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누가 뭐라고 해도 현재까지의 모바일 데이터 시장에서 현재까지 가장 성공적인 서비스는 SMS 문자 메시지 서비스이다. MMS가 아직까지는 범접하지 못하는 포스를 SMS는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유럽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2006년 한 해 동안 다수의 사업자들이 무제한 SMS 이용 서비스나 다른 부가서비스와의 패키지로 S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고,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s)업자들이 가입자 이탈(customer churn)을 막기 위해 가격을 최저 건당 0.01유로까지 인하함에 따라 서비스이용률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입자당 평균매출액(AverageRevenue Per User)은 줄어드는 추세이다.
SMS 서비스는 2006년 현재 이동전화가입자의 72%가 이용하고 있는데 비해 MMS 서비스는 가입자의 14%만 이용하고 있다.
삼성이 BREW 플랫폼을 아예 철수하기로 했다.
예전부터 말이 나오기는 했고.. 일부 적용이 되어서 프로젝트가 몇개 Drop이 되었으나..
전사적으로 모두 적용하기로 했다.
정확한 내부 사정이야 알 수 없으나 얼핏 듣기로는..
DMB쪽을 포함하여 요 근래 나오는 새로운 트렌드를 BREW가 지원을 완벽하게 못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었고..
이래저래 문제가 생겨서 아예 접기로 했다고 들었다.
삼성의 플랫폼은 당분간 SHP가 주류를 이룰 것이며 소수의 Linux 시스템만이 남게되었다.
잘된 결정이라고 본다..
개인적으로는 Linux가 좀 늘어나길 바랄 뿐....
P.S. : 삼성이 사용하는 BREW는 일반적으로 서비스나 컨텐츠에서 사용하는 Core BREW와는 차이가 많다. 좀더 플랫폼에 가까운 시스템이고 변형된 BREW라고 이해하여야 한다. 내장형을 개발하는 분들이야 잘 알겠지만 내 블로그 자체가 서비스나 컨텐츠가 주가 되다 보니 모르시는 분들이 있을 듯 하여 사족을 남겨본다. ^^
조금된 공지이긴 하지만 참고가 될 것 같아 포스팅 한다.
1월 22일부로 게임 평가단의 평가단말기가 전부 교체가 되었다.
이번에 교체된 단말기들은 전부 GXG가능 단말기로써 현재 SKT단말기 라인업에서 최상급 스펙을 가지고 있다. 평가단 단말기는 6종으로 통일되었다.
단말기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SCH-B410
SCH-B470
SCH-B540
SCH-B560
SCH-B590
SCH-V900
07년 2월 6일 이후 제안되는 게임제안들은 위 단말기에 대해서는 모두 지원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SCH-B250의 경우 사업팀 담당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폰이기에 이폰 또한 지원하셔야 한다.
희안하게 모두 삼성폰인게 좀 그렇긴 하다만...
스펙들이 상향 조정이 되면서 속도 문제에서 약간 이득을 볼 듯 하다.
처음 모바일을 할 때만 해도 맵툴이니, 스프라이트툴이니, 스크립트툴이니 하는 개발도구들은 온라인에서나 사용되는 툴이어서 모바일과는 거리가 있었는데 요즘은 일반화가 되어버린 듯 하다.
고용량화니 대작 RPG 운운하면서 원인을 떠들어대는 것은 블로그 글자 채우기 외에 다른 의미는 없는 것 같고..
두가지 이야기만 해주고 싶다.
첫째는 관리자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인데..
개발자들이 개발툴의 필요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면 그거 개발하면(또는 사용하면) 개발 기간이 얼마나 줄어드는데? 라는 질문에만 초점을 주로 맞추는데..
개발툴을 사용하면 개발 기간이 약간 줄어드는 것은 사실이지만 획기적으로 줄어들지는 않는다.
개발툴의 사용은 오히려 QA나 Level Balance 등의 이슈에 오히려 더 중요하게 작용을 한다.
현실적으로 툴 도입을 하면 기획 요소 수정등이 쉬워짐으로 개발 막바지에 발란스 요소들이 자주 바뀌게 되어 개발과 QA가 길어지는 수도 있다. 해서 개발툴을 도입한다고 하는것은 완성도에 더 가까운 이야기지 개발기간과는 2차적인 이야기인것을 명심하기를 바란다.
둘째는 개발자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
모바일도 커질데로 커져서 현재 온라인에서 사용하는 공용 개발툴을 사용해도 큰 지장이 없다.
스크립트툴이야 사실 하나 만들어 놓고 그것을 프로젝트 할때마나 약간씩 변형하는 것은 인정하겠으나 맵툴이나 스프라이트툴, 이미지 압축툴, 텍스트 압축툴등 의 경우에는 쓸데없는 개발 일정 잡아먹지 말고 공개되어 있는 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권하고 싶다. 개발자들은 이래저래 이유대며 자기 프로젝트에는 이용을 못하니 개발을 반드시 해야한다고 하는데.. 고건... 욕심이다.
그러한 의미로 유용한 맵툴 하나를 소개하고자 한다. Mappy 라는 툴인데.. 벌써 1.4.11 버전까지 나왔다.
Comments List
매일 눈동냥만 하던 사람입니다. ^^
저도 최근에 고사양폰 보급률을 찾고 있었는데, 혹시 여기서 말하는 고사양폰의 정의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제 블로그에 몇번 같은 이야기를 한 기억이 나는데..
역시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림과 도형이 있으면 글을 안 보는군요..
^^
고사양폰이라는 것은 SKT와 KTF는 EV-DO폰 이상을, LGT는 CDMA200-1X 폰 이상을 말하는 것이다.
위데 나와있어요^^ㅋ
모바일관련 지식좀 얻으려고 웹서핑하다 오게 됐습니다
좋은 정보가 참 많네요..
몇개 담아갈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