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의무약정제는 보조금을 지급받는 조건으로 해당 기간 동안 해당 이동통신사를 사용하는 제도로 08년 4월 1일에 10년만에 다시 부활하였다. 이러한 의무약정제는 세계적인 추세로 이통사간의 과열 경쟁이 완화되고, 휴대폰 단말 교체 주기를 높이는 등 모바일 시장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국내 이동통신사의 의무약정제도를 요약하면 아래의 표로 정리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이동통신 시장에서 의무약정제는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약 1년 정도가 지난 지금에 국내 의무약정제 가입자 총 수는 1452만3천여명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는 전체 가입자의 1/4 정도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통신사별로는 SKT 659만9천여명, KTF 545만여명, LGT 247만4천여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신규가입자의 80%에 이르는 사용자(번호이동 포함)는 약정제를 통해서 가입을 한다. 통신사별로는 SKT 684%, KTF 79%, LGT 66% 이다. 이러한 추세로 가면 올해 연말이면 전체 이동통시 가입자의 50% 이상이 약정계약에 묶일 전망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애초에 이통사들의 과열 경쟁을 방지하고자 도입된 의무약정제는 수치적으로는 시장에 안착한 듯 보이지만, 약정 기간 동안에 가입자의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약정에 묶이지 않은 고객들을 자사 약정으로 유도하려는 이통사들의 초반 눈치보기가 만만치 않다. 작년 가을 이후 잠잠하던 이통사의 마케팅 비용이 슬슬 다시 상승하고, MNP 시장이 들썩이는 것을 보면 원래의 취지가 잘 들어맞지는 않는다는 생각이 든다.
2009/05/25 08:36 2009/05/25 08:36
김진우

문득 이 글을 보니..약정으로 가입한 사람이 벌써..1452만명...
50%가 넘어선 이후엔..어떻게 전개될지 궁금하네요..
보통 2년약정이니..더이상 바꿀 핸드폰 바꿀 사람이 없어지는건 아닐지..

mobizen

교체주기가 길어지겠지만 2년 약정이 풀리면 또 이동을 할 수 있으니깐요~ ^^

lesmin

저도 최근 신규가입 + SKT 2년 약정으로 3G 단말을 구매했습니다. (3년만에 2G번호 버리고 3G신규가입)
신규가입에 따른 지원(일시불 현금) + 2년 약정에 대한 지원(24개월 할부지원) 으로 통신사가 지급해주는 보조금이 만만치 않더군요. 덕분에 고객입장에서 많은 혜택을 볼 수 있었습니다.
물론, 남은 기간만큼의 위약금만 물면, 약정기간내 해지후 얼마든지 갈아탈 수도 있으니 고객입장에서는 나쁘지 않은 조건 같습니다.

mobizen

그럼요~ 장점이 분명히 있죠. ^^ 전 아직 약정에 묶이지 않은 몸이라...

mobilepeterpan

옥션에서 무약정으로 1만대 시장에 내놓는다고 하더라구요.
기사가 나왔더라구요.
1,452만명 중에 저도 포함되는 군요.ㅎㅎ
양군 입니다. ^^

mobizen

요즘 SKT가 막 지르는 분위기여서 말이지..

저번에 댓글달고 보니깐 양군이더군. 반가워~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mobizen

이런 오타를... -.-;; 감사합니다. 수정했습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USIM의 일반화, 3G 네트워크의 확대 등으로 인해 모바일 뱅킹 사용에 대한 기대가 무척 높아지고 있다. 모바일 뱅킹의 불행은 항상 기대만으로 제자리 걸음만 돌고 있다는 것일 수도 있겠다. 최근 여러 보고서에서도 모바일 뱅킹에 대한 기대감을 표현하고 있다. 몇몇 자료를 정리를 하면서 모바일 뱅킹의 미래에 대한 그림을 그려보도록 하자.

