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매년 분기가 끝나는 시점이 되면 업체들이 분기 실적을 내놓고 애널리스트들이나 관련 업체들은 바빠지게 된다. 이에 대한 분석을 해서 남은 분기를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변하는 모바일 시장에서는 이러한 분기 실적 발표가 중요한 것은 굳이 강조하지 않아도 알 수 있을 것이다. 7월 31일날 발표한 Motorola를 끝으로 상위 5개 업체들의 분기 실적 발표가 모두 끝이 났다. 욕심같아서야 국내 벤더들의 성적표를 중심으로 분석을 해보고 싶지만 Pantech 계열이 상장이 폐지가 되면서 실적 발표를 하지 않는다. 삼성과 LGE 자료만 가지고 분석할 만한게 없어서 상위 5위 업체들의 자료를 한번 살펴보았다.

이러한 업체들의 성적표를 단순 비교하는 것은 사실 의미가 없다. 각 업체마다 부문별 구성이 상이하고, 실적 발표하는 화폐 단위도 다르기 때문에 단순한 매출액 기준의 비교는 아무런 의미를 부여하지 못한다. 삼성이나 LGE와 같이 MC 본부가 따로 분리되는 경우는 모바일 부문에 대한 매출만을 빼오기가 쉽지만 모든 업체가 그렇게 구분이 되어 있지 않다. 아래는 그래도 각 업체마다 단말 매출과 밀접한 부문의 매출만을 고려해서 정리를 해본 것이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매출액이라는 절대 지표는 비교 자료로서의 의미는 없다. 하지만 QoQ나 YoY와 같은 자료를 봄으로서 성장 정도를 짐작하는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업체들의 성장이 눈에 띈다. 특히 LG 전자의 성장 속도는 무서울 정도이다. 실제 LG는 포춘지가 성장한 글로벌 500대 기업 중 순이익 증가율을 기준으로 5위를 차지하였다. Nokia의 경우에는 전사적인 매출의 경우 QoQ 기준으로 하여 4% 증가하였으나, Device 관련 부문의 경우에는 QoQ 기준 -2% 성장을 기록하였다.

그렇다면 각 단말사별 분기 판매양은 어떠할까? 아래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이. Nokia의 판매양이 거의 절대적이다. 이는 Motorola와 Sony Ericsson의 추락과, 삼성과 LGE의 프리미엄 정책으로 인한 틈새를 Nokia가 마음껏 활개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준 것인데, 덕분에 Nokia의 1위는 쉽사리 무너질 것 같지 않다. 실제 Sony Ericsson사의 2분기 전체 시장 점유율은 8%이니, 상위 5위 업체 판매량만을 비교한다고 해도 크게 시장을 이해하는데 문제 없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다면 Nokia의 독무대라고 불리우는 신흥시장이 도대체 어디일까? 단순 비교를 위해 LGE와 Nokia의 지역별 판매 비중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Nokia가 유럽에 위치하고 있다보니 유럽 시장에 대한 비중이 높은 것은 당연하지만 중동과 아프리카, 아시아 시장의 일부를 Nokia에게 많이 빼앗기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대신 국내 업체의 북미에서의 선전은 괄목할 만하다. 이는 삼성도 마찬가지 현상이며, 북미 시장의 대부분을 국내 업체가 차지하고 있는 것은 역시나 프리미엄 정책 탓이다.

그렇다면 프리미엄 정책으로 인하여 ASP(Average Selling Price)가 올라갔을까? 올라가긴 했지만 아직은 아쉬움이 많다. 삼성의 경우 QoQ 기준으로 하여 1.4%가 상승하긴 했지만 상대적으로 규모의 경쟁 보다는 알찬 경쟁을 하겠다는 컨셉을 채우기에는 약간 부족하다. 아래는 3개 업체의 2008년 2분기 ASP를 비교해 본 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신흥 시장의 Low-Cost 폰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Nokia에 비해서는 높지만 진정한 프리미엄 전략이 뭔지를 보여주고 있는 Sony  Eriscsson에 비해서는 턱없이 낮은 ASP를 보여주고 있다. 삼성이나 LGE가 프리미엄 전략을 외치고는 있지만 아직은 어정쩡한 Positioning 이라는 증거이기도 하다. 하긴 아무리 프리미엄이라곤 하지만 All-In을 하기도 뭐한 어정쩡한 현실 앞에서는 별 다른 도리가 없다. 게다가 휴대폰을 컨텐츠를 소비하는 도구로 전략을 바꾼 Nokia의 가격 인하 정책 또한 핸드폰 말고는 딱히 팔 것 없는 국내 업체들의 입지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사실 삼성과 LGE의 이번 분기 실적이 좋은 편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좋은 평을 받지 못하고 있다. 아무래도 자력에 의한 상승이라기 보다는 Sony Ericsson과 모토로라의 부진탓이라는 느낌이 강해서이다. 실제로 Sony Ericsson은 5년만에 처음으로 200만 유로에 달하는 영업적자를 기록 했다. 모토로라는 이번 분기 성적은 분명히 좋은 편이기는 하나 회사 전체적인 분위기가 아직도 정비가 되지 못한 느낌이다.국내 업체의 상승이 이러한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단기적인 상승이라는 평가때문인지 3분기의 전망 또한 좋지 못하다.

