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얼마전 adMob의 2월 자료와 Opera Mini의 2월 보고서가 릴리즈 되었다. 모바일 웹을 이해하는데에 있어 무척 중요한 보고서들이고 원문 보고서의 해상도가 조금 떨어지므로 재구성하여 조금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해보았다.

스마트폰만을 대상으로 하는 admob 보고서의 특징은 Market Share가 아닌 Traffic Share라는 것이다. 당연히 아래 모든 자료는 T/S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니 착오 없기를 바란다. 먼저 스마트폰 모델별 T/S Top 10 이다. iPhone이 1위라는게 이제는 당연한 듯 여겨진다. 이미 언론과 발빠른 블로거들에게 소개되었지만 Global이 아닌 USA만을 고려하면 T/S가 49%에 이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래는 플랫폼별, 제조사별 T/S의 추이이다. 많이 떨어지기는 했지만 Symbian의 지배력은 아직도 높다. 나날이 떨어져 가는 Nokia의 위상이 언제까지 떨어질지 궁금하다. 아직까지는 Android가 T/S가 무척 낮게 나오고 있는데, 이는 H1이 아직까지는 미국내에서만 서비스 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내 T/S는 5%나 차지하고 있다. 실제 Android는 Google과 거의 실시간 Sync가 되는 서비스가 많으므로 결코 Traffic이 작은 플랫폼(정확히는 G1폰을 말하는 것이겠지만)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또 한가지 눈에 띄이는 것은 RIM의 건재함과 HTC의 상승세이다. iPhone의 위상때문에 상대적으로 관심을 적게 받고 있지만 절대로 무시할 수 없는 수치이다. 최근 이러한 RIM에 대한 아티클 중 'Watch Out for RIM'은 강력하게 추천하고 싶은 것이다. RIM의 상승세와 주목해야 할 포인트, 그리고 한계에 대해서 논리정연하게 설명을 해 놓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웹의 성장은 계속된다.' 포스트를 통해서 Opera Mini를 통해서 알아본 모바일 웹의 꾸준한 성장 속도를 소개한 적이 있다. Opera Mini은 20.5 M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2009년 1월에 비해서 2.9%나 성장한 것이다.

2009년 2월, transcoded된 Page의 양은 7.3 billion Page 에 해당한다. 이는 한달전인 2009년 1월에 비하면 3.2% 감소한 수치이다. 보고서에는 2월달이 28일까지만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지만, 지금까지의 상승을 고려한다면 약간은 상승세가 멈춘 것 같은 느낌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년 2월, Opera Mini 사용자들은 총 124 million MB 를 transcoded 했다. 이는 전달 대비 2.3% 증가한 수치이다. Opera Mini가 평균 90%를 압축하므로 실제 크기는 1.2 PB 정도라고 여겨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각 나라별 상위 접속사이트도 발표가 되었는데, 이번에도 미국 Top 10만 보도록 하자.

Top 10 sites in the U.S. (# of unique users)

1)  google.com
2)  facebook.com
3)  myspace.com
4)  wikipedia.org
5)  nytimes.com (up from 6)
6)  youtube.com (up from 7)
7)  yahoo.com (down from 5)
8)  gamejump.com
9)  accuweather.com
10)  my.opera.com (back on the list)

두 보고서를 통해서 iPhone의 지배력 강화, Nokia의 지배력 약화, RIM과 HTC의 상승세 유지, Android의 초기 자리매김 상태 등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폭발적인 성장을 보이던 Mobile Web Traffic은 2009년 2월 들어서 다소 주춤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2009/03/27 08:32 2009/03/27 08:32
우기태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혹시 브라우저별 Traffic Share에 대한 정보도 있나요?
OS/단말/브라우저 삼자관계에 대한 정리 사항이 있으면
좀 더 마켓을 효율적으로 볼 수 있을 듯 한데...


주말 잘 보내시구요~

Roess

AdMob 2월 리포트 주소는 http://www.admob.com/marketing/pdf/mobile_metrics_feb_09.pdf 입니다.

