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인터넷으로 핸드폰을 파는 가장 큰 사이트 중에 하나인 Wirefly에서 발표한 자료이다. 자사 사이트에서 판매했던 자료로만 Rank를 주었기 때문에 아주 공신력있는 데이타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겠지만 참고 자료 정도로는 충분하다.

1. Motorola RAZR (all colors)
2. BlackBerry Pearl (all colors)
3. LG Chocolate (all colors)
4. Samsung A900M
5. Motorola i850
6. Motorola Buzz ic502
7. Sanyo Katana (all colors)
8. Sony Ericsson w810i
9. Nokia 5300 XpressMusic
10. Motorola v325i

RAZR가 나온지 시간이 조금은 흘렀지만 아직도 1위를 하고 있다. 상위 랭크 폰모델을 보면 누구나 알겠지만 핸드폰의 구매포인트는 화려한 기능이나 획기적인 Application이 영향을 주지 않는다. 누가 뭐래도 중요한 Keyword는 "Design" 이다. Wirefly의 대표이사 Brian Westrick는 이렇게 이야기를 한다. " Looking pretty is the biggest selling point." 아무도 부인은 못할 듯~

2007/05/28 17:20 2007/05/28 17:20
ZiA

오늘의 유머라는 사이트로 담아갈게요 ^.^
나중 되서라도 담아가는게 불편하시다 하심 말씀해 주세요.. ㅎㅎ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이제는 핸드폰에 Default로 내장되어있는 Device라고 해도 어색하지 않는 국내의 현황과는 약간 다르게 해외는 카메라보급율이 계속 성장세에 있다. 아래 표는 모바일 비즈니스 전문 시장 조사기관인 M:Metrics에서 2007년 4월에 발표한 자료를 IITA에서 정리한 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카메라폰은 국내와 일본의 경우 비정상적이라고 할만큼 보급율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유럽시장도 많이 보편화되어 있는 형편이다. 특히 영국의 경우 전체 가입자의 75%가 보유하고 있으며, 영국, 프랑스,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등 주요 5개국의 보급률은 70.2%이다.

서비스가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Device의 보급률이 높아지고 이를 이용한 서비스가 발전을 해야 한다. 다른 나라보다 일찍 카메라폰이 보급된 것에 비해 뚜렷할만한 서비스가 적은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싸이월드에 문자를 이용해 올리는 것을 제외하면 E-mail 전송이나 블로그에 사진 Posting 하는 것 같은 것을 비교하면 오히려 외국이 더 한걸음 앞서 나가 있는 듯 하다. 물론 이러한 현상은 카메라폰이 주체가 되는 문제는 아니고 부가적인 부분이며 문화의 차이이기는 하다.

2007년도의 키워드는 너도나도 UCC로 잡고 있다. Web 2.0 기업들을 필두로 하여 이러한 테마는 세계적인 추세이다. 올락웍스에서 올해안에 모바일 서비스를 상용화 한다고 한다. 기본 서비스는 카메라폰에서 찍은 얼굴을 인식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다. 국내에서 이러한 Device Infra를 이용하여 세계적으로 앞서나가는 서비스가 나오기를 희망해본다.
2007/05/24 00:38 2007/05/24 00:38

“디지털 카메라(디카)와 필름 카메라(필카)를 모두 합한 것 보다 휴대폰 카메라 보급 개수가 더 많다” 시장조사기관 라이라 리서치(Lyra Research Inc, http://www.lyra.com)는 7일(현지시간) 해외 언론..

얼굴 인식 기술 및 진대제 펀드 1호 투자로 올해 초 주목을 받았던 올라웍스(대표 유중희, http://www.olaworks.com)가 최근 '모바일 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