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마전 누군가에게 부탁을 받아 현재 KTF의 CA 목록을 구해봤다. 예전에는 Na 모바일과 Darama의 CA인 아이코나 성인 CA인 KTH 등도 존재했으나 지금은 각각의 서비스를 중지하면서 자연스레 CA에서도 제외가 되었다. 혹시 빠진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어 모두가 공유할 수 있으면 하는 바램이다.
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전세계적으로 이동전화에 대한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가입자 뺏기와 굳히기에 대한 전략이 반복되고, 보조금으로만은 부족하다는 것을 느낀데다가 소비자의 입김이 커지면서 요금 전쟁이 국지전 양상을 띄면서 발생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2007년에 이통 3사가 추진했던 요금 전략은 망내할인이었다. 어느 시장이나 1위가 파격적인 변신을 시도하면 후발주자가 따라 가고 후발주자는 1위 업체보다 파격적인 제시를 하지만 쏠림 현상은 어쩔 수 없다라는 불문율이 존재한다. 2007년 10월 17일, SKT가 최초로 실시하고 11월 1일날 KTF, 그리고 그 뒤로 LGT가 줄지어 런칭했던 망내할인은 이러한 룰이 아주 잘 지켜지는 전형적인 예이다.
2007년말 현재 이통 3사의 시장 점유율은 각각 50.5%, 31.5%, 21.4% 이다. 하지만 망내할인 내에서의 점유율은 이러한 쏠림현상이 심화되어 각각 69.8%, 21.4%, 8.7%로 알려져있다. 시장지배력이 크니 할인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타사보다 높을 수 밖에 없는 거고, 전반적인 통화료가 낮아지니 유입자수는 늘어나고, 기존 고객들의 충성도는 올라갈 수 밖에 없게 된다. 거기에다가 SKT 고객임을 알려주는 '티(T)링'을 적시에 마케팅으로 활용을 해줌으로 해서 그 효과는 더욱 더 높아졌다.
2008년도 초에 SKT가 발표한 가족할인 요금제 역시 4월에나 되어야 런칭이 되지만 벌써부터 관심이 높다. 후발주자 입장에서는 가만히 있을 수도 없고, 따라가더라도 힘드니 답답한 노릇이다. 요금의 초점이 음성에 맞추어지는게 조금 답답하지만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나쁠 것은 없다.
먼나라 미국의 경우는 이번주에 정말 재미난 전쟁이 일어나고 있다. 전쟁의 시발점은 2008년 2월 19일, Verizon이 $99.99 정액제를 내는 것에서부터 시작을 하였다.
2/19~21에 걸쳐 AT&T, Verizon, Sprint, T-Mobile 등의 북미 이통사업자들이 월 $99.99에 무제한으로 음성통화할 수 있는 패키지를 발표했습니다. 사업자마다 약간 상이하지만, Verizon의 경우 $119.99 에 ...
2월 19일, 미국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의 대대적인 가격인하가 이루어졌습니다. 버라이즌와이어리스를 시작으로 AT&T, T모바일USA까지~ 미국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들의 서비스 가격인하가 단..
블랙잭에서 RSS 리더 어플리케이션은 참 다양하죠. 저는 용도에 따라 2가지를 씁니다. 1. PodCast를 위한 용도 2. 일반 블로그 글 구독을 위한 용도 1. BeyondPod ( podcast에 참 좋은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이전에 PDA 를 가지고 놀때도 RSS와 비슷한 개념이었던 것이 있었습니다. (이름이 기억이 나지 않아요.. -_-)
물론 다운로드를 해서 오프라인에서 보는 것이 다른점이었다면 다른점이었지요. :)
![]() | ![]() |
6. 유통 채널
온라인 음악시장의 가치사슬은 크게 콘텐츠 제작, 유통채널, 디바이스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즉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단계와, 미디어를 통해 유통하며 유선 혹은 무선 포털 곧 소비자접점(Point Of Contact)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이를 가능케 하는 과금체계, DRM 등 솔루션을 통한 관리단계, 고객이 접근할 수 있는 디바이스(PC, portable device, digital TV)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오프라인에서는 음반기획사를 중심으로 CD 혹은 Tape로 제작 및 유통이 이루어져 소비자에게 도달하게 되고, 온라인에서는 유무선 포털사이트로 음원이 유통되어 다양한 디바이스(PC/MP3P/MP3폰 등)를 통해 소비자에게 도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온라인 유통망 즉 Point of Contact(POC)들이 등장했으며, 온라인 유통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산업이 등장했다.