부동의 1위이며 모든 분야에서 50%를 넘는(상위 5위 업체 기준) 점유율을 보여주는 Nokia의 성적표는 어떨까? 단기적인 것만을 고려한 Nokia의 이번 분기 상황은 썩 좋은 상태가 아니다. 전체 매출은 증가했지만 'Device & Service 부문'의 매출은 감소하였고 순이익의 감소율은 61%에 이른다. 하지만 대부분은 Nokia의 미래가 어둡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것은 Nokia가 꾸준히 회사의 미래 전략을 위해서 투자를 했고, 그러한 투자로 인한 구조조정 비용이 대거 발생했기 때문에 이번 분기의 순이익이 좋지 못했고, 그러한 투자가 미래가치가 있다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모바일은 점차로 개방형 산업 구조로 가기 위해 몸부림 치고 있다. 그것이 '모바일 웹 2.0' 으로 불리우건 다른 이름으로 불리우건 Walled Garden을 부수기 위한 커다란 흐름이 있음은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소용돌이 속에서 단말사들의 미래 전략은 무엇이며, 가지고 있는 경쟁력은 무엇인가? 브라우저 시리즈에서도 몇번 강조한 적이 있지만 스마트폰과 개방형 플랫폼에 대한 투자가 가장 중요할 것이다. 아래는 2008년 6월에 Credit Suisse에서 비교한 각 단말사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경쟁력을 점수화해 본 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른 벤더들과 비교를 할 때 Nokia의 점수가 월등히 높다. 애널리스트에 따라서 약간은 다른 점수 차이가 발생을 할 수 있겠지만 Nokia가 그러한 개방형 시대의 선두주자라는 것은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그래도 삼성은 플랫폼에 대한 투자를 꾸준히 해 온 덕분인지 2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이번 분기에서 가장 좋은 성장율을 보여주고 있는 LGE의 점수는 처참할 정도이다.

Nokia는 저만치 멀리 달아나고 있고, 뒤에서는 핸드폰 몇개 만들어보지도 못한 Apple, RI, HTC 등이 올라오고 있다. 이러한 때에 우리의 단말사들은 무엇을 놓치고 있는가? Walled Garden내에서 2위, 4위라는 이번 분기 성적표에 만족하고 안주할 것인가?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대해 어떠한 준비를 하고 있는가? 그래도, 우리나라 이동통신사 성적표를 볼 때보다는 뭔가 기대해볼만 하다. 조금만 더 분발하여 노력해주고 그들의 노력이 국내 모바일 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간절히 바랄 뿐이다.
2008/08/04 15:18 2008/08/04 15:18
Posted
Filed under 블로그 일반
아래는 'Mobile UX'자료를 검색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네이버의 한 카페에 있는 게시글이다. 인프라웨어의 구인광고에서 해당 회사를 외국계 회사로 소개하고 있다. 인프라웨어라는 회사가 주는 이미지가 외국계라는 느낌이 강해서 작성자가 실수를 한 듯 하다. 궁금해서 카페를 조금 둘러봤더니 취업 준비생들 몇명이서 운영하는 카페인데, 구인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면서 '외국계'는 따로 표시를 하고, 한국시장 진출에 실패한 외국계 기업, 괜찮은 외국계기업들 등의 다양한 외국계 기업에 대한 정보가 있었다. 취업을 준비하는 입장이나 이직을 생각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다양한 정보를 얻어내고, 좀더 안정적인 자리를 찾는 것은 당연하지만, '외국계'라고 하면 일단 선호하는 풍토를 보는 것 같아 개인적으로(!) 괜시리 씁쓸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전에 웹 사이트 미들웨어 도입을 회사에서 고민한 적이 있고, 그에 대한 1차 결정권이 나에게 있었던 적이 있었다. 턱시도보다는 Tmax 제품이 나을 것 같아서 추천한 적이 있는데 같이 일하는 팀원 녀석이 나한테 이런말을 했다.

"그런 Middle 엔진을 국내 개발업체가 개발할 수 있나요? 저희 교수님도 국내 업체에는 그런걸 개발할만한 수준이 아니라고 하셨는데요. 설마 진짜 국산은 아니겠지요."

