로 안타깝습니다.너무 인프라에만 취중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조언자가 대부분 제조사 임원들이라서 그런것같습니다. 제 생각엔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비즈니스 모델이 더 중요한데 말이죠. 사람들이 아이폰만 보는데 아이폰 외에 아이포드나 이번에 나오는 모바일미가 더 멋지고 부가적으로 돈을 더 버는데 말이죠.

mobizen

무선 컨텐츠 시장은 불황인데 비해 단말쪽은 잘 나가고 있으니 이왕 밀어주는거 잘나가고 있는 쪽만 밀어주자는 심보인지, 참 이해가 안됩니다. 뽐뿌맨님의 블로그는 저도 잘 보고 있습니다. 아이디가 '뽐뿌맨'인줄은 오늘 처음 알았네요. 실명이 더 익숙해서 말이죠. 리플 감사합니다.

거부기아찌

철저하게 단말 공급자 중심의 전략이란 느낌이 드네요.

국내 모바일 컨텐츠 시장, 국내 이통 시장은 어떻게 되든 말든
단말만 해외로 잘 팔면 된다는 그런 관점이 곳곳에 깔려 있는 것 같습니다.

생태계에 대한 관점도 없고, 단말만 쌈빡하게 만들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그런 환상에 젖어 있는 것 같습니다.

위피가 잘 안되는게 단말이 쌈빡하지 않아선가요 ?
대한민국 모바일 콘텐츠 시장이 성장하지 못하는게 단말이 없어서일까요 ?
정말 앙꼬 없는 찐빵 같은 계획이란 느낌이 팍팍 드네요.

mobizen

이것도 전략이라고 발표하는 지경부나 이걸보고 2012년에는 한국이 모바일 1위 국가가 된다고 떠드는 언론이나 한심하기 그지 없습니다. 답답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