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2010년 5월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던 국내 휴대폰 판매량이 오랜만에 상승했던 시기였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스마트폰의 활성화, 가정의 달 특수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5월말 현재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수는 49,464,940명으로 집계되어 전월대비 0.5% 증가하였다. 통신사별 가입자 비중을 보면 SKT 50.69%, KT 31.41%, LGT 17.90% 를 기록하였다. 이는 전월대비 각각 0.6%, 0.5%, 0.5% 증가한 수치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 5월의 휴대폰 시장의 붐업은 MNP가 주도하였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MNP가 전반적으로 큰 성장을 하였다. 통신사별 점유율을 비교하면 SKT 41.14%, KT 35.22%, LGT 23.63% 등을 기록하였다. 전월 MNP 시장에서 선방했었던 LGT가 이번달에는 제자리로 돌아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통사들의 단만판매량들은 전월대비 큰폭으로 상승하였다. 각각의 비중을 보면 SKT 49.10%, KT 32.60%, LGT 18.30% 을 차지하였다. SKT가 소폭 상승을 했으며, 반대로 KT는 소폭 하락 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KT는 갤럭시 A와 시리우스가 Android Smart Phone 시장에서 성공적인 판매량을 보여주었으며, 잼밴드폰과 코비F폰 등이 중저가 Feature Phone 시장에서 호조를 보였다. 반면, KT는 주름폰과 매직홀폰 등으로 중저가 Feature Phone 시장에서 나쁘지 않은 성적을 얻었으나, iPhone 외의 Smart Phone 라인업이 부족하여 Market Share는 하락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단말사별 비중을 보면 전월 50% 이하로 떨어졌던 삼성전자가 1.4% 증가하여 50.9%를 기록하였다. LG전자는 전략 Smart Phone, 옵티머스Q가 예정보다 늦게 출시되면서 21.1%를 기록하였다. 팬택은 잼밴드와 시리우스폰이 호조를 보이면서 2.1% 증가한 15.4%, KTT 2.8%, 모토로라 2.1% 등을 차지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월 급감했었던 휴대폰 판매량은 55.1만대 증가하여 2010년 3월 수준으로 돌아왔다. 이번달 반등과 함께 다음달 iPhone 4G, 갤럭시 S등의 출시로 인해 지속적으로 판매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달에도 iPhone 3GS는 전체 시장의 4.0%를 기록하며 가장 많이 판매된 단말이 되었다. 이외의 it style, 에나멜폰, 잼밴드폰 등의 중저가 Feature Phone이 오랫동안 판매되고 있다. 이 외에 갤럭시, 코비F폰, 주름폰 등이 급상승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스마트폰 시장은 2010년 5월에 200만명 가입자 시대를 이룩해 냈다. SKT 100만, KT 95만, LGT 8 만명으로 5월 20일 현재 총 203만명의 가입자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플랫폼별로는 Windows Mobile 94.7만명, iPhone 70만명, Android 27.3 만명의 사용자들이 있는데, 이러한 비중은 옵티머스Q, 갤럭시 S 등이 출시되면서 크게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0/06/24 08:35 2010/06/24 08:35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세계 VoIP시장은 Skype가 장악하고 있지만 VoIP를 누구보다 빨리 시장에서 상용화하였던 것은 국내 기업이다. 바로 2000년대, '다이얼패드'로 전세계의 주목을 받았던 새롬기술이다. 다이얼패드는 BM 부재와 서비스 품질 등의 이유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갔다.

다이얼패드의 실패 이후로 국내 VoIP 시장은 한동안 침체기를 맞게 된다. 정부에서는 VoIP가 활성화가 되지 않는 주요 원인 중에 하나가 착신이 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파악하고 2003년부터 070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2008년 10월부터 일반 시내 전화에서도 번호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시장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부의 노력 덕분인지 현재는 다양한 사업자들이 VoIP 시장에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 사업자의 종류는 크게 기간통신사업자와 별정통신사업자, 소프트폰 사업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소프트폰 사업자의 경우 대형 포탈 사업자들이 주도했으나 최근 서비스를 종료하면서 군소사업자들만이 서비스를 유지하고 있는 추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VoIP 번호 이동 시장의 추이에 나타난 숫자를 보면 아직 큰 시장을 형성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형 업체 몇군데를 제외하면 의미있는 수치를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Cost-Driven 형태의 시장이라면 결국은 마케팅 싸움이며, 대형업체들 중심의 시장이 만들어 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부 대형업체들이 VoIP 시장을 주도하는 것은 번호 이동 시장 점유율을 비교해보면 명확한다. 2010년 5월 기준, LG텔레콤이 전체 시장의 35.06%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KCT 30.03%, KT 17.18%, SK브로드밴드 15.86% 순으로 따르고 있다. 이런 이통사 중심의 시장은 VoIP만의 Value-Added나 제휴가 아니라 이통사의 거시적인 전략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장 VoIP에 공격적인 행보를 보였던 myLG070은 통합LGT로 합병이 되고나서 전략의 방향성을 완전히 잃었다. 4월에는 아예 번호이동 고객에 대한 통계조차도 제공하지 않았다. 꾸준히 발표하던 VoIP 가입자 역시 2009년 11월 200만명을 넘어선 이후 소식이 없다. KT와 SK 브로드밴드는 전사적으로 합병 이후 FMC, FMS에 초점을 맞추면서 VoIP 사업전략과 상충되고 있다. 저렴한 음성 통화로서의 의미만 가지고 있는 VoIP 사업 추진 이유를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출 추이를 보면 이러한 국내 VoIP 시장의 침체는 더욱 뚜렷하다. 09년 3분기까지 급상승하던 VoIP 시장이 4분기부터 주춤한 것을 알 수 있다. KT의 경우에는 09년 3분기 873억원이후 매출이 오히려 감소하였다. 09년 4분기는 이통사들의 FMC, FMS와 통합 LGT 합병들이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던 시기이다.

