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KT를 끝으로 09년 3분기 이동통신사 분기실적이 모두 발표되었다. SKT는 매출 3조567억원, 영업이익 6천188억원, 당기순이익 4천15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 대비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증가하였다. KT는 매출 4조8212억원, 영업이익 4131억원, 당기순이익 3514억원을 각각 기록했으며, 무선 사업의 호조로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13.7%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1.7$ 감소하였다. LGT는 3분기 매출액 1조2천715억원, 영업이익 1천111억원을 기록하였고,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5.64% 늘었고, 영업이익은 9.61% 줄었다.

전반적으로 년초에 우려되었던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양호한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SKT가 가장 좋은 실적을 보여주었지만, 애널리스트들의 최근 보고서에서는 KT와 LGT의 강세를 점치는 내용이 많아 묘한 괴리감이 느껴진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통3사의 분기실적 자료를 기준으로 국내 이동통신 시장을 전체적으로 리뷰해보고자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09년 9월 현재, 가입자 기반 시장 점유율은 SKT가 50.6%, KT가 31.3%, LGT가 18.1%를 차지하여, 큰 변화가 없는 상태이다. 국내 전체 가입자 수는 47,660,065명이다. 참고로, 이 수치는 계정의 숫자로 명확하게는 가입자수와는 조금 차이가 있다. 요즘은 Second Phone의 사용도 늘어나고 있고, 법인 사용폰도 많아지기 때문인데 이러한 수치조사에 대한 변화에 대해서는 따로 정리를 해서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ARPU 추이를 보면 여전히 SKT가 4만원대를 유지하고 있어 격차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전반적인 추세를 보면 SKT는 소폭의 하락세이고, KT와 LGT는 소폭의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평균은 이통사별 가입자 M/S의 가중치를 준 것으로 아주 정확한 수치는 아니나 큰 오차는 없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분기 국내 이통사들의 무선인터넷 수익은 약 1조가 약간 못미치는 규모를 만들어 냈다. 무선 인터넷 수익만으로는 SKT가 66.33%, KT가 25.12%, LGT가 8.56%를 차지하여 가입자 기반의 M/S와는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OZ를 통해 계속 성장하고 있다는 LGT의 규모가 아직은 미약함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선 ARPU 추이를 보면 이러한 격차가 얼마나 큰지 더 확연히 알 수가 있다. SKT는 9천원대, KT는 6천원대, LGT는 4천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LGT는 전년동기대비를 보면 엄청난 성장을 했지만, 가입자 기반이 약해 시장파괴력이 아직은 작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체 ARPU에서 무선 ARPU가 차지하는 비중의 추이를 그래프로 구성해보면 위와 같다. 올해 1Q에 급증한 뒤로 소폭의 상승을 보이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25%까지 가주었으면 하는 바램이지만 아직은 먼 이야기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나쁘지 않은 이동통신사 성적표와는 대조적으로 국내 단말 판매량은 급속히 냉각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는 과도한 마케팅을 방통위에서 제재하면서 010 신규 판매량이 급감한 탓이다. 09년 10월 판매량은 약 158만대 정도로 올해 1월에 판매되었던 219만대와 비교하면 매우 적은 수치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09년 10월, 제조사별 M/S를 보면 삼성이 과반수 이상, LG전자가 24.22%, 팬택계열이 14.06%을 차지하고 있다. 삼성이 이렇게 높은 점유율을 가지게 된 것은 LG전자의 점유율을 많이 뺏어온 덕분인데. 콤팩트 GPS폰(SPH-W8400), 매직홀폰(SPH-W8300), 연아의 햅틱(SPH-W7700, SCH-W770)과 같은 모델들이 10월에 집중 판매되고, 반면에 LG전자는 아이스크림폰(LG-LH5000)을 제외하고는 국내에 큰 히트 상품이 없었다.
2009/11/05 08:25 2009/11/05 08:25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산발적인 요금제 인하 발표

지난 9월, '이동통신요금, 그 끝없는 논쟁' 시리즈 이후 이동통신사들은 새로운 요금제들을 하루가 멀다하고 발표하고 있다. 다양한 보도자료를 통해 접하는 사용자들은 상세한 인하 항목에 대한 이해가 힘든 상태에서, 어렴풋이 '요금이 인하되고 있구나' 라는 긍정적인 인상만을 받고 있다.

