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선인터넷의 혁명'은 IT분야가 아닌 사회 전반에 걸쳐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으며, 지난 10년간 무선인터넷 시장에서 '슈퍼갑'으로 무소불위의 권력을 누리던 이통사들에게도 역할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위 이미지는 Berlin Telco Summit에서 발표된 자료로 Telco를 중심으로 트렌드의 변화를 잘 설명하고 있다.

위의 내용을 자의적인 해석을 통해서 짧게 설명을 해보자면..
(1) Telecommunication은 단순히 사람과 사람의 음성통화가 아닌 사회적인 미디어로 발전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행동 패턴을 변화시키고 있다.
(2) 이러한 무선인터넷의 중심에는 고객이 아닌 이통사가 군림하였으며, 이로 인해 고객들에게 이통사들의 '공공의 적'으로 치부되고 있는 것이 국내외의 현실이다.
(3) 무선인터넷의 발전은 Web 2.0의 철학과 만나 이통사들에게 개방과 공유를 요구했으며, 고객들은 이통사의 Brand 보다는 개개인의 Relation을 더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다.
(4) 이통사들은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에 귀기울이는 것보다는 자신들의 새로운 상품을 팔기에 급급했고, 대부분 실패하고 있다.
(5) 이러한 이통사 중심의 무선인터넷에 iPhone의 등장으로 게임의 법칙이 바뀌게 되고, 이통사들의 헤게모니는 점차 사라지고 있다.
(6) 그 결과로 현재 무선인터넷 시장을 리드하는 것은 이통사가 아니라 새로운 신규 단말과 제조사 브랜드, 그리고 앱스토어를 중심으로 하는 모바일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변화해가는 흐름속에서 이통사들의 자신의 identity를 잘 변화시키고 있을까? 현재 이통사들은 단말벤더들을 중심으로 하는 Open Market과 같은 유통채널의 변화에 대항하기 위해 Walled Garden을 유지하거나 동일한 형태의 앱스토어를 내세우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이러한 이통사들의 유통채널은 대부분 부정적인 평가가 많다. Chetan Sharma Consulting의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전문가들의 과반수에 가까운 47%가 2010년부터 이통사들의 Walled Garden 시장이 퇴보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제 스마트폰이 전체 단말 M/S의 20%가 넘는 북미와 유럽시장에서는 이미 단말벤더들의 앱스토어 진출로 인해 모바일 컨텐츠 유통의 주도권이 이미 넘어가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컨버전스시대에 이통사의 사업전략과 가치추구가 수성(守城) 위주라는 것도 문제이다. 빼앗긴 컨텐츠 유통의 헤게모니를 지키는 것에 비해 새로운 영역에의 도전은 부족하다. 최근 Vision Mobile의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에 비해 2010년에는 각 플레이어의 사업영역이 넓어지며 서로 상충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영역이 넓어지는 만큼 기존에 Ownership이 없던 영역에 다소 Aggresive하게 접근하려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이통사 입장에서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은 Service Enabler로서의 Positioning 변화이다. 최근 업계에서 가장 높게 요구되는 것은 Open API이다. 지난 'MobileWeb VISION 2010 행사'에서 KT가 인증, 과금, 메시징, LBS, 광고등의 API를 개방한다고 발표를 했었다. 환영하고 타이통사들도 하루 빨리 의사결정을 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이통사들은 이러한 API의 개방이 Service Enabler로서의 올바른 접근이며,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한, 'Two-Sided' 모델을 통해 수익채널의 다각화를 이루어 내야 한다. 작년 국내 모이통사의 시무식때 '이통사의 수익은 ARPU x 가입자수 외에는 나올 수 없다'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그것은 이통사 스스로 자신들의 사업영역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Telco 2.0 에서 시행된 이통사 담당자들의 설문조사에서도 85%에 해당하는 응답자가 지금과 같은 고객 ARPU로만 이루어지는 'one-sided'의 수익구조로는 도태될 것이라고 예상을 하였다.

'무선인터넷'이 활성화되고 있는 이 시점에 '이통사의 위기'라는 것은 매우 아이러니컬하다. 실상, 위기는 기득권안에 갇혀있는 이통사 자신들의 작품이다. 과거에 쥐고 있던 모든 것을 포기하는 '파괴적인 혁신'을 한다면, 위기는 오히려 이통사들에게 성장과 혁신을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러한 이통사들의 모습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2010/01/06 08:45 2010/01/06 08:45

모바일 이야기 :: 이통사의 미래와 생존전략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국내외 핫이슈, Android

Adnroid에 대한 업계의 기대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계속해서 커가고 있다. 최근 Chetan Sharma Consulting에서 모바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010년의 주요 이슈를 전망하는 설문에서 'Google Phone과 Android'가 2위로 지목되었다. 이 외에도 Forrester의 전망에 의하면 2010년 Android 단말의 시장 점유율이 10%를 넘을 것으로 보고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ndroid는 시장 공세는 국내도 크게 다르지 않다. 1월 중순경에 출시될 것으로 알려진 모토로라 제품을 시작으로 SKT에서만 올해 10모델 이상이 출시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2월에는 삼성제품, 3월에는 LG전자 제품, 4월에는 SKY 제품이 나오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최근 ROA 그룹에서 조사한 2010년 국내 모바일 M/S에 대한 전문가들의 전망은 Android가 54.6%를 차지하였다. 아직 국내에 출시도 되지 않았고, 해외에서는 잠재적인 기대치에 비해 시장 M/S가 그리 높지 않았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전문가들이 바라보는 Android의 기대치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여전히 전망은 불투명

'Android가 정말 대안인가?'를 비롯하여 여러차레 본 블로그를 통해 피력했듯이 mobizen이 바라보는 Android의 기대치는 그렇게 높지 않다. 근래의 분위기는 헤게모니를 애플에게 넘겨버린 기존 이통사와 단말 제조사들이 iPhone Killer로서의 대안으로 Android를 선택했으며, 이러한 현상이 응집효과처럼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다양한 Android 단말이 쏟아져 나오고, 많은 사업자들이 준비하고 있으며, 이통사들의 보조금에 따라 단말시장이 움직이므로 M/S 역시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진정한 iPhone Killer로서의 사업자 요구에 부합할 수 있을 것인가?'와 '무선인터넷과 앱스토어 등에 가치있는 단말이 될 것인가?' 이다. 그리고, 이러한 질문에 여전히 mobizen은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장기적인 추이에는 생각이 조금씩 바뀌고 있으나, 단기적인 전망에는 변함이 없다.


iPhone Killer가 될 수 있을까?

