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핸드폰이 고급화되고 보편화되면서 악세사리 시장이 함께 성장할 듯 하지만 아직까지는 투명 케이스와 핸드폰 줄 외에는 이렇다할 히트 상품이 없어 보인다.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지만 가격 때문인지 Needs가 부족해서인지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사라져갔다.

작년에 모바일 시장을 뜨겁게 달구었던 아이폰도 크게 다르지는 않다. 아이폰이 히트하면서 다양한 악세사리 제품들이 나왔지만 아이폰 하나만을 타겟으로 해서 성공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물론 금번 MacWorld에서 보여주었던 맥북에어의 봉투케이스도 사겠다고 하는 맥 매니아들에게는 조금 서운한 이야기지만 아이폰의 시장 크기는 한계가 있으니 어쩔 수 없으리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에 또 하나의 아이폰 전용 악세사리가 나왔다. 200만 화소의 카메라를 보유하고 있는 아이폰에 부착할 수 있는 6 X 17 광학렌즈이다. 구입은 http://www.dealextreme.com/details.dx/sku.10813~r.99999999 에서 할 수 있으며 가격은 $14.77 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카메라폰에 광학 렌즈를 붙혀서 사용한다는 시도는 예전부터 존재해 왔었다. Motorola RAZR V3 와 Motorola KRZR K1에 장착가능한 렌즈도 있었으며(관련 포스팅 참조), 비슷한 내용을 소개한 칫솔님의 포스팅도 있다. 이러한 렌즈는 그나마 어느 정도 발전을 한 편이며, 카메라폰이 처음 등장했을 때에는 접사 등을 위해 Radio Shack에서 판매했던 3-Lens Magnifier를 사용하기도 했었다. 3-Lens Magnifier는 지금도 판매가 되고 있으며  5배, 10배, 15배 확대렌즈를 제공한다.

이런 상품의 단점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처음 볼 때의 반응은 "우와~" 이지만 그게 구매로 이어지지는 않는 다는 점이다. 아이디어는 좋으니 어느 한 제품에 극한되는 제품이 아닌 좀더 범용적인 제품이라면 상업적인 성공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언제한번 시간내어 아이폰 악세사리만 정리하는 것도 재미있을 듯..

2008/01/22 10:51 2008/01/22 10:51

대부분의 휴대폰에 카메라가 달려 있지만 일반 카메라처럼 쓰기는 좀 어렵죠. 화이트밸런스나 노출을 조절할 수 있다 해도 렌즈 탓에 광각이나 망원 촬영은 어려운 게 사실입니다. 휴대폰 카..

칫솔

외국 블로그에서 이와 관련한 글을 읽었을 때 저도 제가 쓴 글이 생각나더라고요. ^^;
제게 있던 것은 비네팅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건 어떨지 모르겠네요~ 잘 읽고 갑니다~

mobizen

저도 사실 이 렌즈 장착한 사진의 품질을 찾아보았지만 찾지는 못했답니다. 궁금하기는 하네요~ 리플 감사드립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예전 "2007년 12월 현재, KTF 지분율 현황" 포스팅에서 KT와 KTF 의 합병에서 NTT 도코모의 지분의 문제점을 언급한적이 있다. 그런데 이미 NTT와 KT 사이에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협의가 있었나 보다. 오늘(2008년 1월 21일) 디지털 타임스에 아래와 같은 기사가 실렸다.

KTF의 2대주주인 일본 NTT도코모가 KT-KTF간 합병이 추진될 경우, 이에 협력한다는 내용의 주주간 계약을 KT와 맺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KT-KTF간 합병 추진의 걸림돌가운데 하나로 KTF 2대 주주인 도코모의 반대를 꼽아왔으나, 이런 불안 요인은 없었던 셈이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도코모는 지난 2005년 12월 KTF와 지분 10%(5649억원) 투자계약을 맺으면서 KTF의 1대 주주인 KT와는 복수의 옵션이 담긴 주주간 계약을 별도로 체결했으며, 이 가운데는 KT-KTF간 합병이 추진될 경우 도코모가 이에 반대하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고 협력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기사 전문 보기)

실상은 KT와 KTF의 합병은 시너지와 유무선의 효율적인 전략짜기라는 측면을 떠나서 중복투자를 막는다는 대명제에서라도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웹사이트 통합이다. 어제(2007년 1월 21일)부터 magicn 사이트show 사이트로 통합되었다. show 사이트와 Paran 사이트 통합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두 사이트가 이루어진다고 해도 PV가 높아지거나 사용자 충성도가 높아지지 않을 것이지만 적어도 중복투자는 막을 수 있을 것이다.
2008/01/21 16:00 2008/01/21 16:00
Nights

SKT 가 하나로와 합병될 경우, KT-KTF / LGT-파워콤 (데이콤까지?) 의 합병도 이뤄지겠죠. 결국 3각 구도는 유지되겠네요. 주체도 SK,KT,LG 로 유지가 되고요..

mobizen

넵.. 무선의 상황이던 유무선 통합의 상황이던 당분간 크게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Nights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다만, 중장기적으로 이러한 컨버전스 비즈니스를 어떠한 전략을 가지고 갈지가 중요하겠죠.
일단 SK는 TU라는 골치덩어리를, KT의 경우는 금인지 독인지 구분안가는 와이브로를 어떻게 정리하고, 키워가느냐가 눈앞의 숙제일 듯 하구요.. 플랫폼 인프라는 양쪽다 충분할 듯 한데 어떠한 기업을 M&A해서 시너지를 키워나가느냐는 예측하기 힘들 듯 합니다.
지켜보는 저희로서는 재미난 한판 승부가 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