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블로그 일반

Naver 검색을 통하여 필요한 자료만 보고 가는 분들 말고 그나마 내 블로그를 꾸준히 보시는 몇몇분들(저에게 참으로 소중한 존재들입니다. 단 한명이더라도)은 알겠지만 나는 모바일 컨텐츠에 미쳐서 7년을 그 동네에서 살다가 얼마전에 그 동네를 떠나서 내장형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다.
항상 컨텐츠를 그리워하는 HomeSick과 더불어 다소 짜증나는 회사의 상황들이 현재 나의 업무에 대한 Passion을 잃어가고 있다. 개발자가 Passion 이 없다는 것은 사실 무척 큰일이다.

현재 맡고 있는 팀장이란 자리도...
냉정하게 돌아보면 부끄럽기 짝이 없는 자리이다.
남에게 업무지시를 할만한 Passion이 나에게는 없기 때문이다.
그저 욕 안 먹을 정도라고 할까...(하긴.. 일을 열심히 하던 안하던 고건 욕 먹는것과 별개이긴 하더라..)

이러한 나에게 묻어두었던 Passion이 다시 살아날 것 같은 느낌이다.
회사 내의 아이템이 내가 가장 자신있어 하는 분야이다.

문제는 우리회사의 컬러과 조직 시스템이 이러한 Biz에 맞느냐가 문제인데..
그것만 해결된다면 질러봄 직도 하다...
그래도.. 신중신중 또 신중이다만....

하고 싶은걸 어찌하리....
조만간 사고 하나 크게 칠지도..............

2007/03/06 19:19 2007/03/06 19:19
luzluna

기대하겠습니다 ^^;

정찬명

저도 구독중인데요. 큰 사고 기대하겠습니다 ^^

전용철

가끔 와서 볼때 마다 나도 한번 쯤 블로그를 꾸려볼까라는..생각이 들지만... 역시...볼때만 그생각이 드네요..;;

전용철

옷..근데 신기하게 제이름이 저절로 써져있네요? 무슨 기능이지 -_-;

mobizen

용철군~
아무리 모바일쟁이라곤 하지만..
쿠키.... 를 모른다고 제발 나한테 이야기 하지 말아줘~
^^

지동아빠

드디어 출동하시는겁니까 ^^;
저에게도 한줄기 빛이 ㅎㅎㅎ

mobizen

출동은요... 무슨...
삼겹살이나 쏘십시오.. ㅎㅎ

청년카이

건승하시기를....이바닥에서 passion 없으면...으...뭘로 버티겠사옵니까..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SK 네트웍스에서 위의 내용으로 신규사업 제안을 받고 있다.

큰 기대는 갖지 않는 것이 좋을 듯도 하다.
전략적으로 제대로 할 생각이면 대대적으로 광고를 해야 할텐데 자사 홈페이지에서 내용을 찾아봐도 찾기가 힘들다. 오직, K-Mobile 메일링 리스트로만 왔을 뿐이다. 그마저 원본 메일 페이지에는 담당자의 메일 주소가 mailto 로 link가 되어 있는데 오타가 나서 메일을 보내도 메일이 리턴되서 돌아올 것이다.

이러한 류의 이벤트는 왜 자꾸 짜고치는 고스톱이라는 생각만 들까?
세상을 너무 힘들게만 살아온건가... 순수한 눈으로 봐야할텐데....

그래도 도전해보겠다고 하는 이는 사업제안서 를 다운 받아서 한번 해보시도록...
2007/03/05 17:56 2007/03/05 17:56
나그네

다 지난 이야기인데 한 말씀 드리자면... SKN정도의 회사에서 전략적으로 하는 신규사업은 회사 기밀로 분류가 되어 홍보하지 않습니다. 비용도 수조원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죠. 사업본부 단위로 하는 사업은 보통 100억 이하의 소규모(?)사업입니다. 하지만 이정도도 웬만한 벤처회사의 몇년 매출액에 해당하는 금액이니 아이디어만 갖고 있는 회사들에겐 좋은 기회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쓸데없는 사족은 아니었길...^^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게임

아래는 한국게임산업 개발원이 발간한 2006 게임 백서에 있는 2003-2008 세계 게임 시장 게임 플랫폼별 시장규모 및 성장률이라는 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게임의 성장률은 지속적인 성장을 하는 것으로 집계와 예상을 하고 있고 특히 2006년에 폭발적인 성장을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내 모바일 시장의 정체기와는 사뭇 다른 결론인 것을 알수 있다.

