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시장 자료
우연하게 발견한 좋은 슬라이드 자료이다. 앱스토어의 전체 흐름과 수익성을 잘 정리해 놓았다. 중반부에 있는 씨즌성(크리스마스)이 중요한 근거와 후반부에 있는 ‘애플 앱스토어 vs. 구글 플레이’는 플랫폼 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들이다.

 

2012/07/31 14:00 2012/07/31 14:00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시장 자료
연령대별로 스마트패드의 구매 목적은 명확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20~30대는 인터넷과 앱을 사용을 하기 위한 비율이 높게 조사되었다. 40~50대는 회의 중 메모를 하거나 자녀 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 높았다. 스마트패드가 대중화될 수록 연령대별 사용행태와 목적성은 큰 차이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2012/07/31 10:00 2012/07/31 10:00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지금까지 스마트기기에 대한 개인 또는 연령대별, 지역별 사용 행태의 비교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제는 완전히 메인 스트림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증가하고 있는 스마트기기들에 대해 '가족'의 관점에서 해석할 필요가 있는 시점이 되었다. 마침, DMC Media에서 20~30대 기혼 가구를 중심으로 조사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는데 좋은 참고가 될 것 같아 몇가지 주요 내용을 공유해보고자 한다.


가장 높은 가구 보급율은 스마트폰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구 기준으로 보급율을 조사해보니 84.9%를 차지한 PC보다 스마트폰이 더 높게 나타났다. 현대인에게 필수품이 되어버린 휴대폰이면서 활용도가 높은 개인 기기이다 보니 보급율이 높을 수 밖에 없다. 휴대용 게임기와 스마트패드는 39.7%, 36.2%로 각각 조사되었다. 새로운 기기에 대한 적응율이 높은 20~30대에게도 전자책 보급율은 9.0%에 불과했다.


44.9%의 가구가 2대 이상의 스마트기기를 보유

20~30대는 디지털 기기의 주요 고객층이며 새로운 기기에 대한 적응도가 가장 높다. 이번 보고서의 조사에 의하면 44.9%의 20~30대 기혼 가구가 2대 이상의 스마트기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을 제외한 항목에서는 33.3%로 조사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구당 보유하고 있는 평균 스마트 기기의 대수는 20~30대는 1.6대, 40~50대는 1.5대로 조사되어 큰 차이는 없었다. 스마트폰을 제외한 항목에서는 40~50대(0.75대)가 20~30대(0.65대)보다 더 많은 기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40~50대 가구들이 스마트 TV나 3D TV등을 보유한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스마트 TV의 구매 이유는 전혀 달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다면, 40~50대 사용자들이 스마트 TV를 많이 구매한 이유가 무엇일까? 20~30대 가구들은 다양한 VOD나 앱 활용 등을 기대하며 스마트 TV를 구매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40~50대 가구들은 고화질을 기대함과 동시에 아날로그 TV가 종료되기 때문에 구매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TV에 맞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기대감은 많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족관계에 활용 중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30대는 가정내에서 여가 활동이나 친밀감 증대의 목적으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이나 학습 목적의 활용도 낮은 편은 아니었다. 하지만, 가족 갈등을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10.9%만 사용하고 있었다. 각 용도에 따른 만족도는 65%~80% 정도로 전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나 갈등 상황에서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재택 업무용으로의 활용

네트워크 인프라와 기기가 발전하는 만큼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환경이 가까워지고 있다. 가장 현실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것은 퇴근 후나 휴일에도 급한 회사 업무를 집에서 처리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재택 업무의 행태도 연령대에 따라 상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40~50대는 PC 의존도가 높은 반면 20~30대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를 활용하는 경우가 높게 조사되었다. 젊은 사용자들은 업무 관련 메일이나 자료 탐색과 같은 가벼운 업무를 스마트기기로 처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다 보니 회사와 가정이 분리되지 않으면서 가정 내에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조사에 의하면 28.6%의 20~30대 기혼자가 재택에서의 업무로 인해 가족간의 갈등이 있는 편이라고 답변하였다. 갈등이 있다고 답변한 응답자들은 자녀가 있을수록, 외벌이보다는 맞벌이일수록 갈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은 스마트 기기가 없었다면 집에서 회사 일을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들의 사용에는 보수적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 중독'과 같은 부작용이 심각해지면서 자녀들이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는 것에는 보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과반수에 가까운 20~30대의 응답자는 초등학생 자녀들이 하루 1~2시간 정도만 이용해야 한다고 답변하였다. 응답자들의 전체 평균을 계산해보니 일평균 적정 시간은 1.16시간으로 조사되었다. 74.0%는 자녀들의 야외 활동이 감소할 것 같다는 이유로 스마트기기 사용 시간을 제한하고 있었다.
2012/07/30 17:47 2012/07/30 17:47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시장 자료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연령대별로 활용하는 용도와 정도에서 차이가 많이 나고 있다. 최근 DMC Media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30대는 인터넷 접속과 모바일 앱을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40~50대는 주변 사람들이 모두 스마트폰을 이용하거나 업무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수동적인 모습이 높았다.

