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업무를 하다보니 외부 테스트를 하거나 시연을 해야 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다행히 Free 무선 AP가 잡히는 곳이라면 별 문제가 없지만 아직까지 무선 AP 잡고, 설정하는 일이 만만치가 않다. 그래서 개인 무선 공유기를 계속 관심을 가졌는데, 대부분 부담스러운 가격이다. 그러다가
Windy31을 찾게 되었다. 홈페이지에 있는 Windy31의 기능은 아래와 같다.
Windy31은 세계 최초로 무선랜카드 + 무선 AP + 무선 Router(3 in 1) 의 기능을 지원하는 USB 타입의 휴대용 무선인터넷 공유기(Portable Broadband Router)로서 하나의 인터넷 회선을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 인터넷 단말기들 (DeskTop PC, WiFi Phone, IP STB, PDA, Note PC, Nintendo DS, PSP 등) 에게 무선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한마디로 무선 공유기와 동시에 무선 랜도 지원을 하는 장치이다. 본인의 노트북이 유선이던 WiFi던 인터넷 연결만 되어있으면 이를 Hub로 무선 AP를 브로드캐스팅 해준다. 가격도 무척 저렴하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면 약 35,000원 정도면 구매가 가능하다. 아래는 해당 제품의 사양이다.
구분 |
기능 |
Wireless LAN |
Standards
|
IEEE 802.11 b/g |
Bus Type
|
USB 2.0 Type A |
Modulation |
OFDM with BPSK, QPSK, 16QAM, 64QAM, (11g) BPSK, QPSK, CCK (11b) |
Data Rate |
1, 2, 5, 11Mbps (802.11b) |
6, 9, 12, 18, 24, 36, 48, 54Mbps (802.11g) |
Security |
64/128 bit WEP Encryption, WPA (TKIP, IEEE 802.1x) And AES |
Drivers |
Windows XP / Vista |
Router |
TX level |
TX power level control |
Security Encryption |
Hardware-WEP(64 / 128bit) |
Power |
power saving station support |
Access |
동시 32대 단말기 접속 |
Protocol |
TCP / IP, NAT, DHCP, PPPoE |
Management |
Windows Based GUI Management |
색은 흰색과 검은색, 오렌지펄 등이 있는데, 검은색을 주문했다. 도착한 제품의 앞면과 뒷면이다. 예상대로 심플한 모습이다.
제품을 개봉하니 구성품 3개가 보인다. 본체, USB 연장 크래들, 사용설명서이다.
크래들을 이용해 노트북 USB에 꽂았더니 자동으로 설치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설치가 끝나면 초기 설정이 시작된다. 약 90초 정도가 소요된다.
90초 후에 기본 설정이 끝나면 아래와 같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뜨고, 사용자 설정을 할 수 있다.물론, 기본 설정으로만 사용하려면 다음 스텝을 필요없고, 사용만 하면 된다.
SSID는 'mobizen'으로 설정하고, SSID를 Hidden으로 설정했다.
AP를 공개해버리면 위험하니, 암호 설정을 하였다. 모바일 기기에서 쉽게 사용하게끔 WEP 으로 하였고, WEP 키 설정을 해놓았다.
메인 화면에서 '적용'버튼만 누르면 이때부터 무선 AP를 사용할 수 있다. 가지고 있는 iPod Touch로 접속하니 무선 Mac이 잡힌다.
사실 회사나 집에도 무선 AP가 있지만 그 많은 무선 기기들의 AP 설정이 쉽지도 않고, 어제는 잘 되다가 오늘은 안되는 경우가 많아서 너무 불편했는데, 이제는 좀 편한히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외부 회의나 워크샵 등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Local Network로 구성을 하기 때문에 WPS는 작동하지 않는다. iPhone이나 iPod Touch 등에서 현재 위치값을 얻어오지 못하는데, 현재 기술로는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이를 제외하고는 대만족이다. mobizen과 비슷한 모바일쟁이에게는 강추인 제품이다.
Comments List
요즘 나오는 핸드폰에 내장된 카메라가...
제가 산 디카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군요 ㅠㅠ
^^ 화소가 그렇다는거죠.. ㅎㅎ 화소가 아무리 높아도 화질 자체는 디카보다 못할 거예요~
디카와 핸드폰의 카메라 기능에 대한 글이 있어, 사이트 링크합니다.
http://sporer.tistory.com/tag/휴대단말기동향?page=3
정보 감사합니다.
그래프 해석이 좀 이상하네요 ㅋㅋㅋ
2004년도 628M, 2009년도 968M는 전체 휴대폰 수를 말하는 군요
확인하고 수정 하시길..
ㅎㅎㅎ 그래프 해석이 이상하지 않습니다.
628 M 핸드폰이 카메라를 내장하였고 -> 628 Million 핸드폰이 카메라를 내장하였고
입니다.
개인적으로는 ㅋㅋ님 말씀이 맞는거 같습니다.
2004년에는 628M * 28% = 1.7억대
2009년에는 968 * 89% = 8.6억대
다만 전체폰의 비중이 9.6억대로 잡은건 좀 낮은 수치같네요.
스마트폰이나 WIMAX, VoIP를 빼도 MIN값이 10.5억은 될 듯 합니다.
아.. 맞네요. 제가 실수 했습니다. 수정할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