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3년전에 이통사에 동영상 컬러링 사업 제안을 한 적이 있다. 그때 수없이 만들어댔던 사업 제안서, 소개서 등의 문서 중에 하나를 이 공간을 빌어 공개를 하고자 한다. 이 자료를 공개하는 이유는

첫째는 네이버 지식 시장, 레포트몰 등을 비롯한 각종 샘플 문서의 유료 사이트들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문서가 별 볼일 없는데에 비해 유료화 되어 있어서 귀찮을 뿐이다. 더군다나 그 문서중에 어떤 것들을 내가 직접 만들거나 일부 만든 문서가 포함된 경우가 있다. 지금은 없어진 회사인데 그런 문서가 어떻게 그리 흘러갔는지 궁금할 따름이다. 도대체 라이센스가 어떻게 되어있길래...
또한 요 근래 WCDMA 시장에 이통사들이 드라이브를 걸면서 마구 신규로 만들고 있는 서비스 중에 하나가 이 동영상 컬러링이다. 어차피 특허로 딴지 걸어도 꿈쩍도 안할테고, 지네들이 지지고 볶을테니 이 문서는 이미 의미가 없다. 그리고 이 문서를 기본으로 한 제안서는 이통사에 모두 한번씩 찔러본 공개된 것이다. 일부 업체를 대상으로 투자 설명회까지 한 것이니 대외비가 아니다.
해당 회사는 모바일 사업부를 완전히 접은지 3년 가까이 되었다. 더 이상 할 가능성이 없으므로 문제될게 없다.
그리고, 혹시나 이통사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을 하는데 소개서나 사업 기획서 등에 대한 샘플을 얻기가 힘든 이들은 참고를 해서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이 사업의 배경에 대해서 잠깐 설명을 하자면 SI전문 기업에서 우연한 기회에  기본아이디어와 기술을 얻었고, 이를 가지고 이통사를 설득하던 차에 나에게 도움을 청하여 조직 세팅부터 응용 서비스 등을 비롯한 모든 사업 구상을 해주며 같이 일한 적이 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원 아이디어를 소유하던 회사는 이 사업 자체에 큰 희망이 있었고, 정작 도움을 준 나는 이 사업만으로는 파워가 약하니 연결 고리를 잘 잡아서 다른 사업으로의 진출을 노리자고 했었다.
그러한 노력으로 해당 사업 MOU, 두개의 사업에서 CP로 컨텐츠 판매, 한 사업군에서 TA 계약, 또 동일 사업군에서 MCP 계약까지 단 8개월만에 이루어 냈지만 기본이 되는 SI 사업이 힘들어지면서 회사 자체의 존립 여부가 흔들리게 되었다. IT 업계에서 워낙 뻔한 스토리라... 더 이상 이야기 하기는 싫고...

행여나 문서에서 소개하는 이러한 뻔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이통사에 승부할 생각을 하지 마라. 내가 사업을 추진했던 데는 그만한 연결 고리가 있었고 확장시킬 자신이 있었기 때문에 그럴 듯하게 포장을 했을 뿐이다. 그냥 문서 자체의 흐름이나 요소를 참고하기 바란다.

문서에 대한 조언으로는 이통사에 넣는 처음 제안서는 10페이지를 넘기지 말 것! 더 길어봐야 그 사람들은 보지도 않는다. ^^

2007/11/05 19:27 2007/11/05 19:27
떵꺼리

감사합니다. ;)

mobizen

도움이 되실지는 모르겠네요~ 2000원짜리보다는 나을 듯.. ^^

홍홍군

즣은 자료 감사합니다.^^.

mobizen

도움이 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김경훈

넘 잘보았습니다. 해외에 이런서비스를 런칭하려고 하는데 지금은 연락할수 없는지요
010-4606-7048 연락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김흠

중국에서 진행할려는데요,가능하면 연락했어면 좋겠습니다.
현재 직접 차이나텔레콤에서 직접 진행가능합니다.
kimhom_jh@hotmail.com
핸드폰:+86-138-1038-9757

Posted
Filed under 블로그 일반

cygo님의 블로그를 통해 사이버드의 MBO 결정과 JASDAQ 상장 폐지가 결정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일본 최대 모바일 컨텐츠 기업이며 국내에서도 컴투스, M-Dream 등을 비롯한 각종 컨텐츠 업체와 밀접한 관계가 있고, 사이버드 코리이라는 국내 지사까지 한 때는 운영을 했던 사이버드... 개인적으로 아무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더욱더 아쉬운 소식이다.

사이버드의 몰락은 cygo님의 의견 처럼 일본의 모바일 컨텐츠 사업이 순조롭지 못한게 원인은 아니고 전형적인 운영의 미숙이다. 날씨 정보라는 뜻하지 않는 아이템을 발견하여 회사는 커져갔고 호리 사장은 똑똑했으나 마구 커지는 회사에 비해 창립멤버들의 정치 싸움은 그칠날이 없었다. 다양한 컨텐츠와 서비스를 시도했고 일부는 성공했으나 한국을 포함한 해외 시장에서의 참패는 역시 "컨텐츠는 문화" 라는 교훈만을 얻어갔다. 경영진의 마인드와 사원들의 마인드가 일치하지 못해서 비협조적인 것도 컸었고..
또한, 비즈니스 포지셔닝도 명확하지 못했다. 그들 스스로는 MCP라고 불렀으나 밖에서는 CP인지 , Developer인지, Aggregator인지 헷갈렸으며 사이버드를 분석하는 각종 벤치마킹 자료에서도 서로 다르게 분석을 했었다. 이는 M&A를 통해 생성된 자회사들의 입장에서도 프로젝트를 하청해주는 업체인지 퍼블리셔 인지도 헷갈리는 결과를 만들었다.

이 모든 것을 아우르기에는 호리 사장의 카리스마가 부족했다고나 할까... 회사가 부도가 난 것이 아니므로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내부 조직의 문제점을 잘 알고 있기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기가 쉽지는 않으리라 예상해 본다.
빠르게 변화하는 컨텐츠와 서비스 영역을 리드하기 위해서는 선도적인 마인드, 그리고 조직 운영의 묘가 필요한 적절한 예가 될 수 있겠다. 아주 치밀할 것 같은 일본의 조직 문화도 우리와 알게 모르게 닮아 있다.

그래도... 그 때는 참 재미있었는데....

2007/11/02 10:46 2007/11/02 10:46
cygo

사이버드는
캐리어 때문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는 모바일 사업 환경 때문에 매출/영업이익에 문제가 있었고
무리하고 잡다한 M&A로 재무쪽으로도 문제가 있었던 거 같아요.
모바일 쪽에서 일할 때 나름 공부해볼만한 회사라고 생각했었는데..

mobizen

^^ 글쎄요..
원인이야 한두가지로 압축할 수는 없는거고 해석하는 시선이야 다양할 수 있지만 일본처럼 광범위하게 펼쳐있는 모바일 환경을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라고 보시는건 동의할 수 없군요.. 특히나 낚시하는 동호회에 의해 파도높이를 추가해주던 날씨 정보가 큰 호응을 받아 성공을 시작한 사이버드 사례에서는 더더욱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