이통사의 FMC, FMS가 같은 기업내의 VoIP 사업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은 이미 예견되었던 일이었다. 09년 10월, SKT의 이순건 마케팅기획본부장은 "1~2년간 FMS를 준비하면서 SK브로드밴드의 인터넷전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도 파악하고 있다"라는 이야기를 했던 적도 있다.

이렇게 이통사(또는 자회사)가 주도하는 VoIP 시장의 모습은 해외와는 조금 차이가 있다. 해외의 경우는 Skype, Jajah, Fring 등과 같은 VoIP 전문 업체들이 시장의 균형을 맞추고 있는 것이다. 올해 초 Verizon이 Skype와 공동으로 자사 스마트폰 가입자들에게 'Skype Mobile'을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이통사들이 VoIP를 바라보는 시각이 바꿔질 수 있었던 배경도 이러한 시장 구성의 차이에서 출발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VoIP는 단순히 저렴한 음성통화일 뿐이지만 Skype로 대변되는 해외 VoIP는 이미 Unified Communications Service로 발전했으며, Verizon과 같은 경우에서는 서로간의 시너지를 기대하기 때문에 제휴가 성사된 것이다. 물론, Verizon 역시 FMC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700개 이상의 VoIP 도매사업자들과의 제휴를 구축하고 있다.

최근들어 Skype 2.0 덕분에 국내에서 3G위의 VoIP 허용에 대한 논의가 다시 거세고 있다. VoIP를 다양한 Value가 오갈 수 있는 플랫폼으로 바라보지 않는 이상 이통사 입장에서 VoIP는 Network Traffic을 끔찍하게 잡아먹는 코끼리 같은 존재일 뿐이다. 피할 수 없다면 또 다른 가치를 만들어 낼수있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지 않을까?
2010/06/07 08:38 2010/06/07 08:38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5월 31일, LGT의 OZ Store 사업에 대한 설명회가 개최되었다. 국내에서는 정부주도의 통합 앱스토어를 비롯하여 이통3사가 모두 각자의 앱스토어를 보유하게 되며, 삼성과 LGE의 자체 앱스토어, Apple 앱스토어, Android Market 등을 고려하면 8개 이상의 앱스토어가 있다. 이렇게 난립해 있는 앱스토어 중 이통사들의 주요 기능을 비교해보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이통사들의 앱스토어는 대동소이한 사업전략을 가지고 출발하고 있다. 물론,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Framework를 중심으로 몇가지 차이가 나지만 실제 시장에서의 영향력있는 요소로 작용하지 못하고 있다. mobizen은 여러차례 기존 Contents Mall과의 차별성이 없는 앱스토어 런칭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전달한 바 있다.

예상대로 T Store와 Show Store가 서비스를 한지 7~8 개월 정도가 흘렀지만 성공적인 앱스토어라고 평가하기에는 현재까지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최근 그들의 행보에 조금씩 긍정적인 요소가 보이고 있다. SKT가 5월 24일부터 T Store를 타이통사 고객에게도 개방을 한 것이다. 현재는 옴니아 고객에게만 시행하고 있지만 향후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실제 시장반응과는 별도로 Walled Garden과는 차별화된 '개방' 정책으로 상징성이 있다.

KT는 더욱 파격적인 행보를 하고 있는데 바로 Network Open API를 발표한 것이다. 현재 Open API 상품을 구매하면 메시징(SMS, MMS), 위치 정보, 인증, VOD API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직은 부족하지만, 개방을 향한 첫걸음을 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LGT의 고질적인 문제점은 경쟁사 대비 느린 움직임과 그런 속도에도 불구하고 Well-Made Product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는 OZ Store 전략 설명회에서도 여실히 보여주었다. 직접 참석하지는 않았으나 지인에게 전해들은 바로는 참석자들은 무관심했으며, LGT에서는 차별화된 전략을 보여주지 못했다고 한다. 그나마 타사와 다른 점으로 포커스된 것은 다운로드 횟수가 높은 개발자들에게 제공된다는 '포상금 제도' 정도이다.

