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예전부터 한번 개발하고 싶었던 아이템이 있다.
2003년, 대학원 다닐때부터 발표하고 다녔던 아이템이었는데 사실 사업성이 없어서인지..
상황이 그래서 인지 실행에 옮기지는 못하고 있다.

전반적인 개념은 Web 상에서 원하는 사이트(또는 페이지)를 툴에 의해 작성을 하고 그 페이지를 Web이던 WAP이던 어디서나 해당 Device에 최적화된 페이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비슷한 시기에 나왔던 Any Builder의 Web 버전 + 피카소의 이미지 서버와 비슷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사이트를 Build할 수 있는 솔루션과 그 페이지 안에 들어가는 각각의 리소스들(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등을 각 Device에 맞게 Converting(또는 Optimize) 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하다.
사업성 면에서는 End User에게는 비슷한 모델의 실패사례나 Needs 적인 측면에서는 약하다고 판단을 했었고..
기업에서 하는 프로모션용에 적합하다고 접근을 했었다.
기업이 어떠한 이벤트나 프로모션을 할 때 각종 웹과 모바일에서 볼 수 있는 페이지와 리소스를 한번에 개발해서 그 비용을 절감하려는 쪽으로 접근을 했었다.
개략적인 개념도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때 당시에는 꽤나 괜찮은 아이템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지금은??
지금은 잘 모르겠다.

비슷한 프로젝트를 개발하면서 작성한 Code와 Class Diagram, ERD 까지 다 있는데....
어디다 써먹을수 있을까? ^^
2007/03/23 12:55 2007/03/23 12:55
mobizen

이제 보니 그려놓은 개념도라는게 얼라 허접하다..
점심시간에 대충 그렸더니만...

KS

저와 조금 다른쪽 분야라 정확하지는 않지만 기술적으로는 Java concept 랑 비슷한 느낌인데요... 03 년도에 이런 아이디어를 가지셨다니... ^^;;

mobizen

KS 님.. 안녕하세요~
자바씩이나요...
그냥 Generate Tool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사실 생각도 많고 고민을 많이 한 내용이라 쓸말은 많은데..
그냥 Concept정도만 설명해야지 안 그러면 대부분 지루해하시더라구요.. ^^

그리고.. 2003년도라고 해도 전혀 새로운 아이디어는 아니었습니다.
비슷한 서비스나 사이트가 있었거던요.
기업형으로 하는 Web Base Service라는게 차별화라면 차별화 정도입니다.

trigger

프리즘이라는 회사에서 하던 것이 있었는데, 웹에서 된다는 것이 다르군요. 프리즘 제품은 2000년에 봤던 것 같습니다. 안 팔리더군요.

mobizen

프리즘은 제품이름이고 회사 이름은 오픈베이스로 알고 있습니다.
잘 안 팔리죠.. ^^ 오히려 애니웹이 더 나은 듯 합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전혀 새로운게 없는 아이템이죠.
웹기반이라는 것도 2002년도에 이미 일본야후에서 비슷한 서비스를 했었구요. 어플기반이야 너무 많구요.

제가 초점을 두었던 것은 Target Sales Point와 BM에 있었습니다.
그때 당시는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했었거던요(과거형)..

mantova46

모바일사이트를 운영하는데 기존 웹호스팅을 이용하고 그외의 운영상 지출해야하는 것들이 무었인지 또 얼마나되는지 알고십습니다.
갑자기 무슨 청구가 들어오나해서 질문드립니다.
mantova46@yahoo.co.kr

mobizen

조금 막연한 질문이네요. 말씀하시는 운영상 지출만을 말씀 드리자면 없다고 해야겠습니다. 무선에서는 청구 들어오는 것은 없습니다. 아예 사전에 협의가 되지 않으면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있지만요..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1. KTF의 현재

2007년 2월 현재 KTF 가입자수는 1307.6만명(KT 재판매 포함)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시장 점유율은 32.07%를 유지하고 있는 만년 2위 통신사이다. 아래표와 같이 순이익은 년말에 "Show" 브랜드 런칭에 쏟아부은 마케팅 비용 및 차세대 시스템 개발 등의 투자비용으로 전반적인 감소를 했으나 서비스 매출은 4.2%, 데이타 매출은 15%씩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기본목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전에 인터뷰 보는 일이 있었는데 그때 이런 질문을 받았다.
"어디서든 좋습니다. 1등을 해본적이 있습니까?"