이러한 mobizen의 예측은 대부분의 전문가와는 다른 의견인데, 적어도 Chetan Sharma Consulting에서 조사한 해외 전문가들은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나 보다. 2010년 Andoid의 M/S가 iPhone보다 더 높을 것이라는 질문에 57%가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글 Nexus One'과 같은 제원이 높은 고가 단말의 경우에야 iPhone만큼의 사용성을 가질 수도 있겠지만 멀티태스킹을 지원하고 기존 Linux 플랫폼의 기술철학을 유지하고 있는 Android는 일반 제원의 단말에서 iPhone Killer가 되기는 힘들어 보인다.


동상이몽의 Android 진영

다양한 사업자들이 Android를 선택했지만, 문제는 그들이 바라보는 Android의 View가 모두 달라서 동상이몽(同牀異夢)의 전형적인 행태을 보여주고 있다. Apple이 iPhone이라는 단 하나의 모델로 시장을 리딩할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중앙집중적인 전략을 펼 수 있었기 때문인데, Android는 애초에 중앙집중이 불가능한 연합집단이다.

장기적으로 '자유와 개방'의 기치가 성공하겠지만, 아직은 스마트폰과 무선인터넷이 시장을 개화하는 단계인만큼 응집력이 필요하게 마련이다. 시작은 Anti Apple 사업자들의 응집형태지만 실제 모습을 살펴보면 각자의 이해관계에 의해 전혀 다른 Android 전략을 가지고 있다. 각 제조사들과 이통사들의 Needs에 의해 만들어지는 Android는 해상도를 비롯하여 각 단말의 제원도 제각각이며 심지어 그들이 포팅하고 있는 OS마져 그들의 Needs에 의해 수정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도 현재 SKT향 Android폰에 '멜론'을 비롯한 SKT 서비스를 포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Webkit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브라우저의 사용성은 높지만, 이는 대부분(MS의 IE 제외)의 최신 스마트폰에서는 비슷한 사용성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Android만의 차별성이라고 보기는 아직은 어렵다. Android가 무선 인터넷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Android Market을 중심으로한 Mobile App에서의 차별성을 보여주어야 하는데, 이는 좀처럼 힘들어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ndroid는 Google 제품


예측은 예측일 뿐, 실제 시장의 흐름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mobizen과 같은 View를 가지고 있는 이들은 많지 않다. 여전히 구글이라는 Brand Power는 빛나보이며, 단말 모델의 수에 거는 기대감이 높은 이들이 대부분인 것은 사실이다.

장기적으로 Android의 전망은 긍정적인 면이 분명히 다수 존재한다. 문제는 단기전의 모습인데 현재의 상황이 위와 같을 뿐, 이 또한 구글 하기 나름이다. 'Nexus One'와 같이 구글 스스로 움직여 응집력을 만들어가고 Local 회사들과 제휴를 Active하게 만들어 간다면 전혀 다른 양상이 될 수도 있다.

확실한 것은 다양한 서비스 Edge를 가지고 시장을 준비해오다가 Android를 선택한 사업자들은 성공할 수도 있겠지만, 무선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으로 Android를 선택하여 뭔가를 하려는 사업자들의 성공확률은 극히 낮을 것이라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서비스와 컨텐츠이지 플랫폼은 아니리라... 그리고, 이 룰은 단말벤더와 이통사 역시 예외가 될 수 없다.
2010/01/05 08:43 2010/01/05 08:43

2010년, Android에 대한 기대감 - 안드로이드폰에 엄청난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한국서 단기적인 관점에선 Windows Mobile과 별반 차이가 없을것이지만, 통신사들이 안드로이드를 밀어 WM일색의 앱스..

2010년, Android 에 대한 기대감… 애플과 구글의 전략을 보면, 애플은 전통적으로 '비공개'를 고수하고 있고 구글은 'IBM 호환'이다. PC 환경에서는 IBM 호환 전략이 압승했지만 모바일에서는 어떨..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Smartphone과 Premium Featurephone을 중심으로 한 터치단말의 강세가 좀처럼 약해지지 않고 있다. 무선 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모바일웹 사용이 많아지면서 터치 단말은 거의 필수가 되고 있다. 09년 11월 현재, 전세계 휴대폰 단말의 37%가 터치 단말로 보고될 정도로 이제는 일반화되어 버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터치단말이 많아짐에 따라 터치 판넬 시장 자체도 호황을 누리고 있다. 올해(2009년)에는 가격 경쟁이 치열해서 단말이 늘어나는 성장율에 비해 소폭 상승에 그치지만, 시장 정리가 어느 정도 된 2010년부터는 본격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도 터치단말의 인기는 매우 높고, 젋은 층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발행한 보고서 중 터치 단말 사용자에 대한 분석내용이 있어 이를 공유하고자 한다. 참고로 보고서 원문에는 터치단말을 포함한 스마트폰이라고 지칭하고 있으며, 모든 스마트폰이 터치단말은 아니므로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으나 시장을 이해하는데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만 12-59세 사이의 사용자 중에서 터치 단말을 사용하는 비율은 13.3%로 보고 되었다. 남성과 여성의 비율차는 그리 크지 않게 각각 13.4%와 13.1%로 나타났다. SmartPhone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보급형 터치일반폰이 늘어나는 만큼 위의 수치를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령대별 비율을 보면 20대가 26%로 월등히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12-19세(18.4%), 30대(13.5%)가 각각 차지했다. 유행에 민감하고 10대에 비해 구매력이 있는 20대가 많은 것이 당연하다고 할 수 있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터치 단말에 주목할 수 있는 것은 무선인터넷에 친화적인 단말이라는 것이다. 터치단말을 소유한 사용자 중 80.7%가 무선인터넷을 이용한다고 답변하여, 48.7%에 불과한 일반단말에 비해서 월등히 높은 수치를 보였다. 연령대별로는 12-19세와 20대 중 터치단말소유자의 90%이상이 무선인터넷을 이용한다고 답하여, 사업자 입장에서 매우 중요한 타겟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주었다. 그외의 연령대에서도 터치단말 사용자가 일반단말 사용자에 비해 무선인터넷을 활발하게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무선인터넷에 충성도가 높은 터치단말 사용자들은 일반단말 사용자들에 비해 훨씬 다양한 목적으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음악듣기, 정보검색, 게임, 이메일, 블로그 등에서 작게는 11.1%, 많게는 21.1%나 차이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프라다폰 이전까지만해도 국내 사용자들에게 터치단말은 거부감이 매우 높았고 그리 오래된 이야기가 아니다. 시장에서 터치가 일반화된지 얼마되지 않은 것을 감안한다면 터치단말시장의 성장세나 무선인터넷의 행태 분석은 매우 흥미롭다. 이에 반해 여전히 QWERTY 자판에 대한 호감도가 올라가지 않고 있는 것도 재미난 점이다.
2009/12/30 09:09 2009/12/30 09:09
알봉이