브라우저별 통계는 안 나와있습니다.

mobizen

우기태님이 물어보시는 것은 admob 보고서 안이 브라우저 T/S가 아니라 다른 자료에 있는지 여부인 듯 한데요..

사실 모바일 브라우저 쪽 자료를 꾸준히 찾고 있습니다만, T/S는 커녕 M/S도 찾기 힘들더군요. 자료가 얻어지는데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우기태

답변 감사합니다.~~~

sue

유용한 자료 감사합니다.

실리콘벨리(임상범학생)

해외에서는(미국,영어권나라) 모바일 데이터 요금이
한국과 어떤 다른 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스마트폰의 보급률과 비용적인
문제가 크기 때문에 IT와 무관한 평범한 사람들이
사용하는 비중은 낮은 것 같습니다.그러나 미국과
같은 경우도 비슷하겠지만,
한국 보다는 조금은 IT에 관심이 있거나 평범한
사람들도 스마트폰이 아니더라도 핸드폰을
통해 인터넷을 활용하게 되는 비율이 한국보다는
높지 않을까란 생각이 드는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해 혹시 mobizen 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mobizen

http://www.mobizen.pe.kr/723
http://www.mobizen.pe.kr/673
를 참고하세요. 기본적으로 한국에는 스마트폰 요금제가 아예 없습니다. ^^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1. 들어가는 글

아직까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휴대폰이고, 휴대폰은 기본적으로 Communication Device 이다. Mobile Web이나 기타 엔터테인먼트 컨텐츠가 크게 성장을 하고 있으나 서로 Communication 하려는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서비스에도 항상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번에는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에 대해서 간략한 시장 리뷰를 하도록 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는 기본적인 Voice Call과 함께 SMS, MMS, 모바일 E-mail, Instance Messenger 등이 큰 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외에는 Video Call, Push to Talk, Push to Video, Conference Call 등이 있다.


2. 전세계 시장의 3/4를 차지

시장 조사 기관 TNS Global의 보고서에 의하면 전세계 디지털 메시지 중,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발송된 비율이 59%(2008년 1월)에서 74%(2009년 1월)으로 1년만에 폭발적인 성장을 했다. 이미 유선 Web에서 발송되는 메시지의 3배나 되는 큰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 신흥시장에서는 더욱 더 거대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데, 90%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발송이 된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Feature Phone으로 SMS보내는 것이 대부분인 국내현실에서는 다소 상상하기 힘들지만, 이러한 메시징 서비스마저 Smart Phone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TNS Global의 동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모바일 사용자 중에 메시징 서비스를 사용하는 비율은 13%에 불과하지만, 스마트폰 사용자의 경우에는 41%나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가 단순한 SMS에서부터 좀 더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면서 스마트폰과 조합이 잘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세계 시장은 아시아가 리드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사용자는 계속해서 증가할 예정이다. 이러한 트렌드를 이끄는 것은 다름아닌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 지역이다. IDC의 보고서에 의하면 이러한 경향은 갈수록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에서 성공하는 Mobile Web 2.0을 왜 국내에서는 볼 수 없냐고만 안타까워할 것이 아니라 이러한 기본 서비스부터 돌아보아야 할 듯 하다.

사용자와 더불어서 시장 revenue도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ABI Research 보고서에 의하면 이러한 Mobile Messaging Service의 revenue는 2013년이 되면 $212B 에 이른다고 알려졌다. 이만하면 다시 돌아볼 의지가 생기지 않는가?