모바일 게임 업체는 이제는 국내에만 머물 것이 아니라 세계 시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거창하게 청운의 꿈을 꾸고 세계향의 게임을 만들자는 소리는 아니다. 먹고 살기도 힘든 모바일 게임 업체에서 확실하지도 않고, 적당한 에이전시 구하기 힘든 현실에서 그런 교과서적인 소리를 하고 싶지는 않다.

모바일 게임이 상대적으로 앞서고 있는 현실에서 예전에 만들어 놓았던 게임을 재활용할 필요가 있다. 현재 현저히 작아지고 있는 국내 BREW 시장에서 예전 BREW 게임이나 4Gray 게임들도 충분히 재활용할 수 있다. 괜히 개발한답시고 모든 것을 쥘려고 하는 욕심만 버리면 된다. 소스까지 통채로 턴키로 넘길 수 있는 기회는 욕심만 버리면 얼마든지 있다. 한번 일이 시작이 되면 다른 일도 생기는 법이다.

다만 예전에 마구잡이식 일본 게임 베낀 게임은 좀 힘들지 않을까 싶고, 장르가 약간은 문제가 되겠다. 국내 게이머들이 선호하는 장르와 외국인들이 선호하는 장르는 좀 다르다. 국내에서는 찬밥 신세를 면치못하고 있는 슈팅이나 1:1 대전류의 게임이 외국에선 선호한다. UI의 불편함때문에 어려운 FPS게임도 국내에서는 먹히기 힘들지만 유럽쪽이나 베트남에서는 무척 선호하니 예전 게임들을 한번쯤 꺼내보아라. 스포츠게임은 세계 어디서나 중간 이상은 가는 장르이고... 다만, 국내에서는 일반화된 RPG는 아직은 외국에서는 좀 힘들다. 폰스펙도 물론이거니와 컨버팅 Cost가 너무 높다.

요즘은 일반화 되고 있는 모바일 퍼블리슁 전문 업체들도 국내 이통사들과만 재미보는 것은 그만하고 세계로 한번 눈 돌리는 것을 권한다. 가격에대한 욕심만 버려라. 그러면 길은 열릴 것이다. 다만.... 우리보다 앞서있는(또는 비슷한) 수준의 일본 시장은 이러한 중고떨이식의 Biz는 어울릴리가 없고, 중국은 아직은 너무 폐쇄적이라서 말리고 싶다.
2007/03/05 10:31 2007/03/05 10:31
Posted
Filed under 블로그 일반
나에겐 몇가지 취미가 있다.
그 중에 하나가 관상어를 기르는 것이다.
금붕어 기르는 어항이 한개가 있고...
슈마트라, 칼라테트라, 제브라다니오 등이 사는 어항이 한개가 있다.
호시탐탐 어항 하나를 더 살려고 노리다가 어제 드디어 2자 어항을 하나 샀다.
시크리드를 한번 길러보고 싶은 마음에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중고로 하나 장만을 한거다.
열대어에 대해서 아는 분은 거의 기본이겠지만 시클 어항을 만들기 위해서는 물이 알카리성을 적당히 유지해야 하며, 가장 흔한 방법이 바닥재를 산호사로 까는 것이다.

