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블로그 메타사이트 솔루션인 날개(www.wingz.kr)를 이용하여 배낭여행 메타블로그 사이트 'TRIP' (http://shoestring.co.kr/blog/)을 베타오픈하였습니다. 현재 피드추가 블로그는 '태더툴즈,티스토리,다음..
회사가 이사가기로 결정이 되었다. 강남을 떠나 북쪽의 상암 근처로 거취를 옮긴다고 한다. 현재 출근 시간이 편도 1시간 40분 정도 소요가 되는 것에서 약 40분 정도가 추가가 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 하루에 왕복 5시간을 투자하면서 계속 다니느냐, 새로운 거취를 알아봐야 하느냐, 집을 이사를 해야 하느냐의 3가지 선택에 서 있다.
이런일이 생길 때마다 내 자신의 identity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 기나긴 시장 침체기를 겪고 있는 모바일 시장에서 모바일이라는 내 자신의 강점이 그다지 필요없는 듯 하여 자괴감에 빠진다. 서비스와 컨텐츠가 유무선 구분이 점점 없어지고 상대적으로 부유한 유선에서는 무선을 바라보지만 먹고 살기도 힘이 들고 유저 인프라가 취약한 무선에서는 유선을 바라볼 여지가 없다. 예상컨데 약 3년 정도 지속되고 있는 무선의 침체기는 약 2년 정도는 더 지속되리라 보고 있다. 2년 후를 바라볼 수 있는 희망마저 무선에서의 시장 활성화가 아니라 유선에서의 유입이 좀더 쉬어지리라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때에 내 자신이 공부하고 열정을 쏟아 붓는 무선 시장의 관점과 Data를 필요로 하는 곳이 과연 있을까 의문이 생긴다. H/W는 더욱 발전하겠지만 서비스, 컨텐츠, Application은 무선만의 것이 생길 여지가 점점 없어지고 있다. 3년을 고민하고 있는데 새로운 활력소가 없다라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해당 분야의 시장 활성화 정도를 보려면 인력 시장을 보면 알 수 있다. 구인 사이트에서 '무선'과 '모바일'이라는 키워드 검색을 해보아도 이통사 눈치 봐가면서 하루하루 힘겹게 살아가는 CP들과 잦은 인력 교체로 인해 끊임없이 사람을 필요로 하는 문제많은 기업들 뿐이다. 이제는 나도 '모바일'이라는 단어를 버려야 하는건가... 남들 떠들어대는 Web 2.0이나 LTE와 같은 뜬구름잡기 이야기를 하면서 살아가야 하는건가? 모바일쟁이로 살아남는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옆에서 이야기 한다.
"mobizen이 근무하는 회사는 왜 그렇게 전부 다 없어지거나 이사를 멀리가지?"
모바일 바닥이 워낙 어렵다보니 모바일쟁이로 살아남는다는 것과 같은 이야기도 있지만, 지난 한주의 이슈는 LGT의 OZ와 터치웹폰(LH2300), 그리고 요금제에 대한 이야기였던 것 같습니다. 덕분..
저도 역시 같은 모바일 쟁이로서 모비즌님과 같은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초기에 이 바닥에 들아왔을 때 남들보다 앞서 새로운 시장을 찾는다는 마음으로 왔으나, 잘 나간다는 친구들의 소식에 한없이 초라해지며 스스로를 원망하고 제 선택을 후회했습니다. 회사에서는 이리저리 팀을 돌리고, 팀장님은 이걸로는 어렵다며, 우리를 설득하고, 그러다가 결국에는 팀은 없어지고 하나씩 다른 길을 찾고...
그래도 배운게 도둑질이라 아는게 없는데다가 남들이 쫒아가자니 그간의 노력이 아쉬워 회사를 옮겨 꿋꿋하게 제 길을 갔습니다. 그러다보니 저만 남았더군요. 누군가 저한테 그러더군요. 살아남는 자가 강자가 되는거 같다구요.
매일 같이 열혈 구독자인데 안타까운 맘에 주절거렸습니다. 계속 남아서 가르침을 주세요 ^^
오랜만에 mobizen님의 블로그에서 포스팅을 읽다보니...
참 많은 생각이 듭니다.