기술력이 떨어지는 LGT에게 SKAF보다 성능 좋은 Middleware를 기대했던 것은 아니다. 3위 사업자로서 해야 하는 일은 SKT-Like 한 내용보다는 좀 더 개방되고 진취적인 전략이 필요했다. 늦은만큼 준비를 철저히 하여 개선된 Open API를 제공하거나 획기적인 차별점을 제시해야 했다. 그런 것도 아니라면 개발자들에게 명확한 개발 가이드와 라이브러리 등을 제시하여 개발 환경을 개선해 주는 것도 좋았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이번 LGT의 OZ Store 발표에서는 어떠한 특장점이나 개발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내용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기존에 그래도 의미있는 시도였던 LUF(LGT UI Framework)이나 Web Component, Flash Player 들과의 기술적 연속성은 발견할 수 없다. 아직 형태도 없는 국가 통합 플랫폼을 선택한다는 것은 아무런 준비도 없다는 소리와 마찬가지이다. Android를 가지고 초기 유통채널을 구성하고, 개발자들을 지원하겠다는 내용이 전부이다. 과연 이 정도 내용을 가지고 개발자들이 움직여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LGT의 마인드가 신기할 정도이다.

경쟁사가 지금까지 했던 삽질을 다시 따라 한다고 해도 성공은 어려워 보이는데, 7~8개월전의 경쟁사 보다 못한 준비로 무엇을 하겠다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만일 잘 할수 없는 일이라면 하지 않는 것이 올바른 선택이다. LGT는 이통사가 해야할 역할에 대해서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 소프트뱅크 부사장의 이야기를 읽어 보기를 바란다.

"독자적인 앱스토어를 제공할 생각은 하지 않고 있다. 이는 자기만족에 지나지 않을 수 있으며, 무엇보다 유저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혹시 좋은 기능이 생각난다면 오히려 애플이나 구글에 의뢰하는 편이 낫지 않을까라고 생각하고 있다. 소프트뱅크가 할 일은 네트워크와 서비스, 그리고 단말이라는 3개의 요소를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가장 이용이 편한 형태로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 2010년 5월 5일, 소프트뱅크 마츠모토 부사장

2010/06/01 08:27 2010/06/01 08:27

조용한 앱스토어의 탄생, OZ Store 경쟁은 좋은거지만, 좁은 땅덩어리의 나라에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앱스토어가 존재하지 않을까 싶다. 이통사들의 자기만족을 위한듯한 앱스토어 정책..

soyuni

항상 깔끔하게 정리해주시는 센스~~ ㅋㅋㅋ

앗싸뵹

SKT T Store는 좀 사연이 많습니다.
실제 SKAF 기반 컨텐츠는 아예 없고, 약간의 위젯과 Android/WM용 Native Contents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미 훤히 꽤고 계시겠습니다만 ^^
지나가다 글적여 봤습니다.

노키

자기만족이라는 표현에 공감이 가네요. 너가 하니까 나도 해야한다는 강박관념의 산물이 아닐까 싶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Gartner의 보고서에 의하면 2010년 전체 휴대폰 판매 중 아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41.35%로 15.01%인 서유럽보다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 지역 단말 판매가 많은 이유는 중국과 인도등의 신흥 국가들에서 휴대폰 보급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인구는 크지 않지만 모바일 산업에 강세를 보이고 있는 일본과 한국 등이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지역별 트래픽 발생 비중을 보면 단말판매량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AdMob자료가 전체 모바일 트래픽을 대변하지는 않지만, 스마트폰 광고 트래픽에서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만큼 대표성을 띄고 있다. 이러한 AdMob 4월 보고서를 보면  미국의 T/S(Traffic Share)가 41.6%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트래픽 점유율이 여전히 높기는 하지만 최근 추이를 보면 점유율에서 하락하고 있으며, 최근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가 눈에 들어온다. 바로 '인도'인데 1월에 T/S가 5.1%에 불과하였으나 4개월만에 9.5%로 급성장하며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모바일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의 경우도 아직까지는 Feature Phone 위주의 구성이어서인지 아직까지 1.8%에 불과한 T/S를 보여주고 있다. 대륙별로 비교를 해보면 2010년 4월 기준, 북미 44.0%, 아시아 28.7%, 서유럽 9.7%, 아프리카 6.9% 등의 T/S를 기록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조사 M/S를 지역별로 비교를 해보면 아시아의 경우 Nokia가 53%로 가장 높으며, Apple 15%, Sony Ericsson 11% 등으로 보고 되었다. Apple의 경우 오세아니아 85%, 서유럽 68%, 북미 40% 등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내 삼성전자는 아프리카 18%, 북미 17%, 동유럽 9% 등에서 강세를 보였다. 세계 3위 휴대폰 제조사인 LG전자의 경우 특정 지역에서의 강세를 보여주는 부분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심비안은 아프리카에서 87% 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아시아 69%, 동유럽 43% 등으로 저력을 보여주고 있다. RIM의 경우 북미 10%, 남미 8% 등을 기록했으나 이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의 점유율은 큰 의미를 가지기에는 부족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Phone과 Android의 지역별 점유율을 좀 더 자세히 보면, iPhone의 경우 Traffic의 49%가 북미에서 발생했으며, 서유럽 28%, 아시아 14% 등을 기록하였다. 전체 시장에서 높은 iPhone 점유율을 보여주었던 오세아니아의 경우 전체 Traffic 기준으로 비교해보면 4%에 지나지 않았다.

