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블로그 일반
현재 몸담고 있는 회사의 인사담당자의 결정으로 모든 팀장들이 온라인으로 "리더쉽 교육"을 수강해야 한다.
한달안에 강의를 이수해야 하는데 도대체가 들을 시간이 없다가 한소릴 들을 것 같아서 어제 처음으로 강의를 수강했다. 온라인 강의가 모두 그렇듯이 중간중간 마우스도 눌러주어야 하고 질문을 던지면 자신의 의견을 텍스트로 올려야 하며 시험도 보며 이에 따른 학점이 매겨지게 된다.

리더쉽 교육이라는게 필요하고 근본적인 것이라 생각이 되지만 이상하게 호의적인 마음이 들지 않는다.
팀제의 문제나 팀원과 이야기를 많이 하라. 팀원의 Role을 명확하게 해라... bla~bla~
너무 뻔한 소리만 한다. 이런 원론적인 문제에 대해서 투자해야 하는 12시간이 아깝다. 그 시간에 블로그에 올릴 포스트나 다듬는게 더 건설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온라인 교육 사이트.. 그들은 돈 받을 자격은 있다. 이 뻔한 소리를 12시간으로 풀어내는 그들의 능력에 일단 박수다~

조직운영은 정답이 없는 법이다. 어느 시스템이나 장점과 단점은 있는 것이고 어느 시스템의 장점이 자신의 조직과 가장 잘 맞는지를 고민하면 되는 것이다.

큰 조직은 개미 시스템이 어울린다. 개미는 군집을 이루어서 어떤 업무를 추진한다. 업무를 수행하는 개미를 관찰을 해보니 세분류로 분류가 된다. 열심히 일하는 소수의 상위 그룹, 그저 그렇게 끌려가는 다수의 중간 그룹, 일을 안하는 소수의 하위 그룹이다. 그래서 소수의 상위그룹들만 모아서 일을 시켜보면 모두 다 일을 열심히 할 것 같아서 시켜보았더니 역시나 그 안에서도 세분류로 구분이 된다. 그래서 이러한 것을 인정하고 소수의 상위 그룹이 리딩을 하고 나머지는 종합적인 시스템을 통해서 일을 하게끔 하는 것이다.

벤쳐는 거미 시스템이 어울린다. 거미는 군집을 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생존을 한다. 스스로 모든 것을 하며 다른 이들과 분산해서 업무 수행을 하지 않는다. 자신의 영역(Identity)를 확실하게 표시하고 그 안에서 모든 것들을 한다. 벤쳐에서 개발자라고 해서 개발만 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필요에 따라서 마케팅이나 기획, 세일즈까지도 마다하지 않고 해야 하는 것이 벤쳐의 태생이다.

이와같은 조직론은 굉장히 많다. 어떤 조직론이 자신의 조직에 어울리는지는 고민을 해봐야 할 것이다. 요즘 내가 우리 조직에 드는 생각은 롱테일 법칙(Long Tail Theory)이다. 롱테일 법칙이 조직 운영론은 아니지만 적용할 수있지 않을까 하는 억지가 조금 든다.
여지껏 내가 일했던 소규모의 벤쳐 시스템은 거미 시스템의 적용이 맞았었다. Leading은 내가 하되 멀티 플레이어로서의 각자의 역량을 키우고 identity보다는 Job task에 맞추어 업무수행을 하게끔 해주고 그에 못따라 오는 이들은 자연 도퇴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현재 몸담고 있는 조직은 벤쳐가 아닌 관계로 이러한게 힘들다. 그렇다고 대기업과 같은 시스템이 명확한 것도 아니다.
첫 회사같이 하나의 대형 프로젝트에 여러사람이 매달려서 메인 개발자가 Leading을 해가고 나머지는 따라만 오면 되는 것도 아니다. 하나의 Product에 다수개의 Project가 존재하고 다수의 개발자가 소규모 Project를 담당하고 있다. 예전 나의 스타일처럼 따라오지 못하면 도퇴되도록 놔 둘 수가 없다.

대부분의 조직 시스템은 상위 그룹에 맞추어져 있으나 Long Tail의 법칙처럼 Long Tail에 해당되는 조직 구성원을 좀더 신경을 써주고 그들을 위한 조직문화로 바뀌어질 필요가 있다. 그들을 상위 그룹으로 끌어올리는 Skill Up이 아니라 그들에 맞는 업무 지정과 그에 따른 스케줄이 필요하다는 소리이다.
너무 뜬구름 잡는 이야기인가.....

적어도 온라인 교육이 이러한 조직 운영에 대한 다양한 시스템이나 문제점, 그리고 접목해 볼 수 있는 새로운 파라다임에 대한 이슈를 건낸다면 그렇게 지루하지는 않을거다. 깨질 것은 각오하더라도 다시 들을 생각이 들지는 않는다.
2007/04/18 10:28 2007/04/18 10:28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지난 2007년 4월 13일 여의도 증권선물 거래소에서 삼성전자의 2004년 1/4분기 실적 발표와 경영설명회를 하였다.

삼성전자는 최근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1조18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42%가 줄어들었다고 발표했다. 순이익은 1조6000억원으로 33% 감소했다. 매출은 14조3900억원으로 8%가 줄어 들었다. 국내 부동의 1위 기업치고는 꽤나 부진한 실적이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LCD,  정보통신, 디지털 미디어, 생활가전 등으로 부문이 나누어져있고 전반적인 하락세 속에서도 우리(?)가 관심이 있는 정보통신 부분은 초고속 성장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정보통신 부분은 휴대폰과 네트워크로 구분이 되는데 간단하게 살펴보자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휴대폰 판매량은 34.8백만대로 전분기 대비 6% 성장, 전년 동기 대비 30% 성장을 하였다.
해외의 경우 계절적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Ultra Edition 등 중고가 제품의 지속적인 판매 호조 등으로 판매량이 증가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의 경우 사업자간 시장 점유율 확대에 따른 제품 경쟁 우위로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43%가 증가 되었다.
판매량에 반해 판매가격은 2006년 4/4분기때 평균 $168에 비해 $155로 약 8%가 감소하였는데 이는 계절적 비수기 하에 경쟁 심하와 VGA/Color 제품 판매 증가로 하락한 것으로 보여진다. 참고로 판매가격은 국내/해외를 구분하지 않고 판매 매출 /  판매수량 을 한 값이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지역이 가장 많으며 유럽시장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시장의 중요도는 8% 정도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쪽으로는 국내 HSDPA 시스템 부문 매출은 전분기 대비 40%나 증가했으나 해외 CDMA 사업자의 장비 구매 지연으로 매출은 소폭 감소했다.

누가뭐래도 국내 1위 기업이다. 삼성전자내 정보통신 부문에서의 메인 테마는 컨텐츠나 킬러 어플리케이션... 이런거 아니고(^^) 3G 단말 중심의 교체 수요라고 전망하고 있다. 또한 통신사간의 HSDPA 경쟁 심화를 잘 이용하여 국내 시장에서 선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06년도 국내 수요량은 16.2백만대였으나 올해는 18백만대로 예상하고 있다. 이통사가 싸워대면 좋아하는 사람도 있는 법이다.
2007/04/16 20:18 2007/04/16 20:18
Loudness

요즘들어 부쩍 느끼지만 삼성은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야 할듯하네요. 더이상의 생산기술, 규모의 경제로 이제 더이상 크게 성장하기는 힘들듯합니다.. 이런면에서 이익이 꽤나 남아도 미래가 업다고 판단되면 과감히 매각하고 신성장부분을 매입하는 GE가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