그렇게 이야기한 놈이나, 그 교수나... 본인 수준이 그 모양이니 모든 업체 수준이 다 그 모양인줄 안다. 국내에도 꽤나 고수들이 많고, 열심히 일하고 묵묵히 한 우물만 파는 분들이 꽤 있다. 게다가 요즘에는 다양한 정보 공유의 장이 발달함에 따라 그러한 분들이 더 많아지고 있다. 국내에도 브라우저에 대해 한 우물을 판 인프라웨어와 같은 회사가 있는 것은 자랑할만하다. 비롯 그 회사가 하는 일부의 면이 문제가 있을 수는 있으나 그것들은 위에 있는 일부 경영진의 문제이지 그 안에서 묵묵히 욕 먹어가며 열심히 일하는 개발자들에게는 마음껏 박수를 치고 싶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mobizen 역시 외국계 기업에서 근무를 하고 있다. 이 조직안에서 구성원들이나 입사를 원하는 지원자들과 면접을 하다보면 어김없이 '외국계'기업이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흔히들 외국계라고 하면 Pay도 좋고, 좀 더 그럴듯 하고, 안정적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고, 실제로 분명히 그런 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어디나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을 뿐이다. 지사의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채 일방향으로 내려오는 본사의 지시사항이나, 조직원들의 부족한 소속감과 충성도, 게다가 의사 결정은 느릴 수 밖에 없다. 모바일 시장 자체가 힘들다고 해서, 외국계라고 하면 무조건 선호하는 풍토는 한번씩 생각을 해보아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의 비전과 조직의 비전이 일치하느냐이고, 어떠한 업무를 하는 것이지 않을까? '외국계'를 선호하는 이들을 비난할 생각은 없다. 나 또한 현재 그 그룹 안에 있으므로... 또 요즘과 같은 불안정한 세상에서는 어쩌면 당연한 선택이므로..

저 글을 게시한 사람의 단순한 실수일 수는 있으나 행여 외국계인줄 알고 이력서 넣어보는 모바일개발자는 없기를 바랄 뿐이다. 인프라웨어는 순수 국내 브라우저 개발 업체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08/03 01:08 2008/08/03 01:08
어나니머스

" 한국시장 진출에 실패한 외국계 기업, 한국시장 진출에 실패한 외국계 기업 "
둘중 하나는 '성공'으로 바꾸셔야 겠어요..흐흐 (...2포인트가 누적되었습니다) ㅋㅋ

mobizen

쿨럭.. 본문 수정했습니다. 30포인트 되면 탕수육과 교환인가요? 50포인트되면 양장피이고.. ^^

뽐뿌맨

역시 모비젠님이 정확히 지적하셨네요!
저도 주위에 만나는 학생들에게 너무 화려한 것만 찾지말라고 조언합니다. 신입일 때에는 기본적인 원칙과 경력 사항들만 있으면 어느 곳이든 들어갈 수 있다 라고 말합니다. 국내에서는 인턴제도가 정착이 안되어 있고인턴에 대한 올바른 업무와 평가가 없어서 그럴 껍니다. 그냥 보조 생활만 하다가 마쳐서 실제 업무를 익히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미국은 하버드나 MIT나 알잘 없이 어디든지 인턴 생활을 해야 합니다. 좋은 대학 나왔다고 By-Pass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하버드나 MIT 나온 애들 보다 더 똑똑한 친구들이 많거든요 ^^
또한 위의 그래프에 있는 회사들은 신입사원들이 들어가서 적응하기가 그리 쉽지 않은 회사들입니다. 주위에 공채로 들어온 후배들도 1년정도 지나야 회사의 비전과 조직에 대해 파악을 하고 대처하는 모습을 봅니다. 그리고 인터뷰 볼 때에도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경우에 Role 마다 독특한 방식으로 오래오래 봅니다. ^^

mobizen

외국회사들 인터뷰... 정말 오래오래 보죠~ 그런데 희안하게 우리나라 대기업들도 서서히 그 모습을 닮아가고 있습니다. 다른건 그대로인데 그 모습만 닮아가는게 아닌가 괜한 걱정이 들 정도라니깐요..

빨빤

그래도 외국계에서 근무하고픈 1인 -_-;;

mobizen

아니.. 빨빤님이 가고 싶다는데 싫다는 기업도 있나요?

빨빤

농담도 잘 하셔라;;;;

ALEX

외국회사에서 언 9년 근무했는데.. 흑백이 명확하지만.. 중요한 것 중 하나는.. 한번 정도는 담가볼만 합니다. 우리문화보단 효율적인게 많고.. VERTICAL 하지도 않고. 의사결정도 빠르고.. 근무조건도 아시다 시피 좋습니다. 다만 모바일시장에서 한국시장에서 성공하기가 너무 힘들다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는게 조금 슬프지만요~~ 암튼.. 좋은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