4. Post SMS는..?

예상 외로 SMS가 지속적인 성장을 하면서 Rich Messaging Service를 내세웠던 MMS와 IM이 민망해져버렸다.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성장이 기대에 영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IM의 경우에는 접근성을 최대화 할 수 있는 대기화면까지 자리를 잡았지만 시장의 관심을 받는데는 실패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도 NateOn이 대기화면에 올라와서 Push Message Service를 시도했지만 사용자가 거의 없다. 그렇다면 어떠한 요소가 Post SMS를 만들어 낼 수 있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4가지 키워드는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Post SMS의 주요 요소이다. 메시지를 얻어내는 방법에 있어서는 Push와 Pull 방식이 아닌 Broadcasting이 되어야 한다. 1:1이 아닌 다자간의 Communication이 가능해야 한다. 이런 다자간의 Communication이 되기 위해서는 SNS적인 요소가 필수이다. 불특정 다수에게 뿌리는 Marketing Message도 중요하지만 개인에게는 내 지인들의 Message를 받아야 하므로 관계 설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SNS에서 Broadcasting 하는 다량의 Message 중에서 양질의 Communication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요소가 Presence 기능이다. NateOn의 대화명으로 쉽게 이해되는 Presence는 처음에는 NickName 정도로 활용되다가 요즘에 와서는 지인들에게 나의 상태를 알릴 수 있는 기본적인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

아무리 좋은 서비스라고 해도 접근성이 떨어지면 성공하기 힘들다. SMS가 성공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는 쉽게 전송과 수신이 된다는 점인 것을 잊으면 않된다. 결국은 Feature Phone일 경우에는 대기화면을 차지해야 하고, Smart Phone일 경우에는 위젯을 이용해야 하겠다.


5. 해외는 벌써 Mobile Message 2.0

위와 같은 차세대 Mobile Messaging Service에 대한 시도는 유럽을 중심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은 역시(!) Facebook 이다. Facebook 은 자사의 어플리케이션을 대기화면에 위치시키고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Facebook에서 친구를 맺은 지인들의 상태를 바로 확인 할 수 있으며, 자신의 Presence 역시 쉽게 설정이 가능하다. 상태가 바뀐 지인에게 바로 Facebook을 이용해서 메시지를 보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 주목해야 할 것은 이러한 Facebook 어플을 단순 VM으로 다운로드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INQ1을 비롯한 휴대폰에 기본 탑재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Facebook 안에서 자신의 메시지를 Broadcasting하고, 지인과 Communication 한다는 것인데, 이는 기존 이통사들의 가장 큰 밥줄인 SMS를 위협하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해외 이통사들은 이러한 차세대 메시징 서비스들이 SMS와 충돌을 하는 것이 아닌 상호보완적인 관계라고 여기고 있다. Facebook을 사용하면서 Air 발생이 생기고, 해당 어플내에서 표현하지 못하는 Message들은 여전히 SMS를 이용해서 전달받기 때문에, 오히려 SMS 발송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6. 우리도 다시 한번 돌아봐야 할 때

해외에는 Facebook 이외에도 Nokia Chat, OneConnect 등과 같은 다양한 메시지 서비스들이 발달되어 있다. 반면 국내 Mobile Web은 현실과 조금은 떨어져 있는 이상만을 추구하는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다. '이통사와 놀기 싫어'라는 컨셉으로는 단기적으로는 소비자와 거리 있는 서비스만으로 남을 수 밖에 없다. 기존의 이통사와 Win-Win 하면서, 꿈꾸는 이상을 향해 단계적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휴대폰은 PC가 아니다. 머지않은 미래에 PC를 누르고 Internet을 사용하는 No.1 Device가 될 수는 있을지언정, 검색이나 장문의 포스팅을 할 수 있는 Device는 아니다. 가장 잘하는 서비스, 지금도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는 서비스부터 시작하는 것이 진정한 Mobile Web 2.0이 아닐까? Feature Phone과 Smart Phone 위에 있는 모바일 SNS, LBS 등 다양한 시도들이 사용자들의 Communication을 이끌어낼 수 있는 Message들을 사용자들에게 이동성, 즉시성과 함께 전달될 때 Mobile Web 2.0이 실현될 것이다. 물론, 수많은 장애물들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2009/03/26 08:48 2009/03/26 08:48

Post SMS의 네가지 키워드… 브로드캐스팅,소셜네트워크,접근성,프레젠스 란다. 그리고 이걸 다 충족시키는게 페이스북이란다….며칠전 원차장님이 시연해준 대기화면용 페이스북… 그게 바로..