기존의 음반제작사 및 도매상에서 맡아오던 생산단계의 마지막 부분인 영업과 마케팅, 유통은 음원중개업자 및 CP 등과의 계약을 통해서 진행된다. 또한 오프라인 대형매장 및 소매상 등을 통해 판매되던 유형매체 대신에 무형매체가 음악포털, 인터넷 포털, 단말기 제조사 및 이동통신사의 포털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형태를 취한다. 다음 그림은 "2005 Digital2 Conference"에서 발표된 음악산업 사례 연구에서 발췌한 오프라인과 온라인 음악시장 유통채널을 비교한 것이다.
음반 기획사가 가장 모바일에 매력을 느끼는 부분은 바로 선구매 방식의 정산이다. 대부분의 계약이나 정산은 일정 비율을 적용하되, 일정 금액을 MG 형태로 선구매를 해준다. 벨소리의 수익배분 형태는 이미 "벨소리 다운로드의 수익배분 흐름" 포스팅에서 언급한 적이 있으니 또다른 자료로 참고하기를 바란다.
[출처 : 모바일컨텐츠 이야기(http://www.mobizen.pe.kr/434)]이스라엘의 신생 핸드폰 업체, Modu에서 새로운 개념의 컨셉폰을 발표했다. 사실 정확히는 컨셉폰의 홍보 동영상을 발표했다고 하는 것이 ..
새롭고 재밌는 정보 감사합니다.
동영상을 보면 여러가지를 하는데 매우 많이 사용되는데 사실 많이 복잡해 보이네요.
물론 사용하면 틀리겠지만...
제 블로그로 게시하겠습니다. 문제되면 삭제하구요.
1. 스킨 교체를 했습니다. 바로 직전 스킨의 레이아웃이 심플해서 더 마음에 들지만 파이어폭스와 IE 7.0 에서 스크롤바가 생기지 않는 문제가 생겨서 어쩔 수가 없네요. 몇번의 시행착오 끝에 현재 스킨으로 결정했습니다. 스킨을 제작해 주신 hi8ar 님께 감사드립니다.
2. 메인 탑에 링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가 운영하는 블로그는 3개가 있습니다. 사실 정확히는 4개가 있습니다만... 혹여 관심있는 분들은 한번씩 방문해주시고 댓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모바일 컨텐츠 이야기(http://www.mobizen.pe.kr) : 모바일을 중심으로 하는 IT 이야기만 합니다.
- Mobizen's Talk(http://mobizen.egloos.com) : mobizen의 일상 생활, IT 이야기, 음악이야기, 영화 이야기 등의 정말로 개인 Log 입니다.
- Mobizen의 물생활 이야기(http://mobizen.tistory.com) : 제가 취미로 하고 있는 열대어 이야기를 합니다.
하나도 제대로 못하면서 3개씩이나.. 라고 하는 분들도 계시지만 각각의 블로그에 대한 Identity가 제 나름대로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으며 블로그라는 것이 일단 개인적인 공간이며 각각의 주제에 맞는 Log를 남기고, 그 주제에 맞는 새로운 블로거이나 네티즌과의 네트워크를 갖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검색엔진으로 들어와 글은 안보고 그래프와 도표만 가져가는 1,000명의 사용자보다는 제가 올린 포스팅에 의견을 공유하고 다른 생각을 전달해주는 1명의 독자가 저에게 중요하고 그것이 블로그를 운영하는 목적이니깐요. 예전에 잠깐 운영했던 http://talk.mobizen.pe.kr 은 페쇄합니다. 무료 호스팅이다 보니 너무 자주 서버가 다운되더군요~
3. 설 연휴가 시작됩니다. mobizen은 오늘(2월 5일)부터 업무를 쉬네요. 많이들 그렇게 하는 것 같던데... 제 블로그에 방문하시고 관심을 주신 분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즐거운 설 연휴 되시기를 바랍니다. 먼길 오가시는 분들 조심히 다녀오시고, 특히나 운전하시는 분들 안전운행 하시기 바랍니다.