방통위와 시민단체들의 압력을 시작으로 해서 최근 이통사들의 요금제는 파격적인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고, 일부 사용자들은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통사들이 언론을 통하여 떠들어대고 있는 수치만큼 실질적인 요금 인하의 효과가 있는지는 약간의 의문이 든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요금제에 대한 많은 인사이트를 보유하신 saint님의 자료를 기반으로 최근 요금제의 변화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SKT 요금제 변화

▲ 무선인터넷 신규 정액제 출시
정액제의 경우 현행 요금제 대비 동일 요금에 무료 데이터 이용량을 1.8~11.9배 확대한 안심데이터100/150/190 요금제를 준비 중이다.
월 정액 10,000원으로 50MB(기존 28MB), 15,000원으로 500MB(기존 42MB)의 무선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고, 월 정액 19,000원으로는 1.5GB의 데이터량(기존 23,500원에 1GB)을 이용할 수 있다.

- Source : 2009.09.28 SKT 공식보도자료

위는 9월 28일, SKT에서 공식으로 발표된 보도 자료 내용 중 무선인터넷 정액제 관련 내용이다. 얼핏보면 대단한 요금 인하를 하고 있는 것 처럼 설명하고 있다. 상세 항목을 좀 더 알아보도록 하자. 보도자료 중의 '기존 28MB'는 '데이터퍼펙트정액제'로 소용량 멀티미디어 기준으로 10만원 분량(1.75원/packet)이 28MB라는 것을 말한다. '기존 42MB'는 '데이터이월정액제'로 소용량 멀티미디어 기준으로 15만원 분량이 42MB라는 이야기이다. '기존 23,500원에 1GB'는 인터넷 직접접속 전용인 'Net1000 요금제'를 이야기 한다.

신규 정액제를 기존 요금제와 비교하면서 데이터퍼펙트정액제, 데이터이월정액제, 인터넷 직접접속 요금제와 같이 아무런 기준 없이 입맛에 맞추어 엄청난 요금 인하인 것 처럼 포장하고 있다. 특히, 마지막 '인터넷 직접접속 요금제' 부분은 다소 황당한 비교이다.

SKT는 요금제의 간략화를 위해 11월과 내년 1월, 두차례에 걸쳐 현재 운영되고 있는 요금제 중 28가지를 중단하기로 했다. 11월 2일에는 7개의 신규 요금제를 발표했는데 해당 내용은 아래와 같다. 내용을 보면 장기고객과 우량고객만을 위한 요금제들이다. 일반사용자들에게 실질적인 체감이 얼마나 인하효과가 있을지는 개인적으로 부정적이다.

새로 내 놓은 7개 요금제는 △장기가입자를 위한 ‘우량고객 요금할인 프로그램’ △소량 사용자를 위한 선불요금제(PPS) 혜택 확대 △초다량 사용자를 위한 ‘넘버원 요금제’ △청소년 가입자를 위한 ‘팅PLUS요금제’ 등 ‘맞춤형’ 요금제 4개와 △무선인터넷 이용 혜택을 대폭 강화한 ‘안심데이터’, △음성·문자·데이터를 통합해 이용할 수 있는 ‘올인원 요금제’ △WCDMA(3G)와 와이브로(WIBRO)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통합 요금제 등이다.

- Source : 전자신문

SKT의 최근 요금제 인하 정책은 간략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사용자들을 용량별로 Segment하여 적용시키고 있어 해당 요금제에 가입하지 않는 사용자들에게는 실질적인 인하 효과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언론에 보도되는 무선 데이타 요금 인하 효과는 기존 서비스와의 비교가 매우 과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나마 일반 사용자들이 다가서기 쉬운 '올인원' 요금제마저 음성은 배제되어 아쉬움을 더한다.



KT 요금제의 변화

KT는 또,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고객의 혜택을 확대하기 위해 월정액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적용되는 무선데이터요율을 88%(패킷당 2.01원→0.25원) 대폭 인하할 예정이다.