이유가 어떻든 1등을 해본자와 항상 뒤에 따라가는 자는 차이가 있게끔 마련이고 1등을 하는 이들은 1등을 할만한 이유가 있는 법이다. 만년 2위인 KTF는 1위를 해본적이 없는 기업으로 이러한 사실은 당분간 바뀌지 않을 것 같다.
그들의 계획도 2015년이니깐 말이다. KTF의 기획안 내부에는 온통 Vision 2015와 WCDMA밖에 없다.
불행하게도 이건 계획이 아니다. 단순한 목표일 뿐이다. 목표를 성공하기 위한 세부적인 항목, 그에 따른 조직 시스템, 프로세스 정립, 관계사의 지원, 킬러 서비스 발굴, 차별화 전략  등에 대한 언급은 어디에도 없다. 생각은 하고 있을지언정 옆의 있는 친구에게 말을 안하는 것이다.

KTF가 구멍가게와 같이 혼자 하는 사업이 아닌 바에야 그들의 구체적인 계획과 협력을 같이 일하는 관계사나 CP와 공유하지 않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SKT의 PartnerOn Camp 들을 본 받아야 하는 이유가 있는 것인데, KTF는 그런게 없다.
Vision 2015.... 한국가스 안전 공사, 강원랜드, 광주은행의 캐치플레이와 같다. 누구나 다 하는거다...
요는 내용이 중요한거다... 그럼 내용을 잠깐 보자.


3. 차세대 영업정보 인프라

Vision 2015는 새로운 것은 아니고 지난해 세워져 발표되었다. 세계 최고의 ICET(정보, 커뮤니케이션, 엔터테인먼트, 거래) 기업으로 도약하는 것이 주요 골자이다. 각 항목의 세부 사항의 요약은 아래 표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KTF는 2007년에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세대 영업정보 인프라 구축에 착수할 방침이다. 차세대 영업정보 인프라는 2008년까지 300억원을 투자해서 개발을 하며 총 3단계로 구성이 된다.

1단계 프로젝트인 '빌링 및 CRM' 시스템은 SOA(서비스지향아키텍처)의 사상을 적용해 지난해 파일럿 프로젝트로 완료됐다. 2단계 프로젝트는 빌링시스템과 CRM(고객관계관리)시스템에 대한 컨설팅과 분석·설계, UI(유저인터페이스)단의 플랫폼 구축 등을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KTF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CRM과 빌링시스템에 중복·산재돼 있는 고객 데이터를 통합해 고객데이터 구조 개선도 진행할 예정이다. KTF는 최근 2단계 시스템 구축사업자로 액센츄어를 선정했으며, 프로젝트는 올 8월께 완료될 예정이다. 2단계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KTF는 9월부터 3단계인 시스템 구축에 착수, 내년 하반기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그외 기본 IT전략을 정리하자면 아래 표와 같이 요약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WCDMA

6개월 동안 고심해서 만든 "Show"브랜드는 드디어 3월 1일날 전국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행보가 SKT보다 앞서면서 일단 성공적인 시작을 하는 듯 하다. 3월 15일 현재까지 쇼 서비스 가입자는 모두 2만 2796명으로 하루 평균 1500명 정도가 가입을 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Wibro"와의 경쟁관계에서 두마리 토끼를 다 쫓아야 하는 SKT보다는 약간은 Clear 한 느낌이다. Wibro는 계열 회사인 KT에서 담당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일단은 WCDMA에 올인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KTF는 지난해 WCDMA 통신망 구축 사업에 7000억원을 투자했고, 올해도 4000억원 이상을 투자하는 등 WCDMA 서비스 확대에 주력할 방침이다. 조영주 사장은 "올해 500만 명으로 예상되는 WCDMA 가입자 중 270만 명을 확보해 3세대 서비스에선 1위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성공하기 위해서 협력사의 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를 하고 협력사 관리 시스템(SRM)을 기반으로 우수협력사의 범위를 확대하고 상생 협력 로드맵을 마련, 투명한 구매문화를 정착시킬 계획이다.

