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블로그 서버가 다운되고, 이래저래 업무가 바빠지면서 7월이 된지 시간이 꽤 흘러버렸다. 조금 있으면 각 이통사들의 2분기 실적발표가 될테고, 분기 실적 발표를 보면 하반기 국내이통사의 개략적인 흐름이 나올 것이다. 그러한 시점에서 월별 실적 발표를 기준으로 몇몇 자료를 재구성해보는 것이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으나, 분기실적보다는 조금 디테일한 흐름을 보는데 있어서 참고가 될 수 있어 소개를 해 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이통사들의 M/S는 큰 변화없이 오랜기간 비슷한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전월(09년 5월)대비 SKT와 LGT는 소폭 상승을 했고, KT는 소폭 하락했지만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힘들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월 이통사들의 마케팅 과열로 인해 시장이 비정상적인 활기를 가지면서 방통위측에서 제재에 나섰고, 덕분에 09년 6월에는 다소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분기 실적 발표가 이루어지면 이통사들이 이번분기 마케팅비용이 어느 정도 윤곽을 보일테니, 그 때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자.

09년 6월에는 SKT가 149,047명, KT 58,939명, LGT 56,888명의 순증가입자를 보였다. 타 이통사에 비해서 KT의 순증가입자의 기복이 심하다는 것에는 한번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합병으로 인해 5월에 시장에 신경을 많이 못 썼고, 5월에 보였던 수치가 자연스러운 시장의 흐름인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온갖 SHOW를 다 하면서 3G망에서 가입자 1위를 자랑하는 KT는 08년 12월 이미 3G 누적 가입자 수에서 SKT에게 밀렸다. 그 이후로 KT는 3G에서 1위라는 마케팅을 하지 않았으며, SKT 역시 3G 가입자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있다. 양사의 3G 누적가입자수의 격차가 계속 벌어지면서 3G 마케팅은 빛을 잃어가고 있다. 그만큼 3G 시대에 걸맞는 킬러 컨텐츠와 데이터 서비스 활성화가 이루어 지지 않는 것을 말해주는 듯하여 씁쓸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체 ARPU도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09년 2월에 최저를 보이던 전체 ARPU는 점차적으로 상승해서 08년 12월과 유사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SKT의 경우에는 오히려 작년말에 비해서 높은 ARPU를 보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선 ARPU 역시 비슷한 양상이다. SKT 9,470원, KT 7,941원, LGT 5,261원을 기록하고 있다. 국내 이통3사 모두 전월대비 상승하였다. 이렇게 무선 ARPU가 성장해 주었던 것은 MMS의 성장 탓이 큰데, 앞으로는 좀 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시장이 활성화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조금 거시적인 시장 흐름을 보자면 이통사들의 전략없는 마케팅 지출로 인해 시장 왜곡이 심화되고 있다. 이통사들이 중장기적으로 바라보는 대형 프로젝트들이 현재 모두 진행 중이며, 이통사들의 모든 전략이 이러한 프로젝트에 집중되면서 다른 전략등은 멈춰있는 상태이다. 해당 프로젝트들이 출시되고, 실제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기는 4분기가 될 듯 하다. 그때까지는 지금과 같은 '마케팅비용 지출 - 시장 과열 현상 - 방통위 단속으로 인한 진정국면'의 싸이클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009/07/20 08:35 2009/07/20 08:35
Posted
Filed under 원고 및 발표자료
사용자 삽입 이미지
KT 경제경영연구소, Digieco는 '전문가대담'이라는 코너를 통하여 블로거들을 대상으로 하는 동영상 인터뷰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5월경에 담당자에게 연락이 와서 앱스토어에 대한 이야기를 요청하였고, 당시 앱스토어에 대한 관심이 무척 높았던 시기인지라 수락을 하고 말았다.

앱스토어에 대해 할말은 많았지만, 제한된 시간과 혼자서 이야기 하고 시선을 고정해야 하는 동영상 인터뷰에 적응을 하지 못해 조금은 아쉬운 인터뷰를 하였다. 시간이 꽤 흘러, 앱스토어에 대한 몇가지 다른 양상들이 보이는 가운데 어제(7월 17일부터) 해당 사이트에 동영상 인터뷰가 개시되고 있다.