어제 어항을 산 후, 산호사를 살려고 이마트를 갔으나 없는 것이다.
롯데마트에도 수족관이 있어서 가기 전에 확인해 볼려고 전화를 했다.
아래는 전화를 받은 롯데마트 상담원과 내가 나눈 대화이다.

mobizen : 수고하십니다. 수족관으로 연결 좀 부탁드립니다.
상담원 : 고객님 죄송한데 코너별로 연결은 안됩니다.
mobizen : 아.. 그럼, 물건이 있는지 여부는 확인할 수 있나요?
상담원 : 그건 저한테 말씀 하시면 확인해드리겠습니다.
mobizen : 네, 산호사가 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상담원 : (너무나 천진난만한 목소리로) 살모사요?
mobizen : -.-;;;;;; 아뇨... 산호사요....
상담원 : (아주 친절한 목소리로) 네! 고객님 살모사요~
mobizen : (당황하며)아뇨... 산호로 만든 모래.. 산!호!사! 요...
상담원 : (여전히 같은 톤으로) 아, 산호사요?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

산호사를 살모사로 잘못 들은 거야 그럴 수도 있는데 살모사라고 들었으면 놀랄만도 한데 톤하나 바뀌지 않으면서 상담을 진행하는 포스에 내가 손을 들 수 밖에 없었다. 살모사나 이상한 것 찾는 장난 전화가 꽤나 오는 것 같고 그에 대한 대응법에 대한 교육을 철저히 받는 듯 하다. 살모사라고 하니 내가 더 놀랬다는거 아니냐...
변태 취급 받는 것 같아서....
경험인가 교육의 힘인가...? 요즘 전화 상담원등의 친절은 꽤나 좋은 듯..(다는 아니겠지..)

혹시 궁금하신 분을 위해서 산호사 이야기를 좀 하자면..
결국은 산호사는 롯데마트에도 없었고, 오늘 회사 앞 수족관에서 4L짜리 3 포대를 사서 비오는날 우산도 못 쓰고 끙끙거리면서 집에 와서 설치를 했다. 물 만드는데 3주는 잡아야 하니, 3주 후만 기다리면 된다~
아래는 이번에 설치한 시클 어항이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첨부 >>
위 사진과 같이 설치하고 새벽에 포스팅 했는데...
결국 아침 일찍 일어나 아래와 같이 세팅을 수정을 좀 했다.
요즘 잠이 너무 없는데... 이러다 수면부족으로 쓰러지지 않으려나 몰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03/03 01:33 2007/03/03 01:33
전은엽

푸하하 살모사..^^ 그 상담원도 대단하네요~

박진호

산호사가 살모사라.
저 역시 전화통화시에 잘못 듣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수도 있겠군요.

mobizen

잘못 들어서 당황하였지만 너무 천연덕 스러운 포스에 무릎을 꿇었다는.. ^^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게임
기획서 작성에서의 정형화된 목차를 이용하면 기획도중 그냥 지나쳤던 부분이나 작업의 선행시 되어야 할 것들에 대해서 정리가 되어서 좋다. 아래는 내가 후배 기획자들에게 게임 기획서 작성할 때 참고하라고 주었던 목차의 순서이다. 도움이 되기를..

1. 개요
2. 유사 게임 분석
3. 세계관
3.1. 전체 세계관
3.2. 스토리
3.3. 캐릭터
4. 구조 및 형태
4.1. Flow Chart
4.2. UI
4.3. Key 설정
5. Game System
5.1.기본룰
5.2. 스테이지 구성
5.3. Boss System
5.4. Combo
5.5. Ending
5.7. 캐릭터
5.8. 캐릭터 파라미터
5.9. 몬스터
5.10. 캐릭터 성장
5.11. NPC
5.12. 무기
5.13. 아이템
5.14. 이벤트
6. Game Screen
6.1. Map
6.2. 타이틀
6.3. 메인 메뉴
6.4. 시나리오
6.5. 스테이지 시작
6.6. 게임 플레이 화면 구성
6.7. 캐릭터 DIE

7. 사운드 리스트

상세 설명이 없는 탓에 각 타이틀이 주는 바가 이해안 갈 수도 있겠다. 리플이나 메일 주면 자세히 설명해줄 것을 약속하면서..
2007/03/02 15:43 2007/03/02 15:43
may

저한테 필요한 자료인것 같으니 자세한 설명이 있는 파일을 줄면 고맙겠습니다. chinadico@hotmail.com

mobizen

네이버 검색을 통해서 들어오셨나요?
죄송한 말씀이지만 아무리 중요하지 않는 자료이긴 하지만 제가 여러 프로젝트를 거쳐가면서 회사에서 사용했던 실제 내용이 있던 자료입니다.
동전넣으면 나오는 자판기가 여기는 아닙니다.
기본적인 예의를 갖추고 요청을 하십시오.