 

2012/07/30 14:00 2012/07/30 14:00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시장 자료

앱(Mobile App)의 이름을 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Brand를 대변하기도 하고 검색 키워드에 잘 노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흥미로운 보고서 2개가 발행되었다. iOS와 Android 앱들의 이름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가 어떤 것인지를 조사한 내용이다. 아래 리스트를 참고하기 바란다.

 


(1) iOS( Source : Appsfire )
 1. HD – 27,777
 2. Lite – 21,690
 3. Free – 18,511
 4. iPad – 11,313
 5. Pro – 9024
 6. Guide – 8361
 7. Mobile – 7695
 8. App – 6142
 9. iPhone – 5441
 10.Game – 5377
 11.Travel – 4851
 12.Radio – 4633
 13.World – 4504
 14.Map – 4351
 15.Dictionary – 4220
 16.Edition – 4198
 17.Calculator – 4164
 18.Kids – 3852
 19.English – 3680
 20.News – 3611
 21.Book  – 3254
 22.Magazine – 3009
 23.Photo – 2957
 24.Puzzle – 2835
 25.Music – 2764
 
  
(2) Android( Source : AppBrain)
 1.wallpaper – 26900
 2.live - 23761
 3.free – 16283
 4.theme -  9436
 5.lite – 8291
 6.pro – 7896
 7.app – 5692
 8.mobile – 5500
 9.news – 4718
 10.lwp – 4355
 11.sms – 4179
 12.widget – 4135
 13.game – 3945
 14.guide – 3864
 15.calculator – 3622
 16.clock – 3601
 17.2012 – 3369
 18.radio – 2919
 19.android – 2720
 20.bestpuzzle – 2661
 21.quiz – 2597
 22.launcher – 2593
 23.love – 2549
 24.puzzle – 2377
 25.english – 2322

2012/07/30 10:00 2012/07/30 10:00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시장 자료
단편화 문제가 심각한 Android에서는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데이터지만 iOS에서는 구하기 힘든 자료를 Chitika에서 발표했다. iOS 5.1.1이 70.6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하위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도 결코 작지 않다. 동일한 조사에서 Android는 Ginger Bread가 71.10%를 차지하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2012/07/27 14:00 2012/07/27 14:00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시장 자료
Android 기반의 Smart Pad가 여전히 자리를 잡지 못하면서 작년 대비 iOS의 비중이 증가했다. 그나마 Android가 전년과 동일한 비중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Kindle Fire과 Nexus 7 덕분이다. 저가형 7인치 패드 시장에서 iOS 기반의 대체제가 없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iPad가 아무리 훌륭해도 혼자의 힘으로 시장을 키우는 것은 불가능하다. Android쪽에서 성공사례가 나와야 Smart Pad의 활성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2/07/27 10:00 2012/07/27 10:00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시장 자료
모바일 SNS 사용자들의 구성을 살펴보면 서비스별로 연령대별 비중이 매우 상이하다. 카카오스토리는 모든 연령대에서 고르게 사용되고 있다. 40대 사용자들의 비중이 21.5%라는 것은 매우 이채로운 현상이다. 서비스적인 특징보다는 ‘카카오톡의 힘’으로 해석된다. 반면에 싸이월드와 페이스북은 10~20대 사용자가 절대적이다.

 

2012/07/25 10:00 2012/07/25 10:00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시장 자료
어떤 기준으로 조사가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Gartner의 보고서를 기반으로 이야기를 하자면 국내 모바일 시장은 여전히 음성통화 의존도가 높은 상태이다. 63%로 독일과 함께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들의 이용 행태가 다른 국가에 비해 느린 변화를 보이는 것인지, 데이터와 음성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여져 있는 국내 통신사들의 요금제 때문에 생기는 착시현상인지는 각자가 판단해야 할 듯하다.

 

2012/07/24 01:12 2012/07/24 01:12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가장 큰 모바일 대륙, 아시아

'모바일의 선진 국가'를 생각할 때, 대부분은 북미나 유럽 시장을 떠올리곤 한다. IT의 중심에서 기술력으로 세상을 호령하는 북미와 높은 경제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는 유럽 시장은 분명히 매력있는 곳이다. 하지만, 현실적인 수치를 비교해보면 아시아는 절대로 무시할 수 없는 모바일 시장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GSMA는 2020년 아태지역의 이통사 매출이 4.4천억 달러 정도의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체 시장의 38.14%에 해당하는 엄청난 수치이다. 아태지역이 이렇게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중요도가 높은 이유는 중국과 인도 같이 인구가 많은 특정 국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인게 사실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아시아 지역이 Feature Phone 중심으로 단순하게 보급율만 높은 시장을 형성한 것은 결코 아니다.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40%를 차지할 만큼 무선인터넷에 친화적이다. 오랫동안 모바일 강국을 유지해 왔던 일본을 비롯하여 싱가포르, 홍콩 등의 시장 변화는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크고 중요한 아시아 모바일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위치는 어느 정도일까? 한국 모바일 시장이 좁고 제자리 걸음이라는 자조섞인 목소리를 흔히 들을 수 있는데 정말일까? 이번 포스트에서는 Nielsen의 최근 보고서에 있는 몇가지 항목을 통해 한국 시장을 이해하고자 한다.