Android는 아직까지는 북미 시장 중심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체 트래픽의 75%가 북미에서 발생하여 심한 편향을 보이고 있다. Asia 12%, 서유럽 11% 등만이 기록하고 있으며 나머지 대륙에서의 점유율은 1% 이하에 지나지 않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의 경우 지역별 아이폰 가입자에 대한 자료가 최근 매일 경제를 통해 소개되었다. 서울, 경기가 전체 시장의 75.6%를 차지하여 지역별 격차가 매우 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남, 서초, 송파구등의 강남3구 가입자가 전체 시장의 13.1%가 된다는 것 역시 주목해야 할 점이다.
2010/05/31 08:35 2010/05/31 08:35
발가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영업하는 사람으로 시장정보를 보기가 시워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2010년 4월, 방통위는 마케팅 비용 22% 준수 여부에 대한 시장 조사를 하였으며 자연스럽게 이통사의 마케팅 비용은 축소되었다. 이로 인해 국내 이동통신 시장은 전반적으로 단말 판매량이 급감하였다. 이런 추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4월말 현재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수는 49,206,714명으로 집계되어 전월대비 0.5% 증가하였다. 통신사별 가입자 비중을 보면 SKT 50.67%, KT 31.42%, LGT 17.91% 를 기록하였다. 이는 전월대비 각각 0.4%, 0.6%, 0.3% 증가한 수치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MNP 시장의 통신사별 점유율을 비교하면 SKT 42.41%, KT 28.31%, LGT 29.29% 등을 기록하였다. 시장점유율 대비 LGT의 약진이 돋보인다. 최근 점유율 추이를 보면 KT의 하락 또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1월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던 MNP 시장이 전반적인 시장 하락의 영향으로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통사별 판매 비중을 보면 SKT 46.70%, KT 35.15%, LGT 18.15% 으로 알려졌다. MNP 시장에 비해 LGT의 단말판매 비중이 극히 낮은 것이 특이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통신사별 단말판매 추이를 보면 모두 소폭 하락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중에서 중저가폰 판매가 급감하는 KT의 하락폭이 가장 크다. SKT는 스타일보고서폰, 에나멜폰, 매직홀폰 등의 증저가 시장에서의 선방으로 상대적으로 성공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단말사별 비중을 보면 2010년 1월, 50%를 넘어섰던 삼성전자의 시장점유율은 이번달에 다시 50% 이하로 떨어졌다. 매직홀폰(KT, LGT), 연아의 햅틱(KT)등이 주로 판매되었으나 SKT에서 중저가 단말 판매에 실패하면서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다. 반면에 LG전자는 전월대비 2% 증가한 22.1%, 팬택은 0.6% 증가한 13.3%를 이루어 냈다. KTT와 모토로라는 각각 3.6%, 2.6%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1년간 국내 휴대폰 판매량 추이를 보면 작년 7월에 가장 높은 판매량을 보인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달의 경우 전월대비 51만대 감소한 139.4만대가 판매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Phone은 전체 시장의 5.3%를 기록하며 가장 많이 판매된 단말이 되었다. 옴니아2 역시 4.3%를 기록하여 스마트폰의 상승세를 보였다. it style폰, 에나멜폰, 매직홀폰 등은 중저가폰에서 계속 선전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스마트폰이 휴대폰 시장의 핫키워드로 등장한 이후, 외국의 경우에는 스마트폰 판매량을 따로 발표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스마트폰 판매량만을 따로 발표하는 사례가 없어서 정확한 자료는 없다. 최근 디지털타임스에서 발표한 자료를 통해 짐작만할 뿐이다. 해당 기사를 통해 5월 중순까지 2010년도 스마트폰 판매량 약 122만대 정도가 판매된 것을 알 수 있다.
2010/05/25 08:22 2010/05/25 08:22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 1분기, 전세계 휴대판 판매량은 294.9 백만대로 알려져 있다. 예전과 같은 제왕의 카리스마스는 없어지긴 했지만 Nokia는 전체 시장의 36.6%를 차지하여 여전히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2위 21.8%의 삼성, 3위 10.6%의 LGE 등이 뒤를 이었다.

