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LG 전자가 명품 브랜드라는 컨셉 하에 출시한 "PRADA"폰이 오늘 스포츠서울에 무참히 씹히는 굴욕을 당하였다.

프라다폰을 이야기 할려면 국내 업체들의 해외 전략에 대해서 이야기 안할 수가 없다.
국내 업체들의 초기 해외 전략은 저가전략이었다. 초반에는 먹혔던 이 전략이 요즘에 와서는 이래저래 고민이 많아지기 시작한다. 사정이 어려워진 부동의 1위 "Nokia"역시 저가정책이라는 타이틀로 시장을 공략하고, 1위가 그렇게 하자 GSM에서 목에 힘주던 모토롤라와 소니에릭슨까지 저가를 공략하기 시작한다. 이는 휴대폰 시장의 포화와 업체간 경쟁력 심화, 기술의 평준화, 그리고 동남아와 인도 등의 신흥시장의 성장 등이 원인이다.

대부분의 국내 제품등이 아직까지는 저가 정책이 먹히는데 반해서 휴대폰 시장은 여의치가 않다. 물론 LG전자의 경우 GSMA의 3G 휴대폰 단독 업체로 선정되어서 저가 3G 시장에서 힘을 좀 쓸 것도 같고, 삼성전자 역시 인도현지공장을 설립하여 저가 단말기 생산에 집중하려고 하지만 전반적인 상황은 그리 밝지는 않다.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저가의 가장 큰 메리트인 가격에 있다. 우리나라 핸드폰 제품의 가격을 아무리 낮춰봐야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금액이 있다. 그중에 가장 큰건 GSM등에 들어가는 로얄티와 BB, RF 등과 같은 핵심 Chipset의 구입비용이다. 결국 원천기술이 부족한 태생적인 한계로 인해 가격 경쟁력에서 밀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위기감에서 시작된 전략이 프리미엄 전략이다. 삼성이 밀고 있는 프리미엄 슬림도 이러한 맥락이고 LG전자의 초코렛폰과 이번 프라다폰이 역시 이러한 전략에서 나온 제품이다. 삼성의 전략과 LG의 전략은 둘다 디자인에 치중하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상세 전략은 확연히 구별된다. 삼성은 슬림이라는 대명제하에 여러 모델을 이어가고 있지만 LG전자는 제품 모델 하나하나에 치중한다. 초코렛폰 이후에 이렇다할 히트작이 한동안 뜸했다가 이번에 프라다폰이 나온 것이 이러한 이유이다.

유럽에서 프라다폰이 나오자마자 모조리 팔렸는데 이것은 프라다의 브랜드탓인지 LG전자의 브랜드탓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판매는 했으나 그에 맞는 사용 후기와 이러한 모델을 LG전자가 계속 이어갈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유럽에서 판매된 GSM 프라다폰과 LGT에서만 판매되는 국내 CDMA는 스펙상 차이가 있다. 실제 유럽에서는 위의 기사와 같은 불만이 그렇게 많이 보이지는 않지만 정작 안방에서 이러한 기사가 실렸다는것은 LG 전자로서는 타격이 크다. 해외 전략과 국내 전략이 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으나 안방에서 "프리미엄"브랜드에 문제가 있는 제품을 내주고 이러한 리뷰가 진행이 된다면 해외에서도 똑같은 평가를 받을 것이다.

안에서 좋은 제품과 평가를 받아야 바깥에서도 대접 받는 법이다. LG전자는 항상 20% 부족하다.
2007/06/12 19:14 2007/06/12 19:14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Lampard

해외/국내 이슈로는 생각해보지 못했는데..
만약 지금 이슈화된 문제가 국내 '프라다'폰에서만 발생되는 거라면 더욱 좌절스러울듯 하네요.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아이바

국내 '프라다'만의 이슈가 맞긴 합니다만 (어차피 칩도 다르고 거의 새로 생산해서 조립해야 되니) 통상 2% 가량의 초기불량율을 가지고 마치 98%인것마냥 이슈화시킨 기사도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동안 나왔던 기사들은 평가가 그럭저럭 좋은데 이것만 유독 악의가 보이네요. 이런 식이라면 세상에 모든 폰이 '치명적'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앗싸뵹

국내 제조사들이 고민이 많은게...
자기 마음대로 좀 해보고 싶은데, 국내에 단말을 내려면
이통사의 요구를 만족시켜야 하는게 스트레스죠.
프라다랑 소프트웨어 UI 디자인을 아무리 잘해두어도,
Nate키를 눌러 나오는 화면은 완전 이질적인 화면이니까요..
Full-LCD를 써야 하는 프라다폰과 기존 nate 화면 구성의 이질감도 문제지만, 억지로 억지로 끼워맞춰서 단말을 출시해도 이에 따른 안정성 문제도 골치거리구요..