4. 연재하고 있는 모바일 뮤직은 설 지나서 계속 진행하겠습니다. 생각보다 모바일 음악에는 관심들이 없으신 것 같아서 제가 간만에 하는 연재의 포인트가 조금 잘 못 됐나 반성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제 블로그가 일반적인 이슈를 무시하는 원론적인 이야기를 다루는 성향이 많지만 이왕이면 많은 분들이 관심있는 이슈이면 좋을텐데 말이죠. 아무래도 서비스 모델이 나와야 좀 관심이 있으실 것 같기도 한데요 후반부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트렌드쪽을 설명을 할 생각입니다. 설 연휴 동안 생각해보고 연재를 원래 기획보다는 좀 짧게 하는 것도 고려해봐야겠습니다.
5. 이 글은 설 연휴 지나고 공지사항으로 옮겨질 겁니다. 이 포스팅은 그냥 일반 포스팅으로 남겨 놓겠습니다.
음력이 있어서 좋은 점은 또 한번의 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명절 연휴를 앞두고 고향과 가족을 찾아나서는 분들이 참 많네요. 필리핀에 두고온 가족들이 맘에 걸리긴 하..
금번 Nokia의 Trolltech 인수건에 대해서 업계 내부에서 나오는 다양한 의견 중에 하나는 국내업체들은 뭐하냐는 것이다. 맞다. 삼성과 LG는 이대로는 절대 Nokia를 넘어설 수가 없다. 이미 '삼성과 LG의 노키아 증후군' 에서 이야기 했듯이 Nokia는 Nokia다운 전략이 있고, 우리들의 공룡 삼성과 LG는 공룡다운 생존법이 있어야 한다.
업계에서는 우리들의 공룡들이 왜 이러한 플랫폼 업체나 S/W, 서비스 업체들을 인수하지 않냐에 대한 지적들을 많이 하는데 나는 약간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다. 우리들의 공룡은 Nokia와 같은 S/W 업체가 결단코 아니다. 어디까지나 전화를 만드는 공장일 뿐이고 H/W가 산업의 근간을 이룬다. 그들의 조직 구조나 의사결정 시스템이 절대로 S/W나 서비스를 하기에는 불가능한 구조이다. 요 근래 몇차례 뒤늦은 시도를 하고 있지만 그러한 전략으로는 절대로 Nokia를 넘어서지 못할 것이라 100% 장담할 수 있다.
그 들의 BM이 나쁘거나 협력 업체들이 Nokia보다 떨어지거나 브랜드 가치가 떨어져서가 아니다. 우리들의 공룡들은 이미 공룡의 모습과 조직 문화가 공룡이기 때문에 결단코 S/W에 맞지 않는 사업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혹여 그들이 조직문화가 젊고 가볍고 의사결정 프로세스가 훨씬 심플한 전문 업체를 인수하여 그들에게 모든 것을 전담한다면 어느 정도 가능성이 있지만 전방위적인 행보를 보여주는 Nokia를 따라잡기에는 그것도 이미 늦은 선택일 것이다.
공룡은 공룡다운 생존 전략이 있어야 한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이야기 하지 못했던 좀 디테일한 예를 들어보고자 한다. 삼성이나 LG는 하드웨어 업체이며 수많은 그룹 계열사를 가지고 있다. 물론 우리나라 같은 계열사들은 자기네들끼리도 치고 받고 정치 싸움을 하지만 그룹내 조절을 통하여 서로간의 시너지를 찾아야 한다. 하나의 예를 들어보자.
사실은 이러한 자사 기기간의 연결은 이미 DLNA라는 표준이 존재하고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본문에서도 짧게 언급을 했었죠. 물론 DLNA의 원래 의도는 어떤 한 기업의 기기간의 연결이 아닌 전체 산업의 표준화를 지향하는 것이었지만요.