항상 Top5 안에 들었던 Motorola는 이번에는 리스트에서 찾아 볼 수가 없게 되었으며, 스마트폰만 제조하는 RIM이 전체 시장의 3.6%를 차지하며 4위에 들어가는 기염을 토했다. RIM이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지배력이 높기는 했지만 전체 Top 5안에 들어간 것은 이번에 처음이다. 그만큼 스마트폰이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분기 전체 휴대폰 판매량의 18.59%를 스마트폰이 차지하였다. 판매량의 증가는 조사기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전년동기대비 56~67% 정도를 이룬 것으로 보고 되었다. IDC 보고서에 의하면 54.7 백만대, Canalys 보고서에서는 55.2 백만대 정도의 스마트폰이 2010년 1분기에 판매된 것으로 집계되었다.

스마트폰 Top 5를 보면 1위 Nokia를 시작으로 RIM, Apple, HTC, Motorola 등이 차지하였다. 전체 휴대폰 Top5와 비교하여 보면 삼성, LGE, Sony Ericsson 등은 스마트폰 Top5 에서 발견할 수 없다. 전화기를 만드는데 필요한 기술과 정보를 유통하는 단말의 기술 요소가 다르며, 제조사들의 시장 지배력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 Top 5 추이를 보면 09년 3분기까지 5위를 유지했던 삼성의 경우 09년 4분기부터는 자취를 감추었으며, 그 자리를 Motorola가 차지하였다. 전체 휴대폰 Top 5에서는 사라졌지만 Motorola에게 새로운 기대를 할 수 있게 하는 이유이다. 반면, 삼성과 LGE가 스마트폰 시대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우려되는 부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편, 주요 입력 형태별 단말 판매 비중을 보면 09년 1분기에는 37.2% 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던 Keypad는 10년 1분기에는 13.5%로 가장 낮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반면 Touch Screen 단말이 과반수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Qwerty 키보드 역시 27.3%로 전년 동기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로운 플랫폼과 서비스, 그리고 Touch Screen, GPS, MEMS 등의 새로운 장치등이 일반화 되고 있는 스마트폰 시장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성장에 관한 보고서는 너무 많아서 새삼스러울 것도 없다. 많은 보고서 중 가장 최근 자료(2010년 5월 13일 발표)인 Coda Research Consultancy 자료를 참고 삼아 보도록 하자.

해당 보고서에 의하면 2010년 스마트폰 예상 판매량은 236 백만대로 이후 24% 상승하여 2015년에는 619 백만대이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예상 판매되는 스마트폰은 2.5 Billion 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두가 궁금해 하는 국내 스마트폰 판매량 추이는 정확한 보고서가 현재는 없어 짐작만 할 뿐이다. 이번 분기까지 국내 스마트폰 판매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이폰과 옴니아2는 10년 1분기에 누적 합계 백만대를 넘어섰다. 12월을 제외하고 분기 판매량만 보면 65만대 정도이다. 나머지 단말의 판매량이 극히 미비하니 전향적인 예상치를 적용하여도 이번 분기 스마트폰 판매량은 75~80만대가 된다는 예측이 가능하다.

SKT가 공격적인 스마트폰 라인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모든 단말사에서 준비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전략 단말, 하반기에 출시 예정인 삼성전자의 새로운 스마트폰 플랫폼인 바다 단말 등의 변수를 생각하다면 2010년도 국내 스마트폰 판매량은 4백만대 수준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판매량 대비 쓸만한 단말이 많지 않다는 것은 국내 스마트폰시장을 다시 회의적으로 보게 만든다. 제대로 된 안드로이드 단말이 국내 제조사를 통해 출시를 하고(해외 단말은 마케팅에 한계가 있기 마련), 아이폰 4G과 아이패드등이 나와야 활기를 띄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10/05/17 08:38 2010/05/17 08:38

아이패드는 기존 PC시장을 확대할 것이다.. 아직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의 집안에 컴퓨터를 정말 능숙하게 인터넷 서핑에서부터 온라인게임, 사무작업까지 모두를 하실수 있는 부모님세대..

이름만 아름다운 뷰티폰... 얼마전까지 필자는 뷰티폰을 썼었습니다. 그래도 꽤 많이 팔린 뷰티폰.. 써보신분들은 아시죠? 그 터치감이 꽉 안눌르면 인식도 안되고 기껏해야 전화목록 리스트 ..

