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사업자현재 기업형
시장은 기존 유선에서의 선두 기업들이 앞서고 있다. Gartner에서 이러한 기업형 시장의 주요 사업자의 위치를 아래와 같이
정리를 하였다. 요소는 mobile infrastructure, server side tools, middle-tiers,
connection management, security 등이 중심이 되었다.
Sybase
가 실행능력과 미래 비전면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았고, 현재로서는 Sybase와 비슷한 실행능력을 가지고 있는 MS는 미래
비전에서는 매우 낮은 점수를 받았다. RIM의 위치 역시 MS와 비슷한 점수를 받았으며, 최근 기업형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Apple은 아직까지는 높은 점수를 받지 못하고 있다.
모바일앱은 SW만 고려해선 안돼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PC와는 달리 다양한 환경적인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SW외에도 단말의 특성, 무선 네트워크가 가지는 장단점
모두가 고려 대상이며 시장 진입의 아이템이 된다. 기업형 어플리케이션 시장도 마찬가지로 단순한 SW의 관점외의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되고 발전되어야만 성공할 수 있다.
Networks, Device적인 요소와 Value Chain의 상이함, 플랫폼의 접근 등의 차별성과 기존 Web
2.0의 미디어가 잘 융합될 때 기업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장이 질적인 성장을 이루고, 메인 스트림으로 자리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메일과 그룹웨어보다는 넓은 시장위에서 언급된 주요사업자들의 구성을 보면 Push 메일과 그룹웨어를 중심으로 대동소이한 기능들로 구성되어 있다. 아직은 SW만을 고려하는 초보적인 단계의 기업형 시장의 현재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실제로 기업형 시장은 Web 2.0의 컨셉과 기술요소가 융합되며, 모바일의 특성을 가지면서 다양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
아래는 다수의 보고서를 참고로 하여, 개인적인 생각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Vertical한 Architecture와 Horizontal한 요소들을 정리해본 도표이다. 단순한 SW를 떠나서 Content, Presentation, Device 등 다양한 Layer를 구성해 보았다. mobizen이 생각하는 다양한 요소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소비자 시장과의 차이모바일 기업형 시장은 소비자 시장과 유사한 기술요소와 시장 트렌드를 가지고 있지만, 몇가지 주의해야 할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이해하여야 기업형 시장을 잘 준비할 수 있다. Yankee Group 보고서를 중심으로 하여 주요 포인트를 알아보자.
첫번째, 기업형 시장에는 'Killer Device'가 없다. 현재 모바일 단말 시장은 다분히 Market Impact를 기대하며 움직이고 있으며, 소수의 Earlyadopter를 타겟으로 하여 움직인다. 하지만 기업형 시장은 일반적인 대부분의 단말을 지원해야 하며, 단말사에서도 기업형 시장을 염두해두는 Killer는 없음을 명심해야 한다.
두번째, IT Manager를 중심으로 한 Decision Maker가 기업 시장을 좌우한다. 소비자 시장은 Earlyadopter가 retail 시장을 통하여 제품을 구매하고, Buzz를 만들어 내지만 기업형 시장은 IT Channel을 통해 구매가 이루어 진다. 이들은 매우 보수적이며, 소비자 시장에 비해서 2-3년 정도 뒤떨어진 기술을 선택한다. 그리고, 혁신보다는 안정성을 중요시 여기는 특정이 있다.
세번째, 이동통신사 중심의 영역이 아니다. 이동통신사가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일부 Push Mail이나 법인폰 판매등을 하고는 있지만 기업 시장은 아직까지는 사각지대이다. 이것은 비교적 자유로운 시장 진입이 가능하다는 장점과 동시에 진입포인트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마치는 글모바일 소비자 시장 조차도 실질적인 수입원이나 성공 사례가 부족한 현재, 기업형 시장에의 도전은 다소 무모할 수도 있다. 또한, Sybase, MS, RIM, Oracle과 같은 대형 사업자가 버티고 있는 기존 기업 시장에 영세한 모바일 사업자가 대항하는 것 또한 현실성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본문에서 여러번 강조한 바와 같이 서서히 기업형 시장은 열려가고 있으며, 대형 ERP와 같은 SW외에도 다양한 요소가 있다. 기업형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도 결국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다. 모바일만의 특성을 잘 결합하고 이를 상품화하는 노력을 한다면 아이디어만으로 성공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다고 믿는다. 국내 단말벤더를 포함한 대형기업들 역시 이제는 기업 어플리케이션을 준비해야 할 때이다. 개인적으로는 'Apple Like'한 미디어 플랫폼보다는 국내 기업들이 훨씬 잘 할 수 있는 영역으로 보여진다.
Comments List
흠....아슬아슬한데요...전..ㅎㅎ
사실 4개 정도는 일반적으로 거의 다 나올 것 같은데요~ ㅎㅎ
저도 4개가 나왔네요.. 다행이라고나 할까요 ^^;
흐음... cubix님은 더 나오실 것 같은데요.. ^__^
음..전..증독위험..;;ㅜㅜ
원래 전화기를 주머니에 가지고 다니다가 화장실 간 것은 1번에서 빼세요~ ㅎㅎ
흑 저도 중독위험.. 치료방법은? 휴대폰을 안써야 하나..
8개 이상이면 정말 위험할 것 같은데요.. 조심하세요~
Mobizen님과 모바일관련 안목을 갖춘 분들께 한가지 좀 여쭤볼께여~ ^^*
모바일 SNS나 LBS관련해서, 외국 이통사들이 성공한 경험을 찾아서 한번 연구를 해 볼려고 하는데여.
자료가 잘 안찾아지네여~
혹시, 어디가면 자료가 있다거나... 가지구 계신 자료 있으시면 공유 좀 해주세영~
제가 맛있는 식사 한끼 대접할께여~ 진짜루여~~
전...
두개
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