혹시나 mobizen의 얼굴이 무척 궁금하고, 버벅거리는 모습이 보고싶은 분은 Digieco에 방문하면 된다. 참고로, 동영상 인터뷰를 보기 위해서는 로그인이 필요하다. 인터뷰의 주요 요약은 아래와 같다.


1. 최근 이통사들이 앱스토어를 런칭하는 배경

- 이통사들이 무선인터넷 활성화에 노력
- 문제점 : 폐쇄적 운영, 다양한 단말과 플랫폼, 지역 기반의 사업
- 환경의 변화 : 벨류 체인 -> 에코시스템
- 단말과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사업자가 새로운 기회 요인이 생김
- 애플의 성공과 비슷한 사업자들이 뛰어듬
- 기존 시장의 방어를 위해 이통사들도 런칭을 시도 중


2. 사업자별 앱스토어 특징

2.1. 단말과 플랫폼 개발사
- 가장 유리(Apple, Nokia, RIM, Plam)
- 단일화된 스마트폰 플랫폼과 최적화된 단말
- Global Market을 대상
- 오랜 사업 활동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기보유

2.2. 플랫폼 개발사
- OEM 사업(MS, Google)
-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은 단말 영역
- 앱스토어을 통한 플랫폼 확산이 목적
- 단말의 스펙과 라인업을 미리 파악하기 힘들어

2.3. 단말사
- 삼성과 LG 전자가 준비중
- 삼성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LG 모바일 개발자 네트워크
-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해야하고 최적화하기 힘듬
- 어플리케이션은 많으나 End User 대상 사업에 대한 경험이 부족

2.4. 이통사
- T 모바일, China 모바일, O2 UK 등이 준비하거나 오픈
- 다양한 플랫폼과 다양한 단말을 모두 지원해야 함
- 스마트폰과 일반폰을 모두 지원해야 함(장점이자 단점)


3. 현재 런칭되는 국내 모바일 앱스토어의 문제점

3.1. Walled Garden Portal과의 차별성은 없어
- 컨텐츠몰과는 분명히 차이가 있으나 혼동의 우려
- 개발사 입장에서는 기존과 차이가 없음

3.2. 미흡한 준비
- 애초에 수비적인 입장에서 시작
- SKT, KT가 발표를 했으나 실체는 없어
- 가격, 개발자 지원, 사업 정책 등이 없음

3.3. 합리적인 무선 인터넷 가격
- 어플리케이션 보다 중요한 것은 사용자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
- 현재 무선 인터넷 가격으로는 힘들어 보여


4. 국내 모바일 앱스토어의 성공 요건

4.1.하이브리드 포털
- 02 UK의 Litmus가 가장 좋은 롤모델
- Walled Garden은 그대로 유지하고 앱스토어는 또다른 유통 채널
- 개방형 앱스토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직접 검증
- 검증된 어플은 Wallden으로 유입시켜 마케팅 효과 극대화

4.2. 경쟁 우위의 API 제공
- 과금의 편리성, Feature Phone 고객 대상의 Business 가능
- User Profile의 접근, LBS를 통한 위치 정보의 활용 등
- Open API를 통해 어플리케이션들이 다양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함

4.3. 무료 어플의 BM 발굴
- 앱스토어는 애초에 BM의 고민이 불필요
- 하지만 무료어플은 조금 달라
- 광고모델기반의 무료 어플을 지원
- 광고 에이전시로의 역할로 포지셔닝이 필요
2009/07/17 19:29 2009/07/17 19:29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요즘 모바일 시장에서는 앱스토어란 키워드가 자주 등장한다. 앱스토어란 모바일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이 거래되는 장터이다. 이미 ..

우리 게임 하나 할까?? 친구들과 오랫만에 모인 술자리가 조금 지루해지는 듯 하자, 평소 술 잘 먹기로 소문난 K가 난데 없이 게임을 제안합니다. 뭔데? 또 술 먹기? 그런 거 안해. 설왕 설래 말..

학주니

모비즌님의 실제 모습(얼굴 ^^)은 저렇군요.. ^^;

mobizen

학주니님은 제 얼굴 전부터 아시잖아요.. ㅎㅎ

학주니

그게 말이죠..
자주 안보면 까먹게 되어서요.. ㅎㅎ
언제 한번 다시 뵈어야 할텐데 말이죠 ^^;

도이모이

저도 인터뷰 했는데 어떻게 나올지 걱정이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