한국화 하였다고 드로이드폰에 QWERTY 자판을 없애고... T_T QWERTY 자판 채용한 프라다폰이나 엑스페리아도 쿼티 자판에 대한 큰 호응은 없네요. 숫자 키패드에 익숙하여 그런건지 타수가 키패드에 비해 느려져서인지... ㄱ-)ㅋ 안타깝네요.

다양한 분석 재미있게 봤습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북미지역 휴대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휴대폰의 기능 중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기능을 조사한 결과 사진찍기를 제외하면 위치기반정보를 얻거나 검색하는 것이 25%로 높게 조사되었다. 올해 초에 발표된 Limbo의 'Mobile Advertising Report'에 따르면 미국 휴대폰 사용자 열명 중에 한명은 지도나 친구, 레스토랑을 찾는데 위치기반어플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참고로 이중 25-34세 사이의 연령대에서 22%의 사용률을 보여 타 연령대비 월등하게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이렇게 위치를 활용하는 서비스(LBS)는 무선 인터넷에서 핵심 기능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앱스토어 내에서도 위치기반어플(Location Based Application)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발표된 Gigaom 자료 의하면 앱스토어 내에서 위치기반어플의 다운로드수는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해당보고서에 의하면 2009년 위치기반어플의 다운로드수는 3 Billion이 예상되며, 이후 폭발적인 성장으로 인해 2013년에는 7 Billion에 이를 것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Limbo 보고서에서는 iPhone 사용자의 33%가 LBS 기반 서비스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앱스토어 내에서 위치기반어플은 다양한 장르에 포괄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앱스토어에서 'Navigation & Travel' 카테고리 내의 상당수의 어플이 위치기반어플이다. 이 외에도 뉴스, 날씨, Social, Entertainment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위치를 활용하는 기능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가질 수 있는 고유 기능으로 인식되면서 위치기반어플의 영역은 점차 광범위해지는 추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고로, 위는 STRBASE에서 정리한 iPhone App Store내의 주요 위치기반어플들이다. 각 카테고리나 기능별 대표 어플이니만큼 한번씩 사용해보고 벤치마킹을 해볼 필요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치기반어플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장르 어플에 비해서 고가라는 점이다. 09년 11월에 발표된 Distimo Report와 Fierce Mobile Content 자료를 통해서 자료를 재구성을 해보면 iPhone App Store내의 전체 평균 어플 가격이 $2.59인데 반해 위치기반어플 가격은 $7.34로 훨씬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lackBerry App World내의 위치기반어플의 평균 어플 가격은 $14.37로 iPhone보다 더욱 높은 것도 이채롭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는 각 앱스토어별로 위치기반 어플의 유료와 무료의 비중을 정리한 것이다. iPhone App Store내에서는 유료어플이 전체의 57%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BlackBerry App World는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다만, 아직도 대부분이 무료어플이 차지하고 있는 Android Market의 경우에는 21%에 불과하고 있다. 위치기반어플의 경우에는 무료일지라도 지역광고와의 궁합이 잘 맞아 BM 구축이 용이한 것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전에 소개한 것과 같이 이통사 기반의 LBS 시장이나 모바일 웹서비스내의 LBS 적용등의 성장세에는 이견이 없지만 여러가지 상황으로 조금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상대적으로 기술적인 접근이 용이한 위치기반어플 시장은 현재 무섭게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주요 포탈을 중심으로 해서 다양한 위치기반어플들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위치기반 기능은 앞으로는 서비스의 Edge라기 보다는 필수요소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국내의 경우에는 어플내에서 위치 연동을 하게 되면 05년 7월부터 시행된 '위치정보보호법'의 적용을 받으므로, 사업자들은 주의해야 한다.
2009/12/29 08:35 2009/12/29 08:35
Posted
Filed under 원고 및 발표자료
무선 산업이 커지고, Web 사업이 다양한 서비스 채널을 고민하면서 기존 Web 사업자들이 무선쪽에 눈을 많이 돌리고 있다. 최근 웹전문 기업에서 요청이 와서 모바일 시장에 대한 트렌드를 강의한 적이 있는데, 해당 자료를 공유해 본다. 모바일에 관심이 없던 서비스 사업자들을 위한 내용이었던만큼, 일반적인 내용을 소개했으니 유무선 서비스에 대한 고민을 오래동안 해온 이들에게는 시시해 보일 수 있다.