아울러, 월정액 이용 고객에게 적용되는 무료 사용량을 확대해(50원/MB→20원/MB, 60% 인하효과), 고객들이 동일한 요금수준으로 더 많은 용량의 무선인터넷을 이용하게 돼 최대 62%의 요금 절감효과를 얻게 될 전망이다.

- Source : 프라임경제(09. 10. 27)

위는 9월 28일에 각 언론사에 실린 KT 요금제 관련 기사 문구이다. 프라임경제에서 가져오기는 했지만 모두 KT의 보도자료를 통한 대동소이한 기사들을 실었다. KT역시 SKT 못지 않은 언어의 마법사이다. KT의 종량요금을 88%인하한 것은 사실이지만, 문제는 정액제에 있는 '50원/MB→20원/MB, 60% 인하효과'라는 문구이다.

얼핏보면 스마트폰 월정액 요금제를 50원에서 20원으로 낮추어서 60%를 인하한 효과를 준것처럼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야기 하는 50원/MB는 월 10,000원인 '쇼데이터상한요금제'로 기존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월 200MB Traffic을 제공하였다. KT는 이번에 이를 요금 인하를 한 것은 아니고 Traffic 용량을 500MB로 늘려주었다. 기사 내용 문구를 따져보면 틀린 말한 것은 아니지만, '인하효과'라는 단어는 고객들에게 오해를 주기 충분하다.

또 일반폰의 무료데이터 통화량을 3배 증가(3만원→10만원)해 적용하고 넷북, PMP 등 데이터 전용 단말을 2회선 이상 이용할 경우 2회선부터는 가입비와 기본료를 면제키로 했다.

- Source : 아이뉴스(09. 9. 28)

또한, 3배 증가된 일반폰 요금제는 월 10,000원의 '데이터 완전자유 요금제'로서 무료 월 30,000원 분량 제공하던것을 10만원으로 상향 조정된 것이다. 결국 KT의 데이터 요금제 변화는 스마트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요금인하보다는 용량 추가를 해주고 있다. Feature 폰의 경우 일반 데이터 요금제에는 변화가 전혀 없으며, '데이터 완전자유 요금제' 가입자만 용량 추가를 해주었다. 결국, mobizen과 같이 일반폰에서 풀브라우징을 즐기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게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는 이야기이다.



소비자를 우롱하는가?

여러차례 견해를 밝혀왔지만, 이통사의 요금제는 어디까지나 기업 전략에 의해 결정될 문제로 소비자들이 요구 할 수 있으나, 정부 주도형으로 이루어 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론에 떠밀리어 이와 같이 흉내만 내거나 '언론플레이'를 통해 과대포장하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 그동안 이동통신사들이 얼마나 소비자들은 우습게 여기고 있으며, 고객 위에서 군림하려고 하는지에 대한 자세를 그대로 알 수가 있다.

mobizen은 현재 개인적으로 정부 몇몇 기관의 정책실무위원회나 자문위원회 활동을 하고 있다. 관련 회의에 참석해보면 항상 나오는 이야기가 바로 '요금'에 대한 이야기이다. 관련된 회의에서 mobizen은 정부주도 요금제 인하 압박에 대해서는 반대를 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요금제 역시 표준화하고, 시장 경쟁을 붙히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이통사별로 천차만별인 고지서 항목을 단일화 하고, 해당 고지서에 대한 내용을 누가 봐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만들고, 이를 Open API과 '사용자 선택'에 의해 공개되어야 한다. 해외처럼 3rd Party 사업자들이 고객의 고지서를 '동의'를 거쳐 분석하고, 사용 패턴에 맞는 다른 이통사나 요금제를 안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조금은 돌아가는 방법이지만, 이러한 자유 경쟁을 유발시키는 것이 장기적으로 고객 합리적인 요금제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환경임을 믿는다. mobizen은 관련되어 있는 정부 기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 이슈를 문제제기 할 생각이다. 이통사들이 요금제 관련해서 최근들어 접근하는 'Simple is Good'만이 해답은 아니기 때문이다.

아래는 이번 포스팅에 많은 참고를 한 saint님의 11차 MWAC 발표자료이다. 관심있게 보시고, 많은 정보를 얻기를 바란다.


2009/11/04 08:26 2009/11/04 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