불행히도.....
이러한 KTF의 모습에서 왜 자꾸 2년전의 GPANG, GXG의 선례가 떠오르는 것은 왜일까?
GPANG이 GXG보다 먼저 런칭하고 광고전에서 승리했다고 성공했던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차별화된 서비스와 컨텐츠이다.

통신사들은 이제껏 통신 Infra를 제공하는 단순한 통신회사라는 이미지를 벗어나 복합 미디어 그룹이 되고자 희망을 했었고 실제로 그러했었다. 하지만 WCDMA에서 내세우는 Killer가 단순한 화상통화 외에는 없다.
아무것도....
그러다 보니 다시 통신 회사로 전락하고 있다. 스스로 다시 돌아온 것이다. 이러한 것은 SKT의 "T 3G+"도 마찬가지이다. 화상통화가 User의 Needs인가? 마땅한 킬러가 없어서 올라온 대안인가?
KTF는 곰곰히 생각을 해봐야 할 것이다. GPANG의 모습과 똑같은 모습으로 되지를 않기 위해서...
2007/03/21 10:34 2007/03/21 10:34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Sony Ericsson에서 뮤직폰용 확장 스피커를 내놓았다.
MPS-75라는 모델로 Fast Post Connection을 지원하는 Sony Ericsson의 모든 폰에서 사용가능하다.
첫번째로 선보이는 적용 모델은 지난 주에 발표한 W660i 라는 모델이다.
스피커의 크기는 101.5 x 65.5 x 48mm 이며 무게는 107 그램이다.

스피커보다는 폰이 너무 예뻐서 맘에 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03/20 17:33 2007/03/20 17:33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1. SKT의 현재

SKT는 누가 뭐래도 시장 1위의 선도기업으로서 시장점유율 50.4%를 유지하고 있다. 2006년 한해동안 매출액 10조 6510억원, 영업이익 2조 5844억원, 당기순이익 1조 4466억원을 달성하였다. 매출액은 전년대비 4.8%가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2.6%, 당기순이익은 22.7% 하락하였다. 매출은 꾸준했으나 이익이 줄어든 것은 HSDPA등으로 인한 광고선전비가 38% 가향 증가하였고, TU미디어,힐리오등 자회사의 지분평가 손실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2007년 기본 목표

무선 인터넷 매출 비중 : 매출액의 29.5%
Market Share 50% 이상 유지

언론에서 KTF Show의 파격적인 광고비로 인해 SKT가 KTF에 비해 위기인 것 처럼 노출되지만 크게 변동은 없으며 위의 기본 목표는 달성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한 조직이 1위가 되기 위한 것은 어떠한 것을 빨리 런칭했고 광고비집행을 얼마나 했으냐 보다는 조직 마인드와 그에 따른 프로세스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3. IT 전략

지난해 차세대시스템인 NGM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가동한 SKT는  올해 NGM 시스템을 활용한 서비스 딜리버리 고도화, IT리소스 최적화, 비즈니스 중심의 IT고도화 등을 올해 IT전략으로 수립했다. 우선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EA) 구축을 위해 5개 전략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EAMS(EA 관리시스템), 비즈니스 모니터링 및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또한 비즈니스 메타 데이터 개념 구체화를 위한R&D도 수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자사의 마케팅 전략인 ‘T-브랜드’ 전략을 구현하기 위한 T 워크플레이스 구축 및 UI 표준화, Web 2.0 적용 및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구축할 방침에 있어 업계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아래 자료는 SKT 파트너온캠프에서 SKT가 발표한 자료이다. 전반적인 IT 전략에 대해 중요한 내용만 모은 것으로 좋은 참고가 될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데이타 사업