전달하려고 했던 메시지는 너무 쉬워서 PT 자료만 보아도 이해가 갈 것으로 예상된다. 개략적인 내용만을 간략하게 설명을 하자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지금까지 시장이 작다고 해서 무시할 수 있었지만, 전세계 66.7%의 보급율을 올리고 있는 모바일은 이제는 더 이상 작은 시장은 아니다. 이제는 모바일 시대를 준비해야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생존을 위한 움직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준비되지 않는 유선사업자 입장에서 조금은 생소한 환경과 단어, 그리고 기술요소들이 당황스러울 수 있다. 현재 모바일에는 여러개의 핵심 키워드가 있는데, 이 모든 것은 한꺼번에 설명할 수는 없고 가장 핵심이 되는 3가지 키워드를 소개하고자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첫번째 키워드는 'Smart Phone'이다. Smart Phone은 아직까지는 M/S의 비율로 볼 때 Feature Phone에 비해 적지만 Traffic이나 비즈니스의 기회요인이 훨씬 높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모바일 사업자의 입장이라면 Feature Phone과 Smart Phone에 대한 선택의 고민이 있을 수 있으나, 새롭게 채널을 늘리려는 유선 사업자라면 Feature Phone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Smart Phone이 기존 Web 사업자 입장에서 중요한 것은 예전의 Walled Garden외에 Open Market이라는 새로운 유통채널이 생겼다는 것이다. 애플의 앱스토어는 이미 성공을 했으며, 기타 Big Player들도 Open Market을 시작했다. 국내에서도 이통사들이 Open Market을 보유하고 있으나 모바일 사업 초기에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Open Market이나 새로운 모바일 환경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Killer Application을 가지고 있거나, Kill가 될 수 있는 Trend를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Twitter를 중점으로 최근 관심의 중심에 있는 SNS와 Social의 요소를 이해할 필요가 있고, 기존 사업과의 접목을 시도해 볼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전에 이러한 모바일 산업에 대한 변화는 먼나라 이야기와 같고, 국내 산업에서는 직접적인 변화를 체감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이번 아이폰 출시를 시작으로 최근의 국내 모바일 산업의 변화는 분명히 의미가 있으며, 지금부터 본격적인 준비를 해야함을 이야기 해주고 있다. 모바일 산업은 Web 보다 시기에 더 민감한 'Time To Market'이다. 서둘러 공부하고, 전략을 짜서 새로운 시대를 대응해야 할 때이다.
2009/12/24 09:28 2009/12/24 09:28

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 3 Keywords For Mobile http://bit.ly/4Rj2B6

임준섭

너무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자료가 너무 참신하고 임팩트 있네요 ^^

cubix

좋은 자료 잘 보고 갑니다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PT 자료만으로도 충분히 어떠한 내용을 전달하려는지를 알 수 있네요. 크리스마스 잘 보내세요^^

이승환

프레젠테이션만 봐도 이해가 갑니다, 너무 멋진 자료에 감동 ㅠㅠ

blur

좋은것 많이 봅니다.. ^^

심슨삼촌

모비젠 님의 PPT 작성능력은 정말 광고대행사에서도 탐을 낼 수준으로 생각되요
내용의 전달에 가장 효과적인 이미지들의 사용은 멋지십니다 ^^

푸르자나

좋은 자료 잘 보고 갑니다 ^^

게으르미

너무 쉽고 재미있으면서 "에찌" 있는 글이네요~~
잘 읽었습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업자 중심의 SIM고도화, UICC

3G가 일반화되고, SIM 판매가 늘어남에 따라 SIM 활용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다. 이통사들은 SIM을 활용한 새로운 부가 서비스와 제휴 모델을 만들어 내기를 원했고, SIM이 가지고 있는 인증(indentification)성 때문에 새로운 먹이감이 될 수 있으리라 예상했었다. 이러한 접근법으로 인해 초기 SIM활용 서비스들은 대부분 모바일 뱅킹, 전자 지갑 등에 집중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탄생된 차세대 SIM이 바로 UICC이다. UICC는 SIM(또는 USIM)의 기능을 포함한 확장판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제표준단체 ETSI는 1998년 유럽의 3세대 이동통신서비스인 UMTS(범용이동통신시스템)를 준비하면서부터 통신용 IC칩인 SIM(가입자식별모듈)을 UICC로 개념을 확대하고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표준 규격을 정의하고 있다.

기존 SIM이 통신서비스만을 위한 단일 애플리케이션 카드라면 UICC는 SIM, USIM, EMV(스마트카드국제규격), 전자지갑 등 다양한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다중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업자 중심의 SIM 고도화는 여전히 제자리 걸음이고, 개인적으로는 실패했다고 생각한다.


SIM 고도화를 통해서 사용자의 이익을 개선해야

SIM은 사업자 중심의 현재 무선산업 구조를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핵심 아이템이다. SIM에 미들웨어 플랫폼을 탑재시키거나 용량을 증대시켜 컨텐츠 유통 구조의 혁신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이렇게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SIM Unlock 제도를 확대해야 한다. SIM Unlock은 특정 단말이 특정 이통사에 종속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이는 망중립성과도 관련이 있다. 일본의 경우 2010년에는 SIM을 완전 개방할 예정이다. 해외의 경우도 일본과 같이 전부는 아니더라도 SIM Unlock단말을 확대하는 추세이다.

또 한가지는 SIM 유통권을 개방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SIM을 이통사에서만 판매를 하고 있다. SIM을 제3사업자에게 재판매를 해서, SIM내의 프리인스톨 컨텐츠를 넣을 수 있게끔 하여 다양한 사업자들에게 기회요인을 주어야 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의 입장에서 MVNO보다 SIM 유통이 훨씬 현실적이고 의미있다.(음성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조금 다르다.)


컨텐츠 유통과 SIM의 결합, Smart SIM

Smart SIM은 SIM에 용량 등을 확대하여 단말기를 교체하더라도 폰북/멀티미디어 파일 등 개인이 소장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쓸 수 있게 하거나 개인화된 Portal/멀티미디어 메시징 등 다양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Smart SIM은 SKT의 제안으로 표준화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현재 Orange, Telefonica, TIM, AT&T Mobility, Softbank, Telenor, KTF 및 Gemalto, G&D 등 세계 유수 이동통신사와 스마트카드 제조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사실은 Smart SIM과 UICC가 추구하는 방향과 기술적인 요소는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사업자 중심의 고도화와 사용자 중심의 고도화이냐에 차이가 있다. Smart SIM에서의 용량고도화를 통한 SIM 활용 접근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생성하고 있다. 젬알토(Gemalto)는 SIM카드에 DVD호환 광디스크를 내장한 스마트 비디오 카드 개발했다. 스마트 비디오 카드는 120MB용량과 표준 DVD 플레이어에서 콘텐츠 재생 가능한 제품이다. 최근, 젬알토는 유니버설 뮤직 그룹과 제휴를 통해 스마트 비디오 카드를 음악 유통 채널을 통해 보급하기 시작했다. SIM과 음악 유통 채널을 결합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martcard Web Server

Smart SIM의 가장 흥미로운 시도는 Web Server를 내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OMA(Open Mobile Alliance) 주도하에 표준화가 시도 중이며 현재 Version 1.1 까지 릴리즈가 되어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당 프로젝트는 Smartcard SIM에 웹서버를 내장하여 http Request를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Request는 외부 이동통신망이나 RFID등을 통해 요청될 수도 있으며, 단말내 Web Application일 수도 있다. 해당 웹서버는 Local Data를 Access해서 특정 응답을 하거나 반대로 Local Storage내에 특정 Data를 저장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응 OMA 홈페이지를 참조하기 바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시 주목받는 SIM

UICC를 비롯한 SIM고도화의 실패로 인해 한때는 관심밖에 있던 SIM이 최근 다시 국내에서 논의되는 것은 KT가 마케팅의 초점을 SIM에 맞추면서이다. KT는 마케팅만큼 내부적으로는 SIM을 활용한 부가서비스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그 결과 KT가 내놓은 것이 고작 3W(WCDMA, Wibo, Wi-Fi) 등 3개 통신망 접속을 하나의 칩에서 인증할 수 있는 통합 USIM이다. 사용자는 통합 USIM을 장착할 경우, 무선랜과 와이브로 모듈을 탑재한 스마트폰에서는 FMC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인데 여전히 철저한 공급자 관점의 부가서비스이다.

