년말이 다가오니 각종 조사기관에서 2009년도 시장 전망 자료를 내놓고 있다. 요근래 바쁜 업무로 인해 관심을 가질 시간이 없었는데, 주말부터 자료를 구해서 읽어보는 중이다. 맞지도 않는 예상자료가 무슨 의미가 있냐고 할수 있지만 시장의 현상황을 기준으로 하는 '전망'이라는 데이터는 디테일한 숫자를 떠나서 매우 중요하다. 자연스러운 흐름을 떠나서 이러한 전망의 보고서들이 인위적으로 흐름을 바꾸기도 하고, 주식 시장을 움직이기도 하며, 투자지표 및 정책 결정이 정해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읽고 있는 몇몇 보고서 중에 공감할 수 있는 중요한 몇가지 자료를 소개해 보고자 한다. 2009년의 시장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은 누구나 공감을 하는 것 같다. 모든 조사 기관들이 마이너스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전세계 시장도 그러할진데, 국내 상황이라고 크게 다를 수는 없다. 내수 시장의 핸드폰 수요는 소폭 감소할 것이며, 자연스레 가입자 증가율도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이통사들의 마케팅으로 인해 3G 가입자의 비율과 이동통신 보급율등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 시장 매출은 다행히도 4.77%정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의 매출은 내년에도 '음성 서비스'위주의 시장에서 나올 것이며 데이터 서비스의 정체는 더욱 심화될 것이다. 외산 핸드폰의 등장이나, 위피 폐지로 인한 다양한 스마트폰의 등장이 시장에 긍정적인 상황을 이끌어내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듯 하다.
많은 이들이 스마트폰이 이러한 상황에 '구원투수'가 되주기를 바라고 있지만, 상황이 생각처럼 될 것 같지는 않다. 스마트폰을 비록한 하이엔드급 단말들은 일부 얼리아답터들에게 좋은 반응을 받겠지만, 시장 전체에 주는 영향은 극히 미비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장 큰 원인으로는
경기 침체와 더불어
단말기 교체 주기의 증가이다. 교체 주기 증가는 세계적인 추세로 의무약정제를 도입한 후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현상이다. 국내에서도 의무약정제 가입자 규모는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2009년 말까지 전체 가입자 수의 5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소비 행태로 인해 번호 이동 또는 신규가입자 수는 급감할 것이며 내수 판매에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다. 여기에 경기침체까지 더해졌으니, 약정제에 자유로운 사용자들도 일부 수요를 제외하고는 하이엔드급보다는 '버스폰'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다.
2009년에는 본격적인
유무선 컨버전스 시대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오랜 시간을 끌었던 KT와 KTF의 합병이 이루어질 것이며, 통신 결합 상품과 더불어 IPTV와 같은 컨텐츠와의 결합도 다양하게 시도될 것이다. 2009년 4월부터 폐지되는 WIPI 탑재 의무화는 시장에 영향을 주기에는 '스마트폰 활성화'와 맞물리면서 시간이 다소 소요될 것이다. 일부 이통사와 벤더들이 신규 플랫폼 도입을 이제야 시도하고 있으니, 아무리 빨라야 1년은 걸릴 듯하다.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이슈가 바로 황금주파수라고 불리우는
800, 900Mhz 주파수 확보 전쟁이다. SKT가 독점하고 있는 이 영역을 방통위가 후발 사업자들인 KTF, LGT에게 기회를 줄지, 신규사업자에게 줄지에 따라서 이동통신사의 판도가 크게 바뀔 수 있을 것이다.
다가올 해는 분명히 어두운 상황은 분명하지만, 그 안에서 여러가지 이슈들이 맞물려가며 굵은 획을 그을 것이다. 그나마 규모가 있는 업체는 잘 준비하면 좀 더 좋은 환경과 새로운 환경 요인들이 생겨나겠지만 소규모 영세 컨텐츠 제작 업체에게는 더욱 힘들어 질 것이다. 이럴 때일 수록 다양한 제품과 버전업등을 통해
소비자와의 접점의 수를 늘려가는게 중요하다. 접점의 크기에 신경을 써본들 가시적인 효과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것은 '
살아남는 것(Survival)'이다.
모바일에선 살아남는 것이 킬러 어플이고, 살아남는 업체가 업계를 리드할 것이다. 기다리고 있는 굵직한 이슈들이 정리되면 조금은 다른 환경이 만들어질 것이다. 그때까지만 버텨보자. 거시적인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스마트폰의 활성화'일텐데, 그 부분은 다른 포스팅에서 좀더 심도깊게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다.
Comments List
안녕하세요 모바일쪽으로 처음 눈을 돌리게된 사회 초년생입니다.
앞에서 본 많은 포스팅들을 봤습니다. 제가 궁금해 하는게 많은데 혹시 질문좀 드려도 될까요?
예전에 WIPI 이전에 플랫폼들 GVM이나 GNEX그리고 MAP BREW등은 지금은 전망이 없나요?
BREW같은 경우는 포스팅한 것 중에 노말폰으로 스마트폰과 비슷한(?) 정도의 기능을 구현한다는
것을 본것 같네요 ㅎㅎ 그러면 나머지들은 시장에서 도태된건가요?
모바일에서의 경쟁력은 시장의 크기가 문제인데요.
적어도 국내 현재 상황에서는 GVM, GNEX, BREW 등은 사용하는 곳이 극히 작으므로 경쟁력이 없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WIPI 의무화 탑재 후의 이통사 차별화 전략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수도 있겠지만 지금 분위기로는 가능성이 무척 작습니다.