현재 오랜 정체기를 보내고 있는 데이타 사업의 탈출구로 SKT는 더이상 BP에게 기대를 하고 있지 않는 눈치이다.
SKT가 2007년에 기대를 걸고 있는 데이타 사업으로는 멜론, 싸이월드, DMB이다.
멜론은 현재 월정액 가입을 기준으로 해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2006년에는 8백만명이 가입이 된 것으로 추정하며 약 700억 정도의 매출을 가진 것으로 발표되었다. SKT는 적은 비용으로 많은 이익을 얻은 대표적인 서비스로 보고 있으면 멜론의 상승세를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모바일 싸이월드는 계열사의 시너지를 노리며 2006년에 530억 정도의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TU의 DMB 는 2006년 11월 현재 약 900,000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위 3가지 서비스를 2007년 주요 데이타 사업으로 선정한 SKT는 결국 자회사 끌어안기 식의 정책이라는 비난을 벗어나지 못할 듯 하다. 이제는 빛을 잃어가는 싸이월드와 다양한 미디어에 밀려 고전을 면치못하는 DMB로 2007년에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자명하다.

아울러 SKT는 BP들 관리에 대해서는 작년에 전사적으로 실시하려고 했던 BP 몰이 무산됨으로 해서 BP 수를 점차적으로 줄여가는 듯 하게 보인다. 화보 BP수를 줄일려고 하는 것도 이러한 맥락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5. 브로드밴드

"HSDPA"와 "WiBro"는 둘다 놓칠 수 없는 두마리 토끼인 듯 하다. 일단은 HSPDA에 치중하는 모습이다. HSDPA를 전국에 서비스를 하고 화상 전화, 글로벌 로밍,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을 타겟으로 하여 새로운 벨류를 만들어보겠다고 한다. WiBro는 좀 더 나중을 보되 올해 계획은 Hot Zone내에서 고속 데이타 서비스와 이동이 잦은 데이타 Heavy User을 타겟으로 1차적 접근을 해보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6. 해외 사업

작년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해외사업의 의지는 계속된다. SKT의 해외 사업은 파트너와 자회사들과 같이 유지된다. 베트남의 S 텔레콤, U.S의 HELIO, 중국의 차이나 유니콤 등이 그들이다. SKT는 비즈니스 지원 부분은 영역을 신규 사업영역, 핵심 업무영역, 전사 지원 영역, 보안 영역으로 나누고 있는데 해외 사업에 관해서는 신규 사업 영역에서 담당하기로 되어 있다. SKT의 앞선 기술과 서비스를 해외에 접목을 할려고 하지만, 역시나 작년과 뭐가 다를까 싶다.
2007/03/19 19:06 2007/03/19 19:06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이동통신사들은 2007년에는 차세대에 목숨을 건듯 하다.
SKT는 이미 가동 중인 "NGM"을 KTF는 "NSTEP", LGT는 "차세대 CSBS" 라는 각각의 시스템을 안정화 및 다음 단계 개발을 가장 큰 주요사업으로 보고 있다. KT의 경우도 현재 개발에 착수는 하지 않고 있지만 차세대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준비작업을 2007년도 주요사업으로 보기는 마찬가지이다.
이는 급변하는 모바일 시장에서의 다양한 요금 정책과 그에 따른 빌링, CRM 등을 발빠르게 소화하고 HSDPA의 서비스와 발 맞추어 IMS 도입등에 대한 준비를 하기 위함으로 보여진다.

단어가 거창해서 차세대이지 결국 리뉴얼일텐데...
결국 돈 버는것은 계열사 SI 기업들이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시간이 허락한다면(빠져나갈 구멍은 만들어 놓고) 각 통신사의 사업 전략에 대해서 각각 Detail하게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
2007/03/16 14:34 2007/03/16 14:34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내가 사업 기획을 할 때마다 읽고 또 읽고 하는 구절이 있다.
Patricia B. Seybold의 “Customers.com:How to create a profitable business strategy for the internet”이란 책에서 나오는 e-business의 8개의 KFS( Key Factor for Success)이다.

