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어제(9월 29일) 오후 5시쯤 참으로 오랜만에 블로그가 트래픽 초과로 인해 서비스가 중지가 되었다. 호스팅 업체에서 구글 크롤러를 Block하기 전에는 종종 있었던 일이지만 하루 평균 방문자가 600명 미만이 된 지금에 와서는 참으로 오랜만에 있는 일이다. 대략 5개월 정도만에 생긴 일이다.

하지만 뚜렷한 포스팅도 없었고 해서 이상하다고 여겼지만 회사 업무때문에 바쁘다가 이제와서야 원인을 찾아보았다. 리퍼러를 보니 '2008년 팬택 계열 국내 판매량 추이' 포스팅에 유입이 급증되어 있고, 대부분은 국내 포탈에서 '팬택' 또는 '팬택 계열'로 검색해서 들어온 트래픽이다. 오늘 팬택이 무슨 특별한 일이 있는 것도 아니고, 왜 그럴까 포탈의 검색 결과를 보았다.

원인은 한 취업 사이트에 '팬택 계열'에서 이번에 뽑는 구인 정보가 소개되었고, 그와 함께 팬택 계열의 연봉 정보가 공개되었기 때문이다. 해당 사이트는 '사람인'이며, 소개된 팬택 연봉 정도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개된 정보는 '2006년'에 해당하는 정보이며, 2006년에 저 정도이니 지금은 더 높을 것이라며 모두들 팬택에 입사 지원을 하자고 호들갑이다. 구직에 어려움을 겪는 예비 취업자들에게는 정말 군침을 흘릴만한 기업 정보이다.

상장 폐지까지간 회사의 연봉이 정말 저렇게 높을까 싶지만, 불행히도(?) 저 정보는 사실에 근접한다. 현재 팬택의 신입사원 초봉은 약 3,300만원 정도이며, 전임 1년차일 경우 약 4,200만원이고, 선임 1년차는 약 5,100만원 정도 수준이다.

단말쪽의 개발이 고도의 알고리즘 스킬을 요하거나 신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거의 없지만, 다양항 플랫폼과 외부 API을 재빠르게 포팅을 해야 하므로 순발력을 많이 요한다. 게다가 팬택의 경우 9시 칼출근에 하루 평균 12시간정도 일해야 하며, 장기 출장이 잦은 것은 각오해야 한다. 하긴 단말쪽 일이 다 그렇지만..

그나저나 국내 3위업체 연봉이 일케 높은 것도 기이한 현상이다. 부럽네...
2008/09/30 11:05 2008/09/30 11:05

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 팬택 계열의 연봉 정보 많이 주네

1111

팬택에 지금 파견 나와 물어보니 신입은 맞는데
대리는 좀 내려야 할거 같네요.

1111

연구원이면 대충 맞을듯

mobizen

ㅎㅎ 제 정보를 못 믿으셨나 보군요...

우주멸망

우왕ㅋ 캐부럽네요.

mobizen

기업이 주는 만큼 부려먹을테니, 따지고 보면 그게 그거지만 부러운 생각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죠.. ^^

ahaman

(제가 아는 삼성 다니는 이들을 보면)
12시간 근무면... 그래도 생각보단 낳네요. ㅎㅎ

mobizen

어느 조직이나 장점과 단점이 있겠죠... ^^

애니빌리

었어요. 뿌쩍^__^ 그 이유랍니다. 자주 뵈요

hopsky

ㅋㅋ 맞아여 ~ 주는 만큼, 받아야 하는거죠.~

mobizen

세상의 원리가 그런거 겠죠? ^^

JJ

팬택 최고입니다.
직원들 능력도 대단하지만, 분위기도 최고입니다.

엘지와 삼성 팬택을 놓고 본다면, 근무 스트레스나 환경 면에서는 팬택이 훨씬 앞서요.

cocor

신입연봉 3000인데.... 대리님들은 비슷하거나 좀더 높다는..

..

우리 누나 과거 연봉 2년 동결에..대리 2년차..세전 4500받습니다..
거의 정확한 데이터군요.

old pt

2006년 데이타라고 해도, 그당시에도 저거보단 더 높았던거 같은데요?

kurt

2006년까지 잘나갈때고, 워크아웃되고 좀 낮아졌다는~
그리고 직급별 연봉은 비스무리한데, 직급바뀔때까지 연봉이 안오른다는..

ㅇㅁㅁㅇ

현직자입니다~거의 일치하네요 허나 이것저것 합치면 위에 기본급보다는 연구원의 경우200~300정도 더 많아요 ㅎ 그 위의 직급분들은 뭐...더 받으시겠죠?

나야

현직자인데요.. 신입 3100, 대리 4100, 과장 5000

그런데, 최근 몇년동안 추가로 보너스를 평균 400정도 받았습니다.(대리금 기준)

참고하세요.