Open O/S도 화두가 되고 있지만, 아직 사업적 실체라고 할만한 것이 없는 상황에서 기술만을 부르짖는 상태이고...그나마도 그 Open O/S라는 것의 실체 역시 기존의 플랫폼의 문제점이 대치되기 보다는 '(시장에 유통되는) 새로운 플랫폼이 더 하나 생길지도 모르겠군.'이라는 정도의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모바일 플랫폼에서 10년째 종사하고 있지만...서비스, 플랫폼, 컨텐츠, 사용자는 항상 다른 곳을 바라보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Cross'라는 말이 참으로 어려운 요즘입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휴대폰 과연 어디까지 발전 할까? 컴퓨터의 미래 모습은 어떠할까. 미래의 컴퓨터는 착용하고 있는 것일까, 가지고 다니는 것일까. 여러가지 의문을 스스로 던져 본다. 휴대폰의 미래 모습을 ..
소리 없는 총성 모바일 전쟁 작년 포토제닉폰 VS 뷰티폰의 진검 승부에서는 판매 대수가 많았던 뷰티폰 승리지만 이 또한 부끄러운 승리라 본다. 포토제닉폰 같은 경우 뷰티폰의 출시일에 맞..
요즘 터치가 대세입니다. LG는 아예 CYON의 슬로건을 "Touch The Wonder"로 바꾸었고, 삼성전자도 피드백 기능을 추가한 전면 터치폰을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온통 안동 찜닭집 처럼 우르르 몰려가는..
LG텔레콤의 모바일 인터넷 개방 기사가 제대로만 실현된다면 시장에 분명한 영향을 끼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무선인터넷을 소비자와 콘텐츠 제공업체에 전면 개방합니다. 앞으로 무선..
자신의 핸드폰에 있는 각종 데이타를 PC화면에 옮겨 놓는 시도는 새로운 게 아니다. 이러한 솔루션으로는 위젯 형태가 가장 일반적일 것이고, 역시 선두에는 Nokia가 있다. Nokia의 Beta Labs에 있는 My Mobile Site widgets 이 이러한 Nokia의 노력의 결과이다.
PC에 설치된 이 노키아 위젯들은 Yahoo 위젯 엔진을 사용한다. 해당 위젯은 Python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핸드폰에 설치되어 있는 Mobile Web Server와 HTTPS 통신을 하여 해당 정보를 update 한다. 위젯을 개발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적인 궁금증은 Nokia의 Wiki 사이트에 방문하면 되고, Mobile Web Server에 대한 내용은 http://mymobilesite.net/files/MobileWebServer_Book_en.pdf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위의 이미지를 보면 대충 어떠한 위젯인지 짐작이 가겠지만 주요 위젯은 아래와 같다.
밧데리 위젯 :
현재 핸드폰의 밧데리 잔량을 표시해 준다.
통화감도 위젯 :
현재 핸드폰의 통화 감도 상태를 표시해 준다.
SMS 위젯 :
저번 포스팅에서 설명했던 Text Messenger와 동일하다. 해당 위젯은 주소록도 같이 정기적으로 Upate 되어 자신의 PC에 보여주며, 실효 여부는 좀 생각을 해보아야겠지만 선택된 SMS를 TTS 기술을 이용해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사진 위젯 :
개인적으로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위젯. 폰에 있는 이미지를 보여준다.
전화 위젯 :
통화 내역을 볼 수 있고, 주소록 데이타에서 Drag & Drop을 하면 전화를 걸어준다.
현재 Release 된 것은 아니고 열심히 개발 중에 있으나 Beta Lab 방문자에게 꽤나 호응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인기가 좋은 위젯은 역시 SMS 위젯이며, 통화감도 위젯은 거의 쓸모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SMS위젯 등에서 검색 기능에 대한 추가 요구도 있어서 계속 기능 추가가 진행 중이다.
새로운 것을 하려는 시도나 개발을 할 때 사용자의 반응을 살펴 기능 추가에 대한 고려를 하는 점 등이나.. Nokia는 참 부러운 회사이다...
Comments List
저도 같은 문제로 제품을 교환 받았습니다.
WPN-480 은 정확히 말씀드리면 LG노텔 제품이고 LG전자에서 AS를 대행하는것 같습니다.
요즘 WPN-480에 불량이 많아서 교환을 많이 하고 있는데 LG데이콤에서 발송한 물건이기 때문에 LG데이콤에서 교환도 해주는것 같네요..
네~ 저도 노텔 제품인 것은 알았답니다. 사실 LG가 노텔과 같이 브랜드가 약간 섞여있는 제품이 많아서 AS하는 곳이 나누어져 있더라구요. 휴대폰이나 집전화에 대한 언급은 있는데 MyLG070의 AS를 담당하는 곳이 어디인지 명확하게 명시가 안되서 저도 고객센터로 문의를 했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