1. Target the right customers- * Know who your customers and prospects are. * Find out which customers are profitable. * Decide which customers you want to attract (or keep from losing). * Know which customers influence key purchases. * Find out which customers generate referrals. * Don't confuse customers, partners, and stakeholders.
2. Own the customer's total experience- * Deliver a consistent, 'branded' experience. * Focus on saving customers time and irritation. * Offer peace of mind. * Work with partners to deliver consistent service and quality. * Respect the customer's individuality. * Give customers control over their experience.
3. Streamline business processes that impact the customer- * Start by identfying the end customer. * Streamline the process for key stakeholders. * Continuously improve the process based on customer feedback. * Give everyone involved a clear view of the process.
4. Provide a 360-degree view of the customer relationship- * Provide one-stop shopping for the customer. * 'Remember' everything your company know about the customer. * Ensure that everyone in the company has access to the complete customer picture. * Put an underlying technical infrastructure into place to provide a 360-degree view.
5. Let customers help themselves- * Let customers help themselves to information and perform transactions on-line. * Let customers interact using whatever media they choose. * Give customers the ability to design their own products.
6. Help customers do their jobs- * Develop a deep understanding of how your customers do their jobs. * Continuously refine your business processes to make it easier for your customers to do their jobs. * Give customers direct access to your inventory. * Gve customers the ammunition and tools they need to make purchasing decision. * Prepare bills the way your customers need them. * Make it easy for your customers to satisfy their customers.
7. Deliver personalized service- * Develop a warm, personal relationship with each customer. * Let customers specify and modify their profiles. * Custom-tailor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offers based on customers' profiles. * Provide appropriate service and information based on customers' needs. * Give customers access to their transaction histories. * Encourage customers to 'leave something of themselves behind.'
8. Foster community- * Seduce customers into the fold. * Introduce customers to others with common interests. * Introduce and reinforce common terminology and values. * Let customers 'strut their stuff.' * Encourage customers to become part of the 'in crowd.'
Finally, she writes, "I strongly recommend starting with the first success factor, targeting the right customers. If you don't start there, the rest of the factors may be well executed, but you'll be wasting time on the wrong customer population. After that, however, there are no hard-and-fast rules to decide which success factor to work on next. Indeed, most of these factors are interrelated, and you'll find, as you begin to focus on one, that you've gone a long way towards finding solutions to others."

한국말로 굳이 번역을 하자면 아래와 같다.

1. 고객을 올바로 Targeting하라
2. 고객들의 경험을 완전히 소화하라
3. 고객에게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모든 Process를 고객 중심적으로 일관되게 재정비하라
4. 기업전반에서 벌어지는 고객과의 관계에 대한 총체적인 시각을 제공하라
5. 고객들이 필요한 일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만들어라
6. 고객들이 하는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라
7.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라
8. 고객들로 구성된 커뮤니티를 구축하라


사업 성공 요소의 중심은 모든 경영 활동이 철저히 고객 중심적이 되는 것이며, 이를 근간으로 전략, 프로세스, 기술 및 조직 측면에서 세부 항목들을 도출한다. 모바일 산업과 인터넷 비즈니스는 매우 유사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그것은 고객은 End User만 있는 것이라 아니라 통신사라는 VIP 고객이 있다는 것이다.

나는 꿈꾼다....
통신사가 고객이 아닌 모바일 왕국을........
2007/03/15 20:40 2007/03/15 20:40

<DIV style="mso-line-spacing: '150 50 0'; mso-margin-left-alt: 58; mso-char-wrap: 1; mso-kinsoku-overflow: 1; mso-word-wrap: 0">내가 사업 기획을 할 때마다 읽고 또 읽고 하는 구절이 있다.<BR>Patricia B. Seybold의 “Customers.com:H..