해외의 경우와 같이 국내에서도 기존 사업자 중심의 SIM 고도화는 크게 성공하는 것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 SIM의 성공 전략은 기술보다는 기존 사업 구조의 변화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위에서 소개한 Smartcard Web Server의 경우도 국내 이통사에서 이미 기술 검토가 어느 정도 끝난 상황이다. 하지만, 쉽사리 상용화하지 못하는 것은 성공할 확률이 작기 때문이다. 개방화하고 다양한 서비스와 플랫폼의 Enabler로서의 역할을 해야 서로 Win-Win 할 수 있는 시점이다.
2009/12/23 08:46 2009/12/23 08:46
Posted
Filed under 원고 및 발표자료
약 2주전에 부탁을 받고, 전자신문에 기고한 글이 오늘자 신문에 실렸다. 부탁받은 내용은 아이폰 출시 이후에 상황에 대해서 가볍게 다루어 달라는 것이었는데, 3가지 과제를 중심으로 해서 글을 썼다. 쉽고 편하게 쓴 글이니 한번 읽어보기를 권한다. 전자신문에서는 마지막 문구를 편집해서 게재했는데, 본 블로그에서는 원문을 그대로 다 공유해 본다.

2009년 11월 28일, KT를 통해 아이폰이 국내에 출시 되었다. 발매 일주일만에 전체 단말판매 중의 10.2%를 기록하며 단숨에 1위에 올랐고, 열흘만에 10만대 이상이 판매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품 수급의 어려움으로 실제 구매 의사가 있는 고객들의 대기수요가 있는 만큼 아이폰이 순조로운 출발을 보이고 있는 것은 부인하기 힘들게 되었다.

해외에서는 2년전부터 시작된 아이폰의 열기를 이제서야 느낄 수 있는 것에 대해 감회가 새롭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씁쓸하다. 아이폰이 만들어내는 이러한 열기를 잠시 만끽하는 것도 좋지만, 이러한 열기를 통해 사용자의 가치를 만들어가고, 국내 무선인터넷 활성화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해결해야할 과제들이 있다.

첫째, 아이폰이 국내에 출시되면서 도출되었던 국내 모바일 산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해결해야 한다. WIPI 탑재 의무화, 위치정보 사업자 허가 문제, 국가정보원과 국토해양부의 GPS 좌표 표시 문제, 아이폰 특혜 논란, KT의 개통 지연 문제, 게임물등급심의제 등은 지금까지의 국내 무선 인터넷 산업이 얼마나 폐쇄적이고 규제 일변도였으며, 사업자들의 이해 관계에 의해 움직여 왔는지를 이야기 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논의하고 해결하지 않는다면 아이폰이 만들어낸 긍정적인 변화의 시작은 '아이폰'에만 머물고 끝날 것이다. 이는 아이폰을 도입할 때만큼이나 사용자들의 힘과 전문가들의 노력이 필요한 부분이다.

둘째, 국내 개발사들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앱스토어들이 성공하면서 국내 시장에 갇혀 있던 많은 개발업체와 1인 개발자들이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넓어졌다. 이를 다른 각도에서 보자면 해외의 능력있고 아이디어 넘치는 제품들과 국내에서도 경쟁을 해야 한다는 뜻이다. 국내보다 일찍 아이폰, 블랙베리, 안드로이드 등의 스마트폰을 경험해 본 해외 개발사의 제품들은 워낙 다양하고, 국내에서 사용하기에도 무리가 없다. 시장이 열렸다고 해서 당장 앱스토어에 진출하기 보다는 조금은 냉정하게 판단하여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제품을 기획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플랫폼을 선택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갖추어야 한다.

셋째, 서비스 사업자들은 본격적인 모바일웹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 해외는 모바일웹이 어플리케이션 못지 않게 발달해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국내의 경우는 몇몇 포탈을 제외하면 어플리케이션에 치중되어 있다. 모바일웹 환경에 소극적인 이유는 모바일에서 발생되는 트래픽이 너무 미비하고 아직 시장이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이 아이폰이 출시되면서 변화하고 있다. 아이폰 출시이후, 포탈들의 모바일웹 페이지 트래픽은 10∼20% 정도 상승하였고, '사파리 브라우저'로 접속하는 비율이 또한 매우 높아지고 있다. 아이폰을 비롯한 스마트폰의 사용이 늘어날수록 모바일웹 사용은 매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는 사용할 수 있는 웹서비스들이 매우 한정적이다. 사업자들은 사이트를 가볍게 하고, 웹표준을 준수하며, ActiveX와 Flash를 지양해야 모바일웹 트래픽이 늘어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전사원에게 아이폰을 포함한 스마트폰을 지급하는 기업체와 단체가 늘어나고 있다. 이들 중에는 IT와 무관한 기업이나 정치단체들도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지금까지의 사용자의 니즈가 없던 것이 아니고, 마땅한 디바이스와 이를 뒷받침해주는 에코시스템이 부재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번 아이폰 출시를 통해 국내 무선인터넷 현실을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여 증대되는 무선인터넷의 관심을 시장활성화로 이어갈 수 있기를 바란다.

