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블로그 일반

타 산업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소규모이며 역사가 짧은 IT는 잘 될때와 망할때의 곡선 그래프가 무척이나 가파른 편이다. 그래서 임금 체불이나 퇴직금 미지급과 같은 사례가 많은 편이다. 곰곰히 생각을 해보니 지금까지 임금, 퇴직금, 아르바이트 비용 중에서 이런 저런 이유로 받지 못한 돈을 계산해보니 소나타 중고 정도값 정도는 되는 듯 하다.

바로 이전 직장을 그만 둔지가 1년가까이 됐는데 아직까지도 퇴직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래저래 생각해보면 작은 돈은 결코 아니다. 미지급 하는 회사가 의례 그렇듯이 약속 날자는 한달을 멀다하고 미루어지며, 그 날자가 되면 절대로 아무런 연락도 오지 않는다. 사정을 뻔히 알기때문에 연락 안하다가 몇일 지나서 넌지시 물어보면 미안하다는 말 뿐이고 기간은 또다시 한달 또는 두달이 연기가 된다.

회사를 그만둔다라는 것은 터전을 옮긴다는 뜻도 있지만 같이 일해왔던 이들과의 헤어짐이 더 크게 다가온다. 쓰러져가는 IT회사들은 한두명이 떠나는것이 아니라 대다수의 인물들이 한꺼번에 떠난다. 대다수의 사람은(특히 나같은 전산쟁이들은) 날마다 보아서 정이 쌓이기도 했지만 막상 같은 공간을 떠나면 아주 절친한 사람이 아닌바에야 연락을 그다지 자주 하지는 않는다.

재미있는것은 비슷한 시기에 회사를 떠난 이들을 연결시켜 주는 끈이 있으니 바로 "퇴직금 미지급" 이다. 약간씩 차이가 있는고로 누구는 받았다더라, 누구는 노동청에 신고를 했다더라, 언제가 되면 진짜로 나온다더라, 돈이 없는것은 아니다더라를 시작으로 해서 꾸준히 연락이 들어온다. 진짜 궁금한 것은 "부장님은 받으셨어요? 연락 한번 해보세요" 이다. 본인들은 직접 연락해서 물어보기 껄그러우므로 나한테 이야기를 해보는 것이다. 이유야 어찌되었건 공통되고 돈이라는 아주 민감한 Object를 두고 생기는 공감대라는 것이 생각보다 강하다. 그리고 저사람이 받으면 나도 받을 수 있을거야.. 라는 생각이 들 때의 공감대는 그 순간만큼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이다. 비슷한 일을 하는 사람이고 간만에 연락해서 다짜고짜 퇴직금 이야기를 하기보다는 안부나 현재 하는 일에 대한 업무에 이야기를 곁들어서 이야기를 하고 이 공감대로 인해서 더 Network 이 견고지기도 하고, 새로운 Business의 Cowork이 되기도 한다.

참 세상이라는 것이 재미난다.

그나저나 8월 10일날은 꼭 주겠다더니... 이번에도 힘들 것 같다.. ^^
마지막에 나를 무참히 버렸던 회사긴 하다만은 나하나 퇴직금은 문제없이 줄 수 있게끔 형편이 잘 풀리는 회사가 다시 되기를 바랄 뿐이다.

P.S : 위 포스팅은 예전부터 생각을 해 오던 내용인데 행여나 퇴사자들 퇴직금도 못주는 회사로 소문이 나 내가 몸담던 회사에 피해가 가지는 않을까 싶었기 때문에 조심스러웠다. 이제 벌써 1년.. 내가 누군지 아는 이들은 대충은 그 회사 사정을 알테니 별 문제가 없으리라 생각하며 포스팅한다.