Berg Insight 보고서에 의하면 2008년 전세계적인 모바일 뱅킹의 사용자는 20 M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뱅킹 사용자는 2010년부터 폭발적인 증가를 해 2014년에는 913 M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세부적인 수치는 보고서마다 약간 다른데 Juniper Research와 ABI Research의 비슷한 보고서에 의하면 2011년에는 150M의 사용자라고 추정되었다. 지역별로는 한국이 포함되어 있는 극동지역과 중국이 41%로 가장 큰 시장을 차지하고 있고, 서유럽이 22%로 그 다음이다. 이렇게 수치만으로 보면 다시 한번 희망을 가져도 될 듯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실제 국내 모바일 뱅킹 가입자 추이도 빠른 증가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09년 3월말 현재 모바일뱅킹 등록고객수는 915만명으로 작년 말 대비 7.9% 늘었으며, 이용건수는 141만 건으로 이전분기 대비 6.8%, 금액은 1979억원으로 4.3% 증가했다. 이에 따라 09년 1분기 인터넷뱅킹 전체 실적에서 모바일뱅킹이 차지하는 비중도 건수로는 5.3%, 금액으로는 0.7%에 달한 것으로 보고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국내 모바일 뱅킹의 성장에 눈여겨 볼게 있다. 3G와 USIM의 도입되면서 마땅한 킬러를 찾지 못했던 이통사들이 모바일뱅킹의 활성화를 마케팅의 도구로 사용하고, 대부분이 VM방식보다는 IC칩방식이 좀 더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실제 시장 상황은 IC칩 방식은 정체인데에 비해 VM 방식의 증가세가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따로 칩 인증 또는 설치가 필요한 IC칩보다 훨씬 설치가 간편하고 08년에 세계 최초로 휴대폰에 칩 대신 VM을 설치하고 공인인증서 저장 후 서비스를 이용하는 칩 없는(공인인증서)방식의 모바일뱅킹서비스를 도입한 국민은행을 필두로 대다수의 은행이 VM 방식을 선호하면서 고객 마케팅을 한 결과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민은행이 사용하는 VM은 추후 표준화를 비롯한 몇가지 이슈를 야기하고 있다. 최근 금융감독원은 모바일뱅킹 공인인증서 의무사용 원칙을 수립했다. 금감원은 국민은행 방식과 모바일뱅킹 전용 인증서 두 방법을 가지고 검토를 한 결과 후자로 방향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부적인 기술검토와 제반사항을 모두 다 알 수는 없으나 이러한 은행과 정부 당국의 사전 조율없는 시스템으로 인해 고객들의 혼동과 서로 다른 모바일 뱅킹 시스템들이 난무하는 가운데 과연 이런 것이 소비자의 Needs인지, 은행과 이를 관리하려는 금감원의 Needs인지 알 수가 없다. SSL과 같은 표준만도 못한 ActiveX 기반의 공인인증서에 매달리는 국내 환경에서, 모바일 뱅킹이 성공할 수 있을까?
2009/05/22 12:12 2009/05/22 12:12
미래준비

오늘 또 한 편의 통쾌한 (당연한) 글을 읽게 되어 기쁩니다.

모바일 공인인증이나 보안, 좀 더 나아가 결제모듈(ISP, MPI) 등의 시장상황을 보면 정말이지 한심하기 짝이 없습니다. 금감원이 모바일뱅킹 전용 인증서를 만들겠다고 결정한 것은 지금까지 한국의 모바일 지급결제 솔루션의 상황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일례라고 생각합니다. 인증에 대한 개념도 비전도 없는 상황에서 계속적인 옥상옥을 만들다 보니, SSL 통신으로 충분히 해결 될 수 있는 문제들을 지금까지 계속 이렇게 망쳐 오기만 하는군요.

문제는 지금부터 일 것 같습니다. 다양한 플렛폼과 서비스가 출시되는 마당에 이런 폐쇄적이고 말도 안되는 지급결제 방식으로 그러한 다양성을 어떻게 대응할까요. 안심결제, 안심클릭, 공인인증서, 모바일 공인인증서까지.. 이것저것 다 가져다 붙여도 결국에 PG나 가맹점이 금융정보를 다 가질 수 밖에 없는 구조에서 모두들 "보안"을 얘기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개가 웃을 일입니다.

mobizen

네. 의견감사합니다. 답답한게 한두개가 아닙니다. 천천히 변화하겠죠...

mobilepeterpan

해외의 모바일 뱅킹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 되는지 궁금해지는 글입니다.
글 잘 보고 갑니다. ^^

mobizen

해외의 경우는 Web이던 Mobile Web이던 전부 SSL로 한답니다. 국내 환경에 익숙한 사용자가 경험해보면 허술하다는 느낌이 들 정도죠~

mobilepeterpan

모비즌님! 답변 감사합니다.
해외에서 뱅킹을 해봤어야죠 ;;
저, 양군입니다.

당국

언론사에 보도된 내용과 실제 내용은 다르던데요
사실관계를 확인해보심이..

netunity

인증서를 무슨 프로그램 정도로 아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건 좀 문제. 인증서는 RSA로 만들어진 바이너리 데이터인데... 쭙..
게다가 국제표준인데... 쩝.. 표준도 아니라 그러니 답답....
사용에 문제가 있다고 그러면 모를까...
인증서가 ActvieX 기반이니.. ActvieX로만 된다느니 하는건 좀 아닌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