전자신문 링크 : [콘텐츠포럼] 아이폰 출시 후 남겨진 과제들
2009/12/22 11:06 2009/12/22 11:06
minjuny

IT업무를 하면서 답답한 점중 하나는 같이 일하는 기획자 분들도 rich platform의 차이를 거의 모른 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좀더 이쁜 flex를 쓰고자 하고, 시간에 쫒기는 개발자들은 ajax보다는 노력이 덜들고 훨씬 이쁜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플래쉬 기반에 동의하여 개발하게 되더군요. 결국 호환성이 매우 떨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flash를 쓰면 active X를 쓰는 것보다 호환성이 좋다라는 생각에 이제는 조금 생각있는 기획자 분들도 약간은 무분별하게 flash /flex를 남용하고 있지 않나..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시간이 조금만 더 지나면 Featurephone과 Smartphone의 구분이 의미없어질 것 같기는 하지만, 플랫폼과 사용자 경험이 큰 차이가 나고 있는 현실에 있어서 두개의 서로 다른 Segment를 마냥 무시할 수는 없다. 사업자 입장에서는 사용자풀이 큰 Walled Garden을 타겟으로 하느냐, 로얄티가 높은 Open Market을 타겟으로 하느냐의 질문이 마냥 쉬운 것은 아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Chetan Sharma에서 발표한 보고서 중 일부 내용을 소개하면서 이 둘간의 사용성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이 포스트를 읽기 전에 '매력을 잃었지만 여전히 큰 시장, Feature Phone'도 참고로 읽어보기를 권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09년 1Q 자료에 의하면 전체 휴대폰 판매량은 전년대비 8.6% 감소한 반면, Smartphone의 경우 12.7%가 증가하였다. 그만큼 Smartphone의 성장과 관심이 폭발적이라는 뜻이다. 2009년 전체 휴대폰 판매량 중에 Smartphone이 차지하는 비중은 19%이다. Featurephone과 Smartphon의 M/S는 누적량이 있기 때문에 09년에 1:9 수준이지만 14년에는 3:7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는 둘 사이의 ASP(Average Selling Price)를 비교한 것이다. 그래프에서 쉽게 알 수 있듯이 전체 폰의 ASP는 모두 하락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Featurephone의 하락폭이 Smartphone보다 더 큰 것을 알 수가 있다. 개인적으로는 기술의 발달로 인해 HW가격이 낮아지는 것은 당연하지만, 새로운 장치들(디지털 나침판, GPS 등과 같은)이 계속해서 Smartphone으로 흡수됨에 따라 Chetan Sharma의 보고서처럼 크게 감소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는 이통사 입장에서의 Cost를 구분한 내용이다. 각 항목에 대해 설명이 조금 필요할 것 같은데, Customer Aquitision Cost는 마케팅비용이나 휴대폰 판매에 드는 운영비등을 말한다. Support cost는 운영비용, 고객 서비스, 번호 이동 등에 대한 비용을, Subsidy는 단말보조금을 가르킨다.

Smartphone의 Customer Aquitision Cost이 저렇게 높은 이유는 Smartphon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통사 스스로 마케팅의 초점을 맞추다보니 스스로의 선택에 의한 것이고, 이통사 입장에서 가장 큰 부담은 역시 Network Cost로 보여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통사 입장에서 Cost가 늘어나는 만큼 Revenue 역시 Smartphone이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Data ARPU는 물론이고 Voice ARPU 역시 Smartphone이 높은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선인터넷의 사용성이 증가하면서 Smartphone이던 Featurephone이던 Data 정액제없이 사용하는 유저는 줄어드는 추세이다. 08년 기준으로 Data 정액제를 사용하지 않는 Featurephone 사용자는 3.3 Billion에 달하는 반면, Smartphone의 경우는 0.074 Billion 밖에 되지 않는다. 사용자풀이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를 보아도 Smartphone은 약 25% 이하에서 점차 감소하는 반면, Featurephone은 92%에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다면 실제 Traffic의 비교는 어떨까? 이미 '09년 3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 현황'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M/S가 1:9임에도 불구하고 09년 3Q부터 Smartphone의 Traffic이 Featurephone을 앞서가고 있다. 그만큼 무선인터넷의 사용성면에서 Smartphone이 훨씬 높다는 것을 말해준다.

모든 무선 서비스가 Smartphone이 중심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서비스의 성격이나 비즈니스의 역학구조에 따라서 Featurephone으로의 개발이 더 유리할 때가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서비스 사업자 입장에서 Featurephone은 Sexy함을 잃어버린 시장임이 분명하다. 그리고, Featurephone은 더 이상 무선인터넷을 리드하지 못할 것이다.
2009/12/22 08:49 2009/12/22 08:49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mobizen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추락하는 슈퍼 루키, PND

올해(2009년) 초까지도 카네비게이션을 저렴한 가격의 간이형 단말로 대체할 수 있었던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시장은 슈퍼 루키에 가까웠다. 약간은 부족하지만 자동차 길안내 기능을 포함하고, 도보와 자전거 등의 틈새 시장을 잘 공략했으며 가격에서도 경쟁력이 있었다. 작년 크리스마스 때에는 100달러 제품까지 등장하는 등 유럽에서는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년초의 선풍적인 인기 덕분에 PND 시장은 작년대비 성장은 했으나 예상치보다 훨씬 못미치는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Berg Insight의 보고서에서는 내년까지 성장하고 서서히 시장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Berg Insight의 보고서는 그나마 전향적으로 보고 있으며, 이미 PND 시장의 매력이 사라졌다고 생각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범인은 스마트폰

이렇게 PND 시장이 감소하는 주요 이유는 GPS 를 기본으로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증가때문이다. 실제로 PND 시장의 분위기와 대조적으로 모바일 turn-by-turn Device 시장은 여전히 성장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장 조사기관 ABI Resarch는 휴대폰 기반의 유료 네비게이션 가입자가 2010년에는 2,600만명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이러한 시장변화는 아태지역을 리드할 것으로 보고 있다.