안병태

우연찮게 알게되어서 꾸준히 들어와서 소중히 써주신 글 항상 잘 읽고 갑니다. 비록 모바일쪽에 종사하지는 않지만 관심이 있어서 도움이 아주 크네요. 이 글도 저에게 정말 많은 도움이 되는 글입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STF

대단하시네요 우연히 서핑하다 들어오게 됐는데 몇개 읽어봤지만 담당하고 계시는 일에 상당한 캐리어를 가지고 계시는 것 같읍니다. 모 이통사에 엔지니어로 있음니다만 귀분의 글들이 앞으로도 많이 도움이 될것 같읍니다 감사합니다

mobizen

이 업계에서 꽤 오래 일을 하면서 생긴 직업병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XX텔레콤입니다.
고객님의 전화를 최신형 핸드폰으로 바꿀 수 있는 기회가 있어서 전화드렸습니다"

라는 스팸(?)전화에도 XX 텔레콤입니다. 라는 단어를 듣는 순간 긴장이 되고 말투가 공손해지는 병입니다.

이통사에 계시다고 하시니 약간은 조심스러워지네요.. ^^
다행이도 엔지니어시라니 입발린 말씀은 안 드리겠습니다.
제 블로그를 통해 조그마한 CP업체들의 고충이나 생각들이 조금이라도 전달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그럼.. 종종 방문해주셔서 의견 남겨주세요~

Posted
Filed under 블로그 일반

원래 하던 업무 하는 짬짬이 시간을 내서 기획서를 3일만에 끝냈다.
실제로 기획서를 만든 시간은 하루 반 정도인 듯 하다.
회사 일임에도 공식적인 업무가 아니라 눈치가 많이 보인다.
시간이 시간인지라 부족하지만 Concept은 명확하게 정리했다.
받아들일지 말지는 윗사람에게 달렸는데...
워낙에 정치성향이 강한 회사라....
가능성은... 10%.. ^^

후..................
이거 하게 되면 진짜 사고인데....

2007/03/15 20:31 2007/03/15 20:31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자료도 의외로 찾기 힘든 자료이다.(이제는 모두들 알겠지만 위의 그림은 클릭해서 봐야 원래 크기대로 볼수 있다.) 컨텐츠 산업이 가지고 있는 흐름이나 헤게모니 등을 분석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이다.
워낙에 오래 전에 정리한 자료이라 어떤 자료에서 출발해서 수정을 했는지는 기억이 나지를 않으나 기본 자료에서 내가 약간 수정을 해본 것이다. 국내 이통사에서 주로 쓰는 국적 불명의 MCP, BA, BP, TA, SP 등의 정리를 하지 않았다. 하지만 국내의 관점에서 보면 그러한 요소들도 나름대로 의미가 있을 듯 한데 그 부분을 추가를 해서 다음번에 함 정리를 해볼 필요는 있겠다.

예전에는 모바일에서 그 의미가 무척이나 약했던 퍼블리셔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해지고 있고..
모든 것을 우선해서 모바일 컨텐츠의 흐름에서 중요한 것은 모바일 네트워크 사업자 즉, 이동통신사를 거치지 않고서는 현재로서는 사용자에게 다가설 수 없다는 것이다.
단, 하나의 예외가 있다면 디바이스 제조업체를 통하는 것이다. 내가 요즘 고민하는 요소이다.
단순한 내장형 외의 컨텐츠를 딜리버리 하는 방식은?

기술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문제는 이통사들의 견제와 벤더들에게 주어야할 미끼이다.

