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블로그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사진은 대부분이 알만한 사진이다.
사이공식 처형이라는 제목을 가진 AP통신사의 에드워드 T. 아담스라는 사진 기자가 찍었고 1969년 플리쳐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인터넷에 있는 이 사진의 설명을 그대로 옮겨보면 아래와 같다.

1968년 2월 1일, 사이공 서부의 초론 지역에서 취재하고있던 AP통신사의 아담스는 손을 뒤로 묶인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간부가 사이공 정부군 해병대와 경찰에 체포되어 연행되고 있는 것을 보게 되었다. 뒤쫓아가자 지프가 멈춰서 있고 그곳에는 남베트남 국가경찰장관이 기다리고 있었다. 장관은 연행되어온 남자가 바로 앞에 서자마자 허리에 찬 권총을 뽑아 남자의 우측 머리에 대고 방아쇠를 당겼다. 이 충격적인 길 위에서의 처형장면을 담은 한 장의 사진은, 그때까지 베트남 전쟁을 정의의 싸움이라고 간주하고있던 미국의 여론을 반전으로 돌아서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위의 설명처럼 사진을 보고 반전 여론이 확산되고 베트남전을 종전하게된 작은 역할을 담당했었다.
하나의 고귀한 생명을 정당한 재판도 없이 죽였다는 것은 Fact이고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그 속내를 들여다보면...
위 사진에서 총을 쏘는 베트남 경찰서장은 구엔 곡 로안이며, 죽음을 당한 사이공군은 밤 렘 대위이다. 밤 렘 대위는 평소 행동이 악랄하여 무고한 시민들을 많이 죽였고, 부녀자 겁탈을 많이 하고, 그 전날 베트남군을 공격하여 수 많은 구엔 곡 로안의 부하를 죽였고...  그 와중에 일반 시민이던 구엔 곡 로안의 식구들까지도 사살해서 죽였던 인물이다.

이 사진을 보고 이러한 Truth를 다 알고서 전쟁의 아픔을 이해하고 반전의 감정이 생겼을까?
아니면 총을 쏘는 구엔 곡 로안에 대한 반감때문에 반전의 감정이 생겼을까?

당시 구엔 곡 로안의 아무런 표정 없이 밤 렘 대위를 사살했다고 한다. 그건 사람을 죽이는데 아무런 감정이 없어서가 아니라 그 전날 잃은 자신의 가족의 슬픔 때문이지 않을까? 그렇다고 전쟁이 좋은 것이고 사람을 사살하는데 정당성을 부여하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이 사진을 보면서 구엔 곡 로안의 슬픔과 충격을 이해하려는 사람이 있는가..가 포인트 인 것이다.

Fact가 반드시 Truth와 동일한 것은 아니리라...

사람이 사는 데이던, 업무를 수행하는데건, 남들이 만들어 놓은 자료를 분석할 때건...
Fact만을 보지 말고 Truth를 이해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2006/12/21 18:05 2006/12/21 18:05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삼성경제연구소(www.seri.org)에서 지난 11월 13일날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의 진화와 시사점" 이란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서 차세대 인터넷 비즈니스의 4대 견인 요소를 언급했는데, 그 요소는 UCC, 동영상, 지능화, 모바일화 라고 하였다.

다른 분야는 내가 모르는 분야이니 뭐라 말할만한 주변머리가 없고, 모바일화에 대해서 언급을 하고자 한다.
SERI에서 모바일화를 주목한 근거는 HSDPA, Wibro 등이 확산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많이 배우고 대기업 연구소에서 만든 자료를 딴지 걸기는 미안하지만 여기에 큰 오류가 있다.
일단 Wibro의 확산 부분은 2007년도 인터넷 비즈니스 4대 동력이 아닌 "차세대"란 단어를 썼으므로 일단 넘어간다.

다만 HSDPA부분의 확산 또는 대중화는 아주 부정적이다.
이부분은 이통사에서 하는 마케팅이나 보조금 지급 등에 따라 유동적이거나 폰판매(전용 모뎀은 전혀 성공하지 못하리라 보인다.)에서 성공할 수는 있으나 그러한 폰 보유자의 수만큼 데이타통신이 활성화 되리라 생각되지 않는다. 예전에 GPANG, GXG 폰이 처음 나왔을 때 폰 구매 이유가 3D 게임을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폰이 이뻐서... 라고 대답하는 사용자의 반응을 보면 충분히 예상 할 수 있다.
물론 폰이 많이 풀려야 그에 상응하는 마케팅을 해서 데이타 통신을 유도하게끔 한다고 하지만 그렇게 보기에는 HSDPA의 수명이 그리 길지 않을 것이다. 그 정도 사용자라면 아마 Wibro쪽이 더 메리트 있지 않을까?
(그렇다고 Wibro에 대한 기대가 크다는 의미는 전혀 아니다.)

또한... HSDPA건 Wibro건 Target Device의 문제가 있다.
적어도 Wibro는 핸드폰은 아니리라.. 스마트폰, PDA, PMP, 노트북이 될 수는 있지만 176짜리 액정을 가진 핸드폰은 아니라는 것이다. 스마트폰 이상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라고 구분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모바일에서 돌아가는 어플리케이션을 말하는 거라고 우긴다면야 할말은 없지만 적어도 모바일만의 특화된 어플리케이션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차세대 인터넷 비즈니스의 4대 동력에서의 모바일화는 결국은 컨버전스와 포팅, 컨버팅 등이 먼저 될 것이다.
Seri에서 "모바일화"를 언급한게 잘못이 아니고, 그 이유 분석이 틀렸다는 소리다.

참고로 Seri에서 작성한 문서의 요약본을 업로드 하니 관심있는 분들은 보시기 바란다.

2006/12/21 17:45 2006/12/21 1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