Berg Insight는 올해 상반기만 2,800만건의 모바일 네비게이션 어플 다운로드가 이루어 진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는 작년 동기대비 2배 가량 증가한 수치이다. Forrester Research의 보고서는 전세계 모바일 네비게이션 가입자수는 연평균 33.7% 성장하여 2015년에는 1억 6천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미국의 경우 모바일 네비게이션 서비스 이용자수가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3%에 이르고, 일본의 경우 4%를 이미 넘어선 상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플리케이션 유통의 발전도 한 몫

모바일 네비게이션 시장의 성장은 다양한 네비게이션 솔루션들이 앱스토어를 통해서 Cosumer들에게 판매가 쉬워지고 있는 것도 한 몫을 했다. TomTom, Sygic, Telenav, Networks In Motion 등은 이미 애플 앱스토어에서 네비게이션 어플을 서비스하고 있다. 이중 Telenav는 Android용과 Palm의 Web OS용으로도 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오픈마켓을 통해서 모바일 네비게이션 솔루션 판매가 증가하자 기존 단말제조사와 이통사들의 번들링 판매도 동반하여 증가하고 있다. 최근 제휴를 통한 번들링 판매로는 Verizon과 NIM, AT&T와 Telenav, Vodafone과 Telmap, LG와 Appello, HTC와 ALK Technologies, Samsung과 Route 66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시장 파괴자, Google Maps Navigation

이러한 시장의 변화 속에서 Google이 10월 28일, 'Google Maps Navigation'을 발표를 하였다. 기존 솔루션 사업자와 단말제조사, 이통사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던 벨류체인에 커다른 변화를 준 것이다. Google은 네비게이션 솔루션을 자사 플랫폼인 Android용으로 런칭을 했으며, 모든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을 한다.



Google은 Android 2.0 이상에서 작동하도록 개발을 하였고, 그러한 이유로 모토로라의 Droid에서 현재 네비게이션을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Google이 해당 소프트웨어를 Android용으로만 고집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iPhone용으로 개발하는 것을 Apple 측과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네비게이션 단말 업체에 라이센스 판매도 고려하는 등 다양한 BM을 시도 중에 있는 듯 하다.


모바일 네비게이션 BM의 변화

기본 모바일 네비게이션은 철저하게 가입자 기반의 BM을 유지하고 있었다. 높은 월이용료와 데이타 비용은 이러한 모바일 네비게이션 성장의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장애요인으로 지적을 당하고 있었다. 하지만, 기존 모바일 네비게이션 BM과 산업구조는 구글의 등장으로 인해 변화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Google이 금번 네비게이션 SW 발표 직후, TomTom의 주가는 20.84%, Garmin은 16.38%나 하락하였다.

Google의 이번 네비게이션 SW의 목표는 기본적으로 광고플랫폼의 확장이다. POI검색을 비롯하여 가는 도로 안의 View에 다양한 지역광고를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Android 플랫폼에 기본 내장을 시킴으로 해서 Android 의 자체 경쟁력 상승까지 노리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결국, 구글로 인해 네비게이션 사업자들의 광고모델의 도입과 플랫폼 사업자들의 번들 SW 다양화가 촉진될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Google 이전에도 Technocom의 SpotOn GPS 플랫폼, Huawei의 GPS폰, Bouygues의 무료 네비게이션 상품 등이 이미 광고를 통한 무료 모바일 네비게이션 상품을 서비스하고 있었지만 큰 주목을 받지 못했었다.


국내에서는 변화 힘들어

국내에서 지금까지 그나마 성공한 서비스는 SKT의 T Map이다. T Map을 몇번 사용해본 경험자로서 T Map은 SKT에서 가장 잘 만든 서비스라고 생각한다. 일반 Feature Phone에서 사용해보아도 만족스럽지만, 옴니아와 같은 스마트폰에서의 사용성은 카네비게이션을 완벽히 대체한다. 현재 SKT에서 옴니아2 구매자들이나 올인원 요금제를 사용하는 고객들에게는 무료(길안내 서비스만)로 서비스한다고 하니, 당분간 T Map을 대적할만한 서비스는 없을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T Map을 높게 평가하는 것은 서비스의 완성도에도 원인이 있지만 법규제가 철저하게 이통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법이 이통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아니었지만, 결과론적으로 이통사와 사업제휴 없이는 지도서비스를 할 수가 없다.

통신 기기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하려면 모두 '위치정보보호법'의 적용을 받아야하며, 이 법이라는게 명확한 기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담당 사무관의 자의적인 해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위치정보사업자 허가를 받으면 가능하지만, 소규모기업의 입장에서 법률검토를 거치고 까다로운 심사를 통과하는 것이 쉽지가 않다. 실제 노키아 6210S는 '네비게이션폰'이라는 별명이 무색하게끔 네비게이션을 제거하고서야 국내에 진출할 수가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EnGIS가 iPhone용 모바일네비게이션 'Gogo 3D'를 개발하였고, 곧 앱스토어에 런칭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솔루션 사업자들이 국내의 법규제와 이통사들의 견제, 그리고 구글과 같은 무료 서비스들 틈에서 생존하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서비스만 잘 만들면되던 시대는 지나갔다. 모바일 네비게이션에도 BM에 대한 고민과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2009/12/21 08:50 2009/12/21 08:50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에 상륙한 iPhone 열풍

IT맨들과 얼리아답터를 중심으로 살아온 mobizen에게는 최근 iPhone의 열풍이 온 지구를 감싸안고 있는 것과 같은 착각에 빠져있다.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iPhone은 출시하자마자 국내 휴대폰 판매량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출시 열흘만에 10만대 이상이 판매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 해외에서는 빠르면 2년전, 늦어도 1년전에 지나갔던 열풍이 이제서야 한국을 휩쓸고 있는 것을 보면 즐겁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씁쓸한 마음도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외와 국내를 비교해보면서 iPhone 출시 직후의 시장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해외 시장은 Rubicon Consulting에서 지난 08년 3월에 발표된 보고서를 인용했으며, 국내 시장은 09년 12월 14일에 발표된 애틀러스 리서치앤컨설팅 보고서를 참조했다.



국내 스마트폰 성장의 본격적인 시작

'국내 스마트폰 문제는 가격'에서 소개한 것과 같이 전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스마트폰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15.6% 수준이고, 유럽과 북미와 같은 모바일 선진국에서는 약 25%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의 경우 최근들어 약 2% 정도를 유지하고 있을 뿐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부가 몇차례에 걸쳐서 시도했던 '스마트폰 시장 활성화'가 iPhone 도입 이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다. 12월 1주에는 전체 휴대폰 판매량 중 18.9%가 스마트폰이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전체 스마트폰 판매량의 53.9%를 차지하는 iPhone이 이룩한 것이기는 하지만, iPhone 혼자만의 작품은 아니다.

iPhone을 대항하기 위한 다른 단말사들의 대응 모델의 마케팅 효과로 인한 동반 상승이다. 실제, T옴니아2도 12월 첫주에 34,000대나 판매되었다. 이는 전주대비 20,800대가 증가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기는 힘들겠지만, 변화의 시초가 되는 것만은 분명하다.