어제 KT에서 이번달말까지 수도권 모든 지하철 역사와 지하철 내에서 wi-fi가 가능하게 '퍼블릭 에그'를 설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wi-fi 존은 점점 확대대가고 있습니다. 이런 시점에서 ..

tano

항상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별로 중요하지 않겠습니다만, 위의 '입력 형태 별 스마트폰 판매비중'에서 'Qwerty 키보드 역시 27.3%로 전년 동기대비 소폭 감소' 보다는 전년 동기 대비 판매량이 늘었다고 보아야 하지 않을까요?
SNS가 확산됨에 따라서 문자 입력이 많아졌을 것이고,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가상키보드를 사용하느냐 물리적 키보드를 사용하느냐의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키패드 방식이 줄어든 것도 이때문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괜히 글 한번 남기고 싶어서... ^^;;)

진눈깨비

국내 옴니아와 아이폰 비교표에서 KT 도 판매량으로 발표하고, 삼성도 판매량으로 발표를 했습니다.

그런데 ZDNET 기사를 보면...

http://www.zdnet.co.kr/ArticleView.asp?artice_id=20100330093546

삼성전자는 지난 해 말 출시한 '옴니아2' 계열 3종의 누적 판매가 60만대, 개통량 50만대를 넘어섰다고 30일 밝혔다.


통신사에 넘긴 옴니아2가 60만대고, 그중에 '개통된' 다시 말해 통신사에서 '판매'한 옴니아2는 50만대라는 이야기죠. 통신사 대리점 창고에 쌓여 있는게 10만대.

Daniel

말씀하신 것처럼 국내 시장에 대한 자료는 보기가 힘드네요...
대부분 실적발표나 신문기사 정도의 소스

혹시 좋은 리포트나 보고서 있으면 소개 부탁드려요^^

kpa_spad

우리나라는 한글의 우수성 때문에 천지인,나랏글 등이 개발되어 너무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하지만
영어(알파벳사용)사용하는 국가들은 여전히 느려터진 abc def .... 자판이나 쿼티자판을 사용중이지요.

돌돌이는 덜덜덜

감사합니다. 잘 읽고 갑니다.

yhcall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10년 1분기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모바일 뱅킹 시장이 전체 모바일 시장 활성화의 영향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분기 인터넷 뱅킹 중 모바일 뱅킹의 비중은 이용건수 기준 7.0%, 이용금액 기준 1.1%를 기록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술방식별 등록 고객수를 보면 09년 2분기 이후 VM 방식을 사용하는 고객이 대부분을 보이고 있으며, IC칩 방식은 소폭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분기 전체 모바일 뱅킹 사용 고객수는 1,185만명을 기록하였고, 이는 전분기 대비 6.1% 증가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통사의 모바일 뱅킹 가입자 추이를 보면 10년 2월말 현재 256만명으로 SKT 124 만명(48.43%), KT 90만명(35.15%), LGT 42만명(16.40%) 등으로 보고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모바일 뱅킹의 일평균 이용금액은 전분기대비 8.7% 증가한 3,575억원이다. 전년동기 대비 80.6%나 증가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용건수는 조회 서비스의 경우 1,941천건, 자금이체 375천건으로 전체 2,316천건으로 집계되었다. 조회서비스가 전체 이용건수의 83.8%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분기 대비 16.5%나 증가하였다. 자금이체의 경우 전분기 대비 5.6% 증가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KT경제경영연구소의 보고서에서 예측한 2010년 국내 모바일 뱅킹의 건수는 434만건이다. 2012년에는 1,238만건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여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성장에는 '스마트폰'의 보급과 이용이 한몫을 담당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에서의 모바일뱅킹은 iPhone App을 통한 접근이 1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09년 12월 10일, 하나은행이 최초로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이후 기업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등이 앱스토어를 통하여 비슷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나은행이 처음 시도해준 덕분으로 09년 4분기부터는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뱅킹이 가능해졌고, 사용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09년 4분기에 13천명이었던 것이, 10년 1분기에는 93천명으로 615.4%나 증가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이용건수도 늘어났는데, 09년 4분기에 일평균 19천건에 불과했지만, 10년 1분기에는 59.5%나 증가한 31천건으로 조사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용금액 또한 09년 4분기에 일평균 6억원 정도에 지나지 않았지만, 이번 분기에는 341.5%나 증가한 27억원을 기록하였다.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들이 공인인증서를 사용하고 있고, 다소 까다로운 설치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을 감안한다면 매우 의미있는 수치이다.

하나은행을 비롯하여 몇몇 은행이 발빠르게 스마트폰에 대응함으로서 다른 은행들도 조급해졌다. 후발주자들은 아이폰만 대응하면 되었던 작년과는 달리 안드로이드 및 다른 플랫폼에 대한 고민을 같이 해야 하는 숙제들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최근 '통합 모바일뱅킹 플랫폼'에 대한 이야기가 슬슬 나오고 있다.

