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명히 스마트폰은 편리함과 새로운 경험을 선사해준다. 그 재미에 빠져서 점심 식사 시간에도, 오랜만에 만난 친구와 있는 커피숍에서도 스마트폰 화면만 보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그렇지만, 자신의 자녀만큼은 최대한 스마트폰과 멀리 있게 하고 싶은게 부모의 마음인가 보다. 44%의 부모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어린 자녀들에게 전혀 주지 않는다고 답변을 하였다.
자녀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가장 걱정

서울, 인천, 대전, 강원지역의 학부모 1393명을 대상으로 자녀들의 스마트폰 사용에서 가장 걱정되는 점을 물어보았다. 조사 결과, 48.1%를 차지한 '스마트폰 중독'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우려는 남자아이(52.2%)를 둔 부모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연령대별로는 중학생 자녀(58.8%)를 둔 부모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용행태에 차이가 커

너무도 당연하게 스마트폰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수준에서 세대간의 격차는 무척 크다. 무선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활용과 같은 모든 항목에서 자녀들의 스마트폰 활용도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아날로그와 가까울 것 같은 것 같은 '음성통화'조차도 부모들의 활용도는 63%밖에 되지 않지만 자녀들은 75%나 응답하였다.
스마트폰때문에 생기는 갈등도 많아
스마트폰에 해석이 다르다 보니 상호간의 갈등이 생기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65.2%의 국내 학부모들이 스마트폰 때문에 자녀와 갈등을 겪은 적이 있다고 답변하였다. 연령대별로는 중학생 자녀(85%)를 둔 학부모가 가장 심한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갈등의 원인으로는 '사용시간'이 46.5%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게임 43.3%, 카카오톡 20.5% 등으로 조사되었다. 자녀들의 학업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거나 지나치게 중독되는 것을 걱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게임때문에 가장 많은 갈등을 겪는 연령대는 초등학교 저학년(48.1%)이었다. 이는 고학년이 될수록 게임 외의 다른 스마트폰 활동(SNS, 음악 듣기 등)에도 재미를 느끼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부모들은 사용시간을 제한해

결국, 대부분의 국내 학부모들은 특정 시간을 정해놓고 해당 시간에만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하는 방법으로 통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4.2%의 학부모가 자녀들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었다. 부모의 16.8%는 스마트폰을 압수까지 할만큼 갈등의 수위가 높았으나 관련한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는 5.0%에 불과하였다.
자녀를 위한 App과 Web은 사용

그러면서도 자녀들을 위한 서비스에 대한 관심은 높다. 부모들의 57%가 자녀들을 위한 App을 다운로드 받거나 Web Page를 북마크 해 놓았다고 답변을 했다. 자신의 무선 인터넷 사용의 75% 이상이 자녀를 위한 것이라고 답변한 부모도 7%나 되었다. 전자책, 교육 관련 서비스들과 자녀들이 좋아하는 동영상, 게임 등이 여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