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원고 및 발표자료
얼마전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으로 부터 원고 청탁을 받았다. 원하는 내용은 국내 모바일콘텐츠시장의 환경분석과 문제점, 한국 모바일콘텐츠산업 성장을 위한 과제 등이었다. 정부 기관이니만큼 지겹도록 나오는 요금제 문제와 이통사 중심의 폐쇄적인 산업 구조의 문제점을 답습하기보다는 정책과 지원에 대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접근하여 글을 썼다.

해당 원고는 해당 기관의 뉴스레터지인 '팝콘' 15호에 개재되었으며, http://www.gdca.or.kr/ 에 방문하여 좌측 하단에 있는 '팝콘'의 글을 보면 다운 받을 수 있다. 조금 쉬운 접근을 위해 해당 과월호를 아래에 게재한다. mobizen의 원고는 3페이지부터 4페이지까지이다.

인쇄용으로 만들어진 문서이기 때문에 모니터로 보기에는 다소 불편할 수 있다. 불행히도 제공되는 pdf는 편집과 인쇄가 금지되어 있다. 기고했던 원문을 올리거나 인쇄 가능 문서를 올리는 것은 해당 기관의 정책에 위배되는 것 같아 제공할 수 없음을 이해바란다. 원고를 보기 위해서는 Full Screen Mode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읽기 바란다.



2009/11/25 08:16 2009/11/25 08:16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전세계 IT시장의 모바일에 대한 관심은 갈수록 높아가고,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을 하는데 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는 듯 하다. 과연 세계 속의 모바일의 현주소는 어느 정도 일까 몇몇 데이터를 통해 정리해보도록 하다.

먼저 보급률 추이는 2009년에는 66.7%, 2013년에는 87.9%에 이를 전망이다. 서유럽 시장은 일치감치 Second Phone의 발달로 인해 120%를 넘겼고,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하여 보급율은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의 경우는 인터넷 보급율(22.6%)에 비해 휴대폰 보급율(41.6%)이 훨씬 높은 현상을 보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로 인해 모바일 수익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이다. 2011년부터 강하게 회복되기 시작해 2014년에는 1조114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음성 매출는 2014년 글로벌 모바일 수익의 69%을 차지하며 여전히 데이터 매출보다 큰 수익을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다면, 차세대 단말임을 일치감치 인정받고 있는 Smart Phone의 성장은 어느 정도일까? 09년 Feature Phone은 -10% 성장하는 치욕적인 해를 보내고 있으나, Smart Phone은 3.4%나 성장할 전망이다. 2010년 Smart Phone은 22.2% 정도 성장할 것으로 모두들 낙관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Smart Phone의 성장을 비롯하여, 앱스토어의 성공, Full Browsing등의 영향으로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수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트랜드는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아태지역을 이끌고 있으며, 서유럽쪽도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5년 동안 모바일 트래픽은 66배 성장' 포스트에서 언급을 했듯이 이러한 무선 인터넷 시장의 성장으로 세계 모바일 트래픽은 향후 5년 동안 연평균 131%의 성장하여, 2013년이면 현재의 66배 규모인 매월 2엑사바이트(EB, 1024의 6제곱 바이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별로는 역시 아시아태평양과 서유럽이 가장 높아 전체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11/24 08:29 2009/11/24 08:29

2009년 전세계 모바일 시장 규모 추이 http://ff.im/-bZDXG

2009년 전세계 모바일 시장 규모 추이 http://bit.ly/6nLc3o (via mobizenpekr님)

Twitter Peek 이라는 사이트에서는 Twitter 전용 단말기를 판다고 합니다. Twitter Peek - The World's First Dedicated Twitter Device 세계에서 처음으로 Twitter에 충실한 장치라고 홍보를 하군요. $199.99 를 내면 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