모바일 메시지 2.0- SMS over IP 등 IP 기반의 메시징이 논의되고 있는데, 넘어야 할 산이 많다.

Geno

좋은글 잘 봤습니다.
요즘들어 거의 매일 이곳에 와서 많은 보고 있는데
많은 공부가 됩니다...
좋은 내용 앞으로도 많이 참고하겠습니다. ^^

mobizen

리플 감사합니다. 자주 오셔서 의견 주시기 바랍니다.

싱싱싱

그렇군요, 좋은 내용 잘 보았습니다.
이 분야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저는 한 명의 user 로서도 관심이 많은 편이죠.

mobizen

네.. 요즘 제가 아주 관심을 두고 다시 살펴보는 영역입니다. ㅎㅎ

NBA Mania

OMA에서 CPM (Converged IP Messaging)이라는 컨셉으로 표준화가 진행이 되었는데 크게 성공을 하지는 못 한 것 같습니다.
SNS + 메시징은 기술적이 아니라 서비스 측면에서 나온 사용자의 자발적인 진화 같네요

디비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특히 Post SMS 부분은 Post 라는 단어 선택부터 키워드 하나하나에 빨간줄 팍팍 치면서 읽게 되네요. 그런데, Presence 의 가치는 다시 생각해 보게 됩니다. 고객에게 의미 있을 수 있을 것이라고는 생각되는데, SMS 환경에서 어떻게 구현 가능할 지.. 개인적으로 유선 연동이라는 키워드를 하나 붙여보고 싶습니다.

mobizen

Tossi에서는 몇번 대화가 오갔지만 블로그에서는 처음이네요. 관심 감사드리고, 디비님께서 말씀하시는 부분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관점의 차이가 약간 있으므로 제 생각을 말씀드리자면..

첫째, Post SMS라는게 말해주듯이 SMS를 벗어나는 메시징 서비스에서 Presence는 무척 중요합니다. 적어도 제가 말씀드린 범위에서는 SMS 환경에서 구현 가능을 고민할 필요는 없겠죠.. SMS가 아니니깐.. 실제 Mobile Presence는 이미 Facebook, Nokia Chat 등에서 훌륭하게 구현이 되고 있습니다.

둘째, 유무선 연동... 참 어렵습니다. 연동이라는 단어가 사람을 굉장히 혼란스럽게 만듭니다. 제가 보는 메시징 서비스에서 실시간 유무선 연동은 적어도 단기간에는 희망이 없어 보입니다. 이미 기술과 사업적인 시도는 할만큼 했었죠. 결과는 비참했구요. 다만, 유무선 연동이라는 표현 대신 다채널 전략이라는 측면에서는 무척 중요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제가 많은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나중에 Tossi와도 일을 한번 만들어 보죠~ ^^

우기태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기술적으로 잘 이해가 덜 되는 부분은
Post SMS가 broadcasting이라는 점인데요..
왜 Multicast가 아닌 Broadcast가 되어야 하는지… 잘 이해가 안되네요…
대그룹/ Sub-그룹/ 개인별 ID 취합 및 분할을 통해 방송이 아닌 다수의 정해진 이용자와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져야 하는거 아닌가요?

mobizen

본문의 Broadcasting은 기술적인 용어가 아닙니다. 기존의 SMS가 1:1 사용자끼리의 메시지를 전달했다면 차세대 메세징 서비스에서는 자신의 Presence, Location, PDS 등을 특정 지인 또는 불특정 다수에게 Broadcasting 한다는 뜻입니다.

우기태님이 말씀하신 다수의 정해진 이용자 일수도 있고, 불특정 다수 일 수도 있겠죠. Broadcasting는 좀더 포괄적인 의미가 될 수 있겠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