'통합 모바일뱅킹 플랫폼'이란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대응을 쉽게 하기 위해 Framework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한 대응이 가장 빠른 우리은행은 이미 ‘스마트폰뱅킹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국민은행도 빠르면 올 하반기부터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분간은 속도전으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과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은행권이 주목받을 수 있을 듯하다. 하지만, 올 하반기부터는 다양한 기능와 모바일만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이 의미있는 승리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이 바꾸어 놓을 '모바일 뱅킹'의 미래를 기대하면서 지켜보도록 하자.
2010/05/12 08:38 2010/05/12 08:38
sky8796

자료 정리 너무 잘해놓으셨네요^*^
감사해용!!!!!

shlee

한국은행의 자료를 인용해주셨는데요,
필요해서 그러는데.. 혹시 그 자료의 제목을 알려주시겠습니까?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5월 7일, LGT를 끝으로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2010년 1분기 실적발표를 하였다. 이동통신 시장의 관심이 플랫폼, 앱스토어 등으로 이동하여 관심이 이전만 못하지만, 아직까지 현실 세계에서 이동통신사를 빼고 무선 인터넷을 논하는 것은 무리이다. 국내 무선인터넷 시장의 현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분기 실적 IR 자료를 통하여 몇몇 도표를 재구성해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 1분기(3월말 기준),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는 총 48,978,126명이다. SKT 50.68%, KT 31.38%, LGT 17.94% 를 차지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가입자 기반 Market Share 추이를 보면 SKT가 08년 3분기에 50.53%로 떨어진 이후로 계속해서 50.5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OZ와 함께 시장에서 상승을 노리던 LGT는 다시 18%이하로 떨어졌다. 아이폰 도입 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KT도 큰 변화없이 31.38%를 유지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 1분기 ARPU는 전체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ARPU 평균은 이통사별 가입자 기준으로 분기별 가중치를 주어 계산한 것으로 정확할 것이다. 2010년 1분기 국내 이동통신 시장 전체 ARPU는 38,007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분기 국내 무선 인터넷 관련 전체 수익은 1조 7백8십6억원이다. SKT가 61.74%, KT 30.78%, LGT 7.47%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OZ 2.0을 발표하여 큰 변화를 기대했던 LGT와 함께, 스마트폰의 도입을 공격적으로 하던 KT는 증가폭이 확연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스마트폰의 관심으로 인해 무선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무선 ARPU의 변화는 눈에 띄게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KT는 7,339원, LGT 4,735원으로 전분기 대비 상승하였다. 반면, SKT는 스마트폰 선점을 놓치면서 9,046원으로 하락한 것이 눈에 띄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체 매출에서 데이터가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전년동기대비는 모두 증가하였으나, 전분기대비는 소폭 감소하였다. 전체 시장의 19.37%를 데이터 매출이 차지하였고, 이통사별로는 SKT 22.07%, KT 19.72%, LGT 9.30% 등이 데이터 비중을 차지하였다.

전세계 2010년 1분기 스마트폰 시장이 전년동기대비 56.7%가 증가할 정도로 전세계는 스마트폰의 열풍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폰을 제외하고 국내에서 스마트폰 성공사례가 없는 이유는 제대로 된 단말을 만들어 내지 못하는 제조사와 해외 단말을 빠르게 들여오지 못하는 협상력 부재, 아직까지 제대로된 스마트폰 요금제를 내놓지 않는 이통사의 욕심 탓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무선 인터넷 매출과 ARPU가 상승될 수 있는 2010년 2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2010/05/11 08:39 2010/05/11 08:39
Copper

늘 좋은 정보/insight 올려주신 데에 대해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무선 ARPU 추이 커멘트에서 KT의 10.1Q 무선 ARPU를 전체 이통사 평균치를 적으신 것 같습니다. 7,339원이 맞는 수치 아닌지요?