삼성사용자들의 교체가 가장 많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iPhone 사용자들의 이전 단말 브랜드를 조사해보면 해외의 경우 대부분 기존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iPhone으로 교체한 경우가 많고, Mototola Razr를 쓰던 사용자가 유독 많이 iPhone으로 교체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국내의 경우 기존 스마트폰 시장이 워낙 작았기 때문에 Feature Phone에서의 교체가 대부분이며 43.5%가 삼성단말 사용자들이 이동해 왔다.

이동통신사의 경우에는 SKT에서 KT로의 번호이동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개인적으로 이러한 이동 수치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가입자수를 기반으로 하고 음성통화가 사업의 기본이 되는 이동통신사입장에서야 조금 중요하겠지만, 무선인터넷 측면에서 이동통신사의 이동추이는 장기적(!)으로 크게 중요하지 않아 보인다.



iPhone 사용자들은 30대 미만이 절반이상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외의 경우 iPhone 사용자 중 30대미만이 약 절반 정도를 차지하였다. 국내의 경우도 해외와 비슷한 53% 정도가 30대 미만이다. 국내 젊은 기업들이 전직원 iPhone 지급을 한 덕분인지, 해외에 비해서 30대가 조금 많기는 하지만 전반적인 연령대 비율은 비슷한 상황이다. 이러한 수치는 Feature Phone에서 Mobile Internet을 이용하는 연령대별 비율과 유사한 점이 많다.

사용자들의 연령대별 구성은 컨텐츠의 소비 패턴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된다. iPhone이 가지고 있는 확장성 때문에 기존의 무선인터넷와 동일할 수는 없겠지만, iPhone 컨텐츠들은 몇몇 예외 요소를 제외하고는 기존 무선 인터넷과 동일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서비스들을 버리고 모두 새롭게 출발할 필요는 없다. iPhone은 모바일 사업자들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기회이다.



Second Phone을 놓친 KT 요금제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외 초기 iPhone 사용자들의 경우 약정과 개인 취향 등의 이유로 Second Phone 소유자가 많았다. Rubicon의 자료에 의하면 전체 iPhone 사용자 중 36.4%가 Second Phone을 소유하고 있거나, iPhone을 Second Phone으로 사용하였다. Second Phone은 이미 포화되어있는 모바일 시장을 활성화하고 타겟팅하기 좋은 먹이감이 될 수 있다.

국내에서 이러한 환경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과감하게 포기한 이는 KT 이다. KT가 iPhone을 도입할 때 이러한 내용을 고민을 했겠지만, 욕심을 좀 더 내고 싶었나 보다. iPhone 전용 요금제를 3개를 개발한 후에, 해당 요금제 안에 통화, 문자, 데이터를 묶어버리는 만행(!)을 저질렀다. 사용자 입장에서 음성통화 등에 대한 선택권이 없다 보니 Second Phone을 보유하기가 힘들어져 버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당분간 iPhone의 에코시스템을 만끽해도...

iPhone은 분명히 2년이 지난 휴대폰이고, 모바일쟁이라면 처음 나왔을 때의 충격은 어느 정도 완화되어 있다. 또한, iPhone으로 할 수 있는 대부분의 서비스와 어플리케이션은 Feature Phone에서 이미 지원하고 있거나 쉽게 개발할 수 있는 것도 맞는 말이다. 이러한 이유로 iPhone의 열풍에 대해 조금 과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는 것 같다.

이번 iPhone 국내 출시는 정부나 통신사 주도가 아닌 일부 얼리아답터와 시장 리더들이 만들어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년을 노력해서 얻은 결과이니 조금 과하다고 생각해도 잠깐이라도 즐기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다. 글로벌 에코시스템이 국내로 들어왔고, 기존의 것보다 훨씬 Sexy한 마켓이다 보니 조금은 오버스럽다고 해도 이해해 줄만 하다.

이런 흥분은 그리 오래 가지 않을 것이다. iPhone 효과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이에 따른 결과가 얻어질테고, 이를 통해서 새로운 전략을 짜야 한다. 실상 지금부터가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해결해야 할 일도 많고 새로운 접근과 토론도 이루어져야 한다. '아이폰'이라는 수많은 단말 중의 하나가 국내에 출시된 것인지, '아이폰'을 통해 무선인터넷 시장을 새롭게 출발할 수 있게 된 것인지는 우리들 하기에 달려있다. 조금만 더 즐긴 후에 냉정해지도록 하자.
2009/12/16 08:47 2009/12/16 08:47

삼국지에서 유비가 융중에 은거한 공명를 찾아 물었을 때 공명은 유비에게 솥의 세 다리중 하나가 되라고 합니다. 한자 鼎은 다리가 셋이 청동기 시대 솥에서 따온 것입니다. 조조의 위, 손..

블로고스피어 IT 리포트 137호 - 20091230 2009년 한 해도 저무는군요. 올해 마지막 IT리포트 발행합니다. 새해 IT 시장도 다사다난할 것 같군요. ^^ IT 관련 블로그 동향을동향을 정리하는 블로고스피..

안녕하세요, 당당입니다. ^^ 요즘 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SPC)에서 무리 지어 모여있다 하면 아이폰에 관한 이야기들이 가득한데요. 이렇게 너도나도 아이폰에 열광하며 높은 관심을 끌고 ..

olleh kt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olleh kt 블로그 운영자입니다. 아이폰 출시를 전후로 한 시장과 사용자 변화에 대한 포스팅 잘 읽었습니다. 저희가 도입한 아이폰 요금제에 대한 언급 부분도 많은 부분 공감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더 좋은 서비스로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더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찾도록 노력하도록 하겠습니다. 저희 블로그에도 관심 부탁 드립니다. 꾸벅.

mobizen

네. 반갑습니다. 예전에 비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줄 알고 있습니다. 조금만 더 노력해 주시기 바랍니다. ^^

koel.net

항상 유용한 자로 재미있게 보고 갑니다~^^

실례되는 질문이지만 어떤일을 하시는데 이런 좋은 자료들을 만드시는지요?

저도 모바일 마켓에대해서 공부하는 학생이라 무척 궁금합니다.

임준섭

잘 읽고 갑니다.

저도 second phone으로 구입할까 잠깐 고민했었는데..
접었네요..^^;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푸르자나

좋은 글 잘 읽었어요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