2007/08/07 19:44 2007/08/07 19:44
떵꺼리

회사가 친하게 지내시던 분이 운영했던 회사라면 더욱 난감한 상황이 됩니다.
아무쪼록 이번에는 꼭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

mobizen

이런 경우가 워낙 빈번해서요...
입바른 소리처럼 들리시겠지만 제 퇴직금보다는 회사가 빨리 정상화되기를 좀더 바라고 있습니다만 여의치는 않게 보이네요.
가라앉는 배를 건진다는 것은 무척 힘이 들죠...
몸 담았던 회사가 잘 안 풀리는 것은 참 가슴 아픈것 같습니다.

관심주신 것에 감사드립니다. ^^

Posted
Filed under 디지털 라이프
몇일전 지인이 자신의 노트북에서 TV 수신카드를 연결을 했는데 작동이 안된다고 봐달라고 연락이 왔다.
TV 수신카드를 내 노트북에 연결을 해보니 자체에 문제는 없었고, 노트북을 봤더니 꽤나 구형이다.
역시나.... USB 포트가 1.1인것이다. 요즘 대부분의 TV수신카드가 HDTV를 지원하면서 2.0만을 지원하는게 많다보니 구형 노트북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는 것이다.

언제부터인가 우리 주변에는 수많은 USB 장비들이 우리를 에워싸고 있다.
지금 내 노트북에서 USB 허브를 통해서 외장 하드디스크, 키보드, 마우스, 타비(PMP), 핸드폰 데이타 케이블, USB 메모리 등이 연결되어 있다. 집의 컴퓨터에도 위와 비슷하고 프린터와 스캐너 등이 연결이 되어 있다.
요즘은 일반적인 USB 장비외에도 재미난 것들이 많다.
일반 쇼핑몰에서 간단하게 상품 검색을 해보아도 아래와 같은 상품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와 같이 USB의 다양항 상품들이 생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USB 장치들을 WiFi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공유할 수 있는 장비가 나왔다. 쉽게 생각하면 무선 프린터 서버등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사무실에서야 NIC가 내장된 프린터 서버를 흔하게 사용하지만 소호나 소규모 가게 등에서는 하나의 컴퓨터에 USB 프린터를 연결하고 그 PC에서 프린터를 공유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의 단점은 항상 해당 PC는 켜져있어야 한다는 것이다.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주는 Device 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Keyspan에서 이번에 개발한 U2S-2A라는 이 모델은 USB 2.0 무선 서버이다.
Windows와 Mac 기반의 모든 PC를 지원한다. 이러한 실용성 있는 제품들의 문제점은 항상 가격인데 $129이다. 프린터 서버 하나 구축하기로는 약간은 부담스러운 가격이지만 USB Device를 여러개 공유해서 사용해야할 환경이라면 적당할 것 같다.
아래는 Keyspan에서 제공하는 제품에 대한 설명이다.

Connect to USB Devices over Ethernet or Wi-Fi!

The USB 2.0 Server makes it possible for USB printers, USB scanners and
other USB devices to be used and shared by client PCs on a Local Area
Network (LAN). It is ideal for home office, small office and classroom use.
The USB 2.0 Server supports both Ethernet and Wi-Fi networks -- making it
easy to access USB devices from a Wi-Fi based laptop.

Why Buy the USB Server?
• Share USB devices via a network
• Access USB devices from a Wi-Fi laptop
• Break the 5 meter USB cabling limitation
• Eliminate need for a dedicated PC to host a USB device

Connectivity to USB Devices
• 2 USB 2.0 Hi-Speed ports
• Full 500mA power provided to each port.

Connectivity to Network
• RJ45 Ethernet connector.
• 10/100 autosensing.
• IP addressing : Static/DHCP/ZeroConfi g

Compatible USB Devices
USB Server software supports USB printers, multi-function printers,
scanners, storage devices, PDAs, digital cameras, serial adapters, mice,
keyboards, and more. USB printers may be shared on an automatic basis.
Other USB devices are shared on a “one user at a time” basis. USB audio/
video products are not supported at this time.

Requirements
• Macintosh: Mac OS X v10.3.9 or greater
• Windows: Windows XP or Windows Vista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08/03 13:19 2007/08/03 1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