BREW는 국내 플랫폼이 아닌 만큼 해외 시장에서는 조금 다른 이야기가 될 수 있겠구요.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BREW 역시 오래 갈 것 같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으흠 경쟁력이나 그런건 없군요 ㅎㅎ
이런 것 들을 확인하고 요즘은 Smart Phone용 OS인지 플랫폼인지를 해깔리는 것들에 대해서
조사중이에요 ㅎㅎ 종류로 IPhone용 MAC OS X, 안드로이드, 심비안, 윈도우즈모바일 말고는 또 무었이 있나요?
노멀폰에 사용 되는 RTOS의 종류도 알고 싶어서
조사중인데... 역시 너무 많고 정보가 제한적인지
얻기가 쉽지 않네요^^ 혹시 아시면 이름만이라도
알려주시면 보고 찾는데 많은 도움이 될꺼 같아요 ㅠㅠ
국내 RTOS는 100% REX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아 감사합니다!!~
국내는 REX군요;; 그럼 역시 안되는 영어지만 역시 해외정보를 검색해야 ㅎㅎ 종류를 알수있겠군요
차차 하나씩 배워가는 재미가 솔솔하네요 ^^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또 들르게 되었네요^^... 요즘은 Smart Phone OS종류에 대해서 정보를 찾고있는데
역시 자주와서 보게 되네요^^
주된 안드로이드, I PHONE용 OS X, Limo,심비안, 윈도우 모바일, Palm WebOS 말고도
참고하거나 알아볼만한 OS들이 더있을까요~?~? ㅎㅎ 너주 자주찾아와서 질문만 하는거 같네요^^
LiMo의 경우 실체보다는 표준화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는 곳이라서요. 그 안에 있는 ALP를 들여다 보는 것이 좋구요. RIM이 빠져 있네요. 블랙베리의 파워를 무시 못하니깐 말이죠. ^^
아 감사합니다^^ 역시 와서 많이 배우고 가네요^^
BlackBerry 가 os고 RIM이 회사이름이죠? ㅎㅎ 이게 많아지니까 점점해깔리네요 ㅎㅎ
mobizen님 제가 이번에 조사한것 들을 발표자료로 만들어서 사내에 있는 신입사원분들과
작은 세미나를 하려고 합니다. 자료중에 많은 부분이 mobizen님의 블로그에서 퍼온것에
제의 견의 조금 담고 수정하여서 사용하려고 하는데 아무말 없이 사용하기보다는
이렇게라도 말씀을 드려보고 가능하면 사용하려고합니다. ^^
괜찮겠습니까? ^^;
괜찮은게 아니고 저에게는 기쁨입니다. ^^ 아무 말 없이 하셔도 괜찮은데 이렇게 말씀해주시니 더 고맙네요. 세미나 잘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허락받아야 홀가분하게 쓰죠 ^^
그냥 가져다가 쓰면 왠지 모를 찝찝함이 엄습을 해서^^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안녕하세요 준비하다가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을 하게 되었어요^^
그... BlackBerry에 대한 질문인데 어떤기사에서는 OS의 한계가 와서 OS를 Symbian으로
교체한다는 기사를 보게 되었는데 BlackBerry는 전망이 없나요?
거대한 기업의 미래를 평가할 만큼의 능력이 없어서 조금은 조심스러운 질문이네요. 어느 기사인지 모르겠지만 RIM이 그렇게 무모한 선택을 하게 보이지는 않는데요.
물론, 블랙베리의 M/가 예전보다 많이 떨어졌고 iPhone에 밀리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MS와 인수에 대한 루모도 돌고 있긴 하지만 그런 판단을 하기엔 너무 이른 것 같네요.
질문과는 별개로 블랙베리는 북미권의 트렌드에 맞는 제품인 것 같습니다. 아시아권에는 조금 핀트가 안 맞다고 할까요...
아 감사합니다^^. ㅎㅎ
모르는것을 많이 물어보고 얻게 되네요^^;
세미나를 준비하는게 길어지니 점점 내용이 보강되다보니 ㅎㅎ 힘드네요 ;;
이제 발표전인데 마지막으로 한가지만 물어봐도 될까요? ^^
퀄컴에서 운영체제 L4를 내놨는데도 아직 REX가 대부분인가요?
말할때 내용을 보충해야하는데 살짝 모자라서 못하고있네요. ㅎㅎ
아시겠지만 국내 RTOS의 대부분이 REX라고 한 것은 이동통신단말 위주의 답변입니다. 일부 다른 포터블 기기에서는 REX외의 OS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REX가 대부분인 이유 역시 CDMA 종속적인 국내 시장에서 퀄컴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구요. L4는 퀄컴에서 차세대로 내놓은 RTOS이죠. L4가 앞으로 대중화 될 가능성은 높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극히 미비합니다. 모바일 산업이 그렇게 발빠른 플랫폼 대응을 하는 편이 아니라서 말이죠. ^^
아 감사합니다^^
L4에 대해서 말해줄게 뭐있나 생각하다가 퀄컴 후속 RTOS인것은 아는데 우리나라가 REX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은 아직 변경이 안된거군요(플랫폼 대응이 느려서 ㅎㅎ)
찾아보니 기사들 대부분이 2006년 하반기에 L4가 출시 된다고 해서 아직도 안바꼈나...
예상보다 평이 좋지 않은가 생각하게 돼서 ㅎㅎ
발빠른 플랫폼 대응이 일어나지 않아서 그렇다. 라는것이 눈에 아른거리는군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