mobizen

앗싸뵹님~ 폰쪽에 종사하시나요? 반갑습니다.
언급해주는 말씀은 다 맞는 말씀입니다.
다만, 언급해주신 앗싸뵹님은 아시겠지만 혹시 모르는 제 3자를 위해서 언급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말씀하시는 문제가 정말 국내에만, 국내 제조사만의 문제인지 입니다.
저도 포팅이나 그나마 다른 나라의 시장에 대해서 접할 기회가 많은 위치입니다만 그 정도의 차이가 있지 상황은 어느 나라나 다르지 않습니다.
또한 이통사의 입장에서 벤더의 입장을 고려하며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 역시 쉽지가 않습니다.이통사 관계자들과의 새로운 서비스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마다 나오는게 벤더들을 어떻게 설득시키냐 입니다.
다시 말씀 드리지만 앗싸뵹님의 말씀이 틀리다는 것이 아니라 다 각자의 위치에서만 보고 제각기의 목소리만 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

뭐... 제 포스팅하고는 좀 동떨어진 이야기네요~
가끔 들리셔서 의견 주시고 틀린 내용있으면 지적해주시기 바랍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인터넷에서의 모든 포탈의 시작은 "검색"이라는 키워드 때문인지 모바일 검색은 끊이지 않은 이슈이다. 이러한 오래된 고민에 반해 모바일내의 검색이라는게 신통치 않은 것 같다. 무선상의 검색 기술은 크게 3가지로 구분이 되는 것 같다.

1. 유선과 동일하게 웹사이트들의 검색을 하는 것.
2. 검색엔진을 모바일 환경에 맞추어 Customize 하여 무선에서 일반적인 지식 검색등을 하는 것.
3. Service Provider(이통사)가 제공하는 컨텐츠나 서비스, 정보 등을 검색 하는 것.

1번의 경우는 풀 브라우저가 필수이며 기존의 유선의 검색 엔진등이 워낙에 역사와 기술 노하우가 많아서 사업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현재 독보적인 존재인 구글과 국내에서의 강자 네이버의 세상인 듯 하다. 일반 사용자들이 무선 검색하면 떠올리는 경우는 대부분 1번이리라. 이 경우는 일반 웹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접근 경로로 접근하므로 패킷요금 발생 외에 이통사 입장에서의 메리트는 없다.

2번의 경우는 오랜기간 존재해왔던 이통사 내의 포털 검색 서비스를 말한다. 기존의 텍스트 Base의 WAP 브라우저를 통해서 검색을 하는 것인데, WAP 브라우저 내에서 Display가 될 수 있게 Output을 따로 제작을 한다. 구글의 서버 트랜스코딩 방식의 Output의 경우는 1번과의 구분이 애매할 수는 있으나 이통사와의 협업을 통해 메뉴 형태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2번에 가깝다.
이통사 내에 존재하는 만큼 검색 횟수에 따라 유료로 과금을 하는 경우가 있다. WAP base 이므로 Web base Page로 link가 되지 않는 만큼, 검색엔진을 보유하고 있는 포탈내의 컨텐츠나 Data를 보여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번의 경우는 이통사 입장에서 가장 관심이 있는 부분이면서 아직까지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숙제이다. 이통사 입장에서는 1번의 경우는 수익발생 모델이 거의 없으며, 2번의 경우도 외부 엔진 의존도이기 때문에 타이통사와의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드며, Walled Garden 내의 컨텐츠의 수익과 연결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요즘 이통사가 3번에 접근하는 가장 중요한 이슈는 역시 "개인화"이다. User Profile 정보와 LBS 등을 통해 위치 정보까지 얻어있고 고객의 지출 패턴을 모조리 가지고 있기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궁금해하는 검색의 답을 찾아주고 이를 컨텐츠 구매와 광고로 접목시킨다는 컨셉이다. 하지만 이를 위한 개인화의 기준이 무엇인가와 조그만 LCD 안에서 구매 욕구와 광고를 연결시키려는게 쉽게 풀릴 숙제는 아닌 듯 하다.

해외의 전반적인 엔진은 Google, Yahoo, MS의 삼파전으로 많이 이야기가 되고 있지만 모바일 비즈니스의 특성상 이통사의 의존도가 높으므로 당분간은 먼나라 이야기가 될 전망이다. 또한 시장이 그리고 있는 모바일 검색과 이통사가 원하는 모바일 검색의 차이점도 쉽사리 시장에서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가 아닐까 한다. 또한 모바일의 검색이 유선에서와 같이 중요한 허브로서의 역할을 가질 수 있느냐도 의문이다.

어쩌면 이러한 검색엔진의 구분도 점차로 의미가 없어지고 상호 연결이 되어야 하는 시점이 아닌가 한다. 웹 페이지로 검색을 하더라도 무선을 통해서 검색을 하면 일반적인 검색 결과에 이통사의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게끔 연결을 시켜야 하며 통신사마다 Custermize 할 수 있는 요소를 만들어 이통사의 구미를 당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번의 경우도 Walled Garden내의 서비스인 만큼 통신사의 UAProfile과 LBS 정보를 적극 활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개인화된 결과를 알려주는데 고민이 필요하다.

2002년도 SKT의 정보 컨텐츠 상위 랭킹 중에 하나가 지역번호(DDD) 를 알려주는 VM이었다. 지방 출장 등을 가면서 핸드폰으로 지역 업체에 전화를 할려고 하는데 지역번호를 당장에 알 방법이 없다라는 것이 이유였다. 위와 같이 무선에서 궁금한 점은 이동성과 즉시성이다. 어떠한 경우이던 모바일에 맞는 Output을 내놓는 검색엔진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2007/06/09 01:57 2007/06/09 0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