스마트폰 보급율은 67%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의 스마트폰 보급율은 67%로 싱가포르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번째로 높게 조사되었다. 중국은 42%이고 전통적인 모바일 강국인 일보은 26%에 불과하다. 참고로 방통위의 5월말 집계 보고서에 의하면 전체 이동통신가입자 수 대비 스마트폰 가입자 비중은 52.13%이다. 전체 이동통신가입자 수에는 모뎀, 태블릿 PC, 전용 단말기가 포함된 수치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Nielsen의 보고서가 다소 높게 조사된 듯 하다.


무선인터넷 사용은 2등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선인터넷 사용율에서는 일본이 86%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Feature Phone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사용이 오래전부터 발전해왔고 최근에는 스마트폰 시장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어 여전히 절대강자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그 뒤를 이어 80%를 기록하여 높은 서비스 충성도를 보이고 있다. 한국 시장은 스마트폰 중심의 무선 인터넷 사용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본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모바일앱에 유난히 집중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bile App은 커뮤니케이션, Web은 포탈 중심'에서 소개한 것처럼 국내 모바일 사용 행태는 91.1%의 사용시간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모바일앱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 국가별로 비교한 모바일앱 충성도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그대로 드러난다. 1인당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모바일앱의 갯수가 국내 사용자의 경우 평균 55개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홍콩 16개, 일본 11개 등과 비교해보면 엄청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만큼 모바일웹의 충성도는 낮은 것으로 풀이된다.


모바일 광고는 여전히 오리무중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국은 모바일 관련 충성도에서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유난히 모바일 광고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모바일광고 반응율에서 중국 77%, 말레이시아 74%인데 반해 한국은 66%에 불과하다. 국내 기업들의 모바일 친화적인 광고가 부족하다는 이야기일 수도 있고 이용행태의 차이때문에 생기는 현상일 수도 있다.

Nielsen의 보고서에는 언급되어 있지만 국내 시장이 유료 구매에 적극적인 시장은 결코 아니다. 광고를 통해 수익을 만드는게 일반적인 서비스 사업자 입장에서는 답답할 수 밖에 없다. 참고로 47%에 불과한 모바일 광고 반응율을 보이는 일본은 유료 컨텐츠 구매에 익숙한 시장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Android의 비중이 절대적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시장은 유난히 Android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78%로 조사되어 두번째로 높은 일본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세계적인 휴대폰 제조사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국내기업이라는 것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격적인 우위, 다양한 라인업, AS의 편리함 등으로 인해 Android가 한국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사업자의 관점에서는 소수의 iOS가 다수의 Android를 이끌어가고 있는 기형학적인 시장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이제는 컨텐츠에 대한 투자가 필요

OECD가 최근에 발간한 보고서에서는 한국을 고속 무선 인터넷 액세스 100% 보급율을 초과한 최초의 국가로 소개하고 있다. 한국은 2011년 말에 인구 대 고속 무선 인터넷 액세스 보급율이 전년도 89.9%에서 100.6%로 올랐다. OECD의 평균보급율인 54.3%보다 2배나 높은 수치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국은 인프라적인 측면에서 무선망의 보급이 빠르고 스마트폰 보급율도 매우 높다. 대형사업자들이 인프라에 대한 투자에 적극적일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있기 때문이다. 이동통신 3사가 경쟁적으로 새로운 망기술에 투자를 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휴대폰 제조사들이 국내에 포진하면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반면에 이러한 인프라를 이용할 만한 서비스에 투자하는 대형 기업은 국내에 그다지 많지 않다. 정부는 메마른 시장에 스타트업들을 앞세우며 그들이 자생하기를 바라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국내 모바일 생태계가 성공할리가 만무하다. 쓸만한 서비스가 없으니 모바일 트래픽은 PC의 사용자 경험이 전이되어 일부 포탈에 머물거나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주는 해외 서비스로 향하고 있다. 국내에도 모바일 친화적인 새로운 서비스에 대형 사업자들이 투자를 하고 모바일 광고를 통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시장이 되어 모바일 서비스적인 측면에서도 우위를 유지할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2012/07/23 18:05 2012/07/23 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