DLNA의 구성기업 중에 삼성이 속해있음에도 비공식적으로 삼성에서는 DLNA 팀을 해체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떠한 전략이건간에 삼성과 LG만의 색깔을 가지고 풀어가는 것이 핵심이겠지요. Nokia Like만으로는 힘들다는 것이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니깐요. 역시 본문에서도 한 이야기지만 구체적인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저희가 고민할 필요는 없습니다. 저희가 삼성이나 LG에 속해있는 구성원이 아니니깐요~
리플 감사합니다. ^^
노키아는 제조 회사라기 보다 비지니스 솔루션 회사 같습니다, 예로 노끼아는 Nokia biz forum 에서 on-line study 를 통해 license 를 취득하면 당장 노키아 제품을 sales 할수 있는 business framework 을 가지고 있죠 저는 이런 사업 모델을 가지고 있다는 것 자체에 크게 놀랐었습니다.
국내 공룡들도 사실 그런 경직된 조직에 걱정을 많이 할거라 생각 합니다./ 아니 안할까요?
좀더 유연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받아들일 수 있는 조직이 되려면 어찌 해야 할까요?
기업의 총수가 바뀌어야 하나요? ㅎㅎ
사람마다 관점이나 해석이 다르니깐요~ ^^
저의 생각보다는 ksksks님과같은 생각을 하시는 분이 일반적이신 것 같습니다. 이미 이 블로그를 통해 여러차례 이야기를 했지만 공룡이 공룡으로 가지는 파워와 거대한 모집이 있는데 Nokia라는 날쌘 독수리를 보면서 "와.. 재는 날아서 먹이를 채갈 수 있네... "라고 부러워 할 필요없다는게 제 생각이죠. 공룡다움의 장점을 살리는 BM이 필요한거죠. Nokia의 유연한 조직과 의사결정을 무서워할게 아니라 그들의 야망과 Passion, 그리고 실천력.. 그리고 그것을 주위의 업체들과 공유하는 개방된 마인드를 무서워 해야 하는거죠.. 삼성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승부할 수 있는 S/W 그룹이 아닙니다. 태생이 다르니 목적도 달라야 하는거죠. 이제 이 소리는 하도 많이 해서 제 블로그 자주 오시는 분들은 지겨워 하실 듯 합니다. ^______^
관심과 리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반갑습니다. 달홍님.
포스팅과는 별개의 이야기겠지만 사람마다 취향이 있지만 만능 리모콘과 같은 것을 일부러 사는 사람도 있는 판에 핸드폰에 있으면 꽤나 유용하죠. 대부분 사람들이 그런 기능이 있다는 걸 모르는게 문제죠. 사실 핸드폰의 부가 기능 중에 mp3 모듈과 카메라모듈을 제외하곤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했던 기능입니다.
Comments List
BP(Business Partner)도 존재하죠...
약어가 너무 많은 세상입니다. -_-
BP에 관해서는 http://www.mobizen.pe.kr/49 에서 한번 언급한 적이 있답니다. ^^ 약어를 정리하는 포스팅이 아니었으니 이해바랍니다.
매직엔, SHOW 무선 포털 기획/운영/개발 CA는 어니언텍이 하고 있습니다.
윰님.. 친 LGT였던 OT가 KTF로 범위를 넓혔죠? 위 표에 추가시켜 놓았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Fimm 영상 서비스 CA 재선정 PT가 오늘 있었다고 하는데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하네요.
그런 일이 있었군요. 혹시 결과 알게 되면 저에게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예전에는 MCP나 CA가 변화가 없었지만 심심치 않게 업체가 바뀌더라구요. 이통사가 그다지 쥐어주는게 없으니 하청업체 이상의 느낌을 받기가 힘든 것도 사실이죠~
다이렉트미디어가 다시 선정되었다고 하네요. 4년만이었다고 하는데 바꾸기가 쉽지 않은 모양이네요.
kjhondal님 정보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