1234

팬택 워크아웃이니 뭐니 힘들어도 힘든가운데서도 직원들 복지에 대해선 최대한 신경써주는 회사라던데....일해보고는 싶네요...ㅋ

PANTECH

2011년에 연봉인상됬다는 ㅋㅋㅋ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얼마전 KIPA에서 나온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 부상하는 모바일 검색' 이란 보고서를 읽었다. 보고서의 제목을 접하자 참 재미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보고서 작성자가 의도하면서 언급한 내용인지는 모르겠지만, '서비스'로 분류되던 '검색'을 어플리케이션으로 표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언제부터인가 어플리케이션은 '웹 어플리케이션'이란 이름으로 브라우저 안으로 들어가려고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 반면, 브라우저안의 html 과 Java Script로 이루어졌던 '웹 서비스'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역시 플랫폼 통합과 융합의 현상 중에 하나이며, 이 중심에는 '모바일 검색'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검색'의 어플리케이션화에는 요즘의 '플랫폼 전쟁'이 한 몫을 하고 있다. 새로운 플랫폼들이 등장하고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활성화되면서 '검색'을 어플리케이션화하고, 폰 디바이스에 있는 자원과 연동하여 '브라우저 검색'과의 차별화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웹 서비스'와 '어플리케이션'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여러 요소가 있겠지만 핵심만을 볼 때 아래와 같이 정리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적절히 살려서 하나의 제품(Product)가 '웹서비스'가 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되곤 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장점은 역시 즉시성과 카메라, GPS 등 휴대폰 단말의 장비와 연동할 수 있는 것이다.

'미래형 모바일 검색과 현실사이' 포스팅을 한지 반년 정도가 흘렀다. 조금 과장을 하자면 요즘 모바일의 6개월이면, 웹에서 6년 정도는 되는 듯 하다. 플랫폼의 융합, 벨류 체인의 파괴, 새로운 에코 시스템의 구축 등이 정신없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모바일 산업의 변화는 새로운 기회 요인 앞에서 기존 서비스의 틀을 깨고 있다. 불과 6개월 전에 현실과 괴리감을 느끼던 아이디어들이 제품이 되어 눈앞에 나타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하였던 어플리케이션의 장점 중에 모바일 검색은 카메라와 GPS 등과의 연동을 십분 살리고 있다. 이러한 신규 검색 어플리케이션을 몇가지 소개해 본다.


1. CompareEverywhere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당 서비스는 Android와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바로 Android Developer Challnge에 최종으로 남은 10개의 입상품 중에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 검색 어플리케이션은 쇼핑을 하다가 제품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면 인터넷을 검색하여 해당 제품의 가격 비교 및 제품 리뷰 등을 확인할 수가 있다. 심지어, 해당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그 제품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다른 가게의 위치와 그곳까지 가는 길 안내까지 검색해준다. 해당 제품에 대한 홈페이지는 http://compare-everywhere.com/ 인데, 상용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제품으로 아직까지 별 내용은 없다.


2. Point and Find

모바일 산업의 일인자, Nokia 역시 검색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가장 최근에 내놓은 제품이 바로 'Point and Find' 이다. Nokia 폰에 있는 폰카로 뭔가를 가리키면, 검색 Application이 자동으로 해당 물건을 인식하여 검색결과를 알려주게 된다. 아래 비디오의 경우는 영화 포스터를 기준으로 검색을 하고 있다. 폰카로 영화 포스터를 가리키면 저동으로 그 영화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보여주게 된다. 아직은 실험단계이지만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 한다.




3. Sekai Camera

휴대폰 어플리케이션 업계를 흔들고 있는 'iPhone Impact'은 검색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roess님이 소개했던 'ViPR / evolution robotics'이 있고, 좀 더 발전된 모델로는 'Sekai Camera'가 있다. 아이폰에 있는 폰카를 이용하는 이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를 통해 보이는 사물을 인식하여 정보를 검색하여 준다. 위에서 소개했던 다른 두 어플리케이션과는 다른 점은 단순하게 검색을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신이 정보를 추가하여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 공유의 성격은 확대 해석하면 SNS의 요소로서, 해외에서는 'Sekai Camera'를 'social tagging device'라고 부르기도 한다. 실제로 이 서비스는 단순하게 이미지 인식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GPS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을 검색 매커니즘에 포함시켜 좀 더 정밀한 검색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관련 홈페이지는 http://sekaicamera.com/ 이나 역시 특별한 내용은 아직까진 없다.



초기의 모바일 검색 어플리케이션은 '음성'과의 결합을 시도했었다. 음성 통화를 통해서 일반적인 웹검색을 대신 하거나, 운전과 같이 폰 타이핑을 하기 힘들 때 길경로를 찾아주는 것들이 시도된 서비스들이다. 하지만 사용자들은 이러한 평이한 서비스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최근의 모바일 검색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를 그대로 폰안에 가져오는데 멈추는 것이 아니라, '폰카'를 이용해 이미지를 인식하고, GPS 정보를 통하여 색다른 Social Netwroking을 구축하고 있다. 세상은 모든 Role Define의 영역을 허물고 있으며, '모바일'이 구심점이 되고 있다. 미래의 모바일 검색은 생각보다 일찍 우리에게 다가올 듯 하다.
2008/09/29 19:25 2008/09/29 1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