벨류체인이 중요한 이유는 저 안에 흐름과 더불어 정치적, 사업적, 경제적인 요소가 다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Walled Garden 안으로 들어가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접근하기에는 좀 덩치가 크다면 벨류체인의 헛점을 잘 생각하고 이용을 해야 한다. 말이 쉽다고? 맞다... 어렵다... 쉽다면 재미 없겠지.. ^^
2007/03/14 01:18 2007/03/14 01:18
청년카이

1.MCP(Master CP) : 다수의 CP(contents provider -컨텐츠 공급자,업체)를 관리하는 지위에 있는 업체,역할. 이통사,포탈서비스업체 산하에서 컨텐츠 중계/관리/유지보수/마케팅 등을 주로 대행하는 일을 하며, 운영비를 받거나, 발생하는 매출의 일부를 Share형태로 받아가는 것으로 수익모델을 삼고있음.
2.BA(Business Assistant) - LG텔레콤에서 MCP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됨.
3.BP(Business Partner) - 주로 SK텔레콤에서 서비스,컨텐츠 등을 제공하는 협력업체를 지칭하는 말임. CP성격을 띄고있으며 유사어로 생각됨.
4.TA(Technical Assistant) - LG텔레콤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로써, 개발/기술적인 부분에서의 지원을 담당하는 MCP라고 보면 될것임. MCP 라기보다는 개발총괄협력업체의 성격일수도 있음.
5.SP(Service Provider)- SK텔레콤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인것으로 보이며, BP와 유사하지만, 좀더 상위의 개념일수도 있음. 단순한 컨텐츠 제공을 넘어서 총체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위에 있다고 생각하면 편할듯...

이상입니다.

mobizen

감사합니다.^^
근데.. 포스트의 주제가 Role Define이 아니라..
Value Chain 인데...

3번 BP의 경우는 제 포스팅 http://www.mobizen.pe.kr/49 를 참고를 하시면 좀 도움이 되실 듯..

Posted
Filed under 블로그 일반
저번 포스트때 이야기 한 일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분이 몇분 계시는 듯 하다.(으음.. 진짜??)
그래도 가끔 어떤 일이냐고 묻는 분들이 계셔서리....
말 안해도 될 듯 한데 굳이 이야기 하자면(자꾸 뜸들이는 것은 쑥스러워서...)

일단 Draft 수준으로 해서 기획서를 작성 중이다..
지금 근무하는 회사가 규모는 크지만 컨텐츠에 대한 경험이 없어서리 그냥 일반적인 방법으로만 컨텐츠를 접근하려고 했다.
그래도 규모가 있으니 이통사에 누구누구를 불러서 어쩌고저쩌고...
아무리 생각해봐도 그렇게 접근하면 몰락이다.
할까말까 고민할 시간도 없이 그렇게 접근하면 안된다고 부랴부랴 말리고 정리해드리겠다고 해버렸다.
MindMap 으로 정리를 대충 한 후 20% 정도 작업은 했고 전체적인 윤곽은 머리속에서 도는 상황...
Detail한 기획서 수준으로는 만들 생각이 없다.

저번에도 이야기 했지만 사업 아이템이나 영업력의 문제는 아니다..
조직의 성향과 컨텐츠에 대한 이해를 회사에서 하느냐인데...
솔직히 굉장히 부정적이다.
일단 찔러보고 대충대충 한다고 할거면 안한다고 할련다.

만약에 Drop 한다면 작업한 기획서는 공개할 수 있는 부분은 공개할 생각인데...
보안 문제가 있어서 가능할련지 모르겠다.. ^^

그래도.........간만에 일다운 일하는 기분은 들고...
이 시간에도 머리는 돌아가네... 난 역시 컨텐츠 체질인가.......................
2007/03/14 00:56 2007/03/14 00:56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국 휴대폰, ARS 결제 중재센터에서 2006년 9월 1일부터 2007년 2월 28일까지의 데이타를 모아 발표한 자료이다.
다른 수치에 비해서 자동결제에 대한 불만이 아주 심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자동결제라고는 하지만 알게모르게 요금에 대한안내멘트를 흘리듯 보내주고 과금을 해버리는 거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동결제라고밖에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
무선망요금하고 무료이벤트에 대한 민원이 의외로 작은거에 약간 놀랍다.

모바일 컨텐츠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심어지는 원인 중에 가장 심각한 고질병이다.
올바름 컨텐츠 문화와 모바일 결제에 대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서비스 주관 업체에서 버려야할 마인드이다.
2007/03/12 19:11 2007/03/12 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