1111

서핑하다 몇글자... 적업 봅니다.. 저도 모바일 게임을 기획하는 사람입니다만... 개발관점(플랫폼)을 빠진게 좀있네용..후배분들에게 좀더 적확한 정보를 주시길... 이럼 후배분들 삽질한다는...ㄷㄷㄷ

mayjune78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학교에서 기획서를 제출하라고 하는데 어떤 스텝으로 진행되는지
전혀 감을 못잡던중에 목차를 보니 어떻게 진행해야할지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습니다.

조금 궁금한 부분이 있는데...

보통 게임기획서는 사업성이라든가 수익 모델이라든가는 배제하고 게임 자체에 대해서만
접근하는게 일반적인가요? 이런 수익과 관련된 내용은 이전 단계에서 전부 결정이 되었기
때문에 이렇게 게임에만 집중해서 기획할 수 있는건가요?

만약 이전 단계에서 수익과 관련되는 부분이 모두 정해지고 진행되어야한다면 이전 단계
(사업기획 단계?) 에서 게임 기획자가 고려해야 되는 부분이 무엇이 있나요? 이 게임은
접속자 혹은 다운로드 수를 XXX,XXX 건으로 예상한다. 거기에서 오는 수익은 얼마이고,
인건비가 얼마에, 총 개발비용이 얼마이니까 수익을 얼마로 예상한다... 뭐 이런 내용들도
게임 기획자가 생각해야하는 부분인지요...

아니면 회사의 다른 사업, 전략 기획자들이 생각해 놓은 내용을 전달받아 그 내용을 토대로
게임을 기획하게 되는지요...

실제 업계에서 어떤 식으로 진행하는지 도통 모르겠네요. 학교 선생님 설명은 뜬구름 잡는
얘기들 뿐이라서....

hyein

안녕하세요 저 게임기획에 관한 자료를 찾다가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
항상 필요한 통계자료들을 이곳에서 많이 가져다가 발표하다보니 매일매일 구독하고 있었는데..
저 혹시 게임기획에 관한 상세한 자료를 받아 볼 수 있을까요 ? skyhin@hanmail.net

이전

안녕하세요 게임 기획에 입문하는 과정에 있어 저에게 좋은 자료가 될수 있을 것 같아서 부탁을 드립니다. 고생하신 내용들 참고해서 발전할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할께요 lhjlhj0112@hanmail.net

그랑지아

게임기획을 전망으로 하는 기획 희망자입니다. 기획에 관련된 목차관련을 찾다가
우연히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저도 게임기획에 관한 자료를 얻을수 있을까요.
자료를 보내주신다면 더하날위 없이 감사하겠습니다
akskahf@naver.com

2222

그랑지아님을 비롯한 자료 요청자님들,

자료의 내용이 님들의 것이 되기 위해서는 여러분들이 스스로 만들어보려 노력하셔야 합니다.
게임 기획의 경우도 전체 프로젝트 관련한 기획이냐, 세부 개발 과정의 기획이냐에 따라 다릅니다. 또한 시장 트렌드도 진중히 보시는 안목이 필요합니다. 가령 무선 데이터 전송 기술 및 스토리지 기술의 발전 그리고 사용자 접점이 되는 기기들의 발전은 생태계를 금방 변화하게 만듭니다. 생태계의 변화는 기획의 방향을 바꿀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비젠님께 자료 찾는 법에 대해 문의해보시는게 더 좋겠네요. 지나가다 안타까워서요.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너만의그늘

안녕하십니까 게임 개발계획서를 작성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처음에는 어떤식으로 해야 좋을 지 몰랐으나 구글링을 통하여 본문의 목차부분을 보고 감명받고 저 목차대로 순차적으로 작성하니 술술 풀렸습니다. 저에게 단비같은 자료를 올려주신 작성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