mobizen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정했습니다. ^^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2010년 3월, 국내 이동통신 시장은 각 조사 기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시기적으로는 입학 시즌이 이어져 있어 상승을 보여야 하지만, 방통위의 마케팅비용 비중 20% 준수 여부에 관한 시장 조사를 맞이하여 소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보인 탓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입자 기준 시장점유율을 보면 SKT 50.68%, KT 31.38%, LGT 17.94% 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전월대비 증감율로는 SKT 0.8%, KT 1.1%, LGT 0.5% 등을 기록하였다.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수는 48,978,126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MNP 시장에서의 통신사별 점유율을 보면 아이폰 효과 이후에 시장이 제자리를 찾아가는 모양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입자 기준 M/S에 비해 KT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10년 3월 기준, 각사의 점유율은 SKT 40.74%, KT 34.06%, LGT 25.20%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통사별 단말 판매추이를 보면 SKT 43.03%, KT 37.48%, LGT 19.47% 등을 기록하였다. ATLAS Mobile Index 보고서는 국내 단말사 보고서에 비하면 전향적인 성적표를 집계를 하는데, 2010년 3월 국내 휴대폰 판매량을 191만대로 발표하였다. 반면, 단말제조사등은 보수적인 측정을 하는 편인데 삼성전자에서는 157만대, LG전자에서는 147만대로 각각 집계를 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삼성전자의 경우 전월과 비슷한 수준의 M/S를 보였다. 옴니아 마케팅이 정체를 보였고, 예정되었던 Android Smart Phone인 갤럭시A(SHW-M100S) 등의 출시일이 늦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LG전자는 현재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요 단말은 전달과 비슷한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iPhone은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인기를 유지하여 출시 4개월만에 누적판매량 50만대를 돌파하였다. it style 폰은 전월대비 점유율이 상승하여 가장 많이 판매된 단말 중에 하나가 되었다. 매직홀폰과 에나멜폰 등도 전월과 동일하게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외에 누적판매 45,000대가 판매된 LG전자의 '맥스폰'등이 인기가 많은 단말이다.
2010/04/27 08:29 2010/04/27 08:29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최근 불고 있는 스마트폰의 열풍으로 인해 가장 활발하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서비스 중에 하나는 LBS이다. 4월 11일날 LBS 산업협의회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009년 국내 LBS 산업 시장 규모는 1조 490억원으로 집계가 되었다. 올해(2010년)에는 1조 2223억원, 2012년 1조 6000억원으로 예측되면서 연 평균 15.1% 성장율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각 분야별 시장규모를 보자면 당분간은 서비스 보다는 단말기를 중심으로 한 기기 시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해당 분야는 2009년 9015억원, 2011년 1조 시장으로 성장하고 2012년에는 1조2775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비록, 기기 시장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2009년 1408억원에서 2012년 3106억원으로 약 2.2배 정도 서비스 및 컨텐츠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반면, 가장 구축 비용이 높고, 기술적인 투자가 클 수 밖에 없는 시스템 분야(서버, 기지국, 측위 등)은 2009년 75억원의 매출밖에 만들어 내지 못했고, 2012년에도 152억원 규모에 머무를 것으로 예측되었다. 대부분의 측위 기술이 GPS를 통한 것으로 서버 기반의 시스템 구축의 매출은 힘들어 보이는 것에 공감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비스별 매출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교통, 항법에 해당하는 분야가 2009년 716억원, 2010년 891억원 으로 전체 시장의 절반에 가까운 시장 규모를 만들어 내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물류추적·기업간(B2B) 분야가 2009년 233억원, 2010년 267억원의 규모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를 제외하면 위치확인 서비스, 주변정보 서비스, 안전 및 보안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등의 순이 예측된다.

단말기의 주도권을 갖지 못하는 이통사 입장에서는 서비스를 통한 매출만을 기대할 수 밖에 없고, 국내 이통 3사는 비슷하면서도 각자의 처해진 환경 요인에 맞는 전략을 펴고 있다. 아래는 4월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LBS산업협의회 춘계 워크숍'에서 이통 3사에서 발표한 내용을 뉴스토마토 기사를 참조하여 요약 정리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KT는 위치 인식 모바일 광고를 통하여 'Two-Sided' 모델을 본격적으로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핵심 서비스는 오는 7월에 런칭할 예정인 'L-커머스'이다. 이는 SKT 고객이 특정 지역에 도착했을 때, 해당 지역에 적합한 광고나 쿠폰등을 SMS와 MMS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불행히도, 이러한 서비스 시나리오는 기존부터 있어왔던 위치 기반 Opt-In과 크게 다르지 않다.

기존 서비스와는 다르게 가입자 정보를 정밀하게 세그먼트화하여 소비 패턴에 맞는 개인화된 광고를 제공한다는 것인데 성공의 열쇠는 정밀한 사용자 프로파일이다. 하지만, 쉽지도 않을 뿐더러 그러한 서비스 마인드와 기술력이 SKT에 있는지는 의문이다. 게다가, SKT가 주요 타겟으로 한 위치기반 광고 영역은 2010년 87억 정도의 규모밖에 되지 않는 작은 부분이다.

KT는 과거 KTF때 보다 현실적이고, 고유의 장점을 살리는 전략을 펴고 있다. 그들은 경쟁사 대비 B2B 사업의 장점이 있다고 판단하고, 물류, 대리운전, 자동차 보험사 등 이동형 업무를 지원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주목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KT의 주요 자산(Asset)을 모두 Open API로 개방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

KT는 단순한 위치 정보 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와 연계할 수 있는 컨텐츠와 어플리케이션 등도 API 형태로 모두 제공할 것으로 밝히고 있다. 다만, WPS에 대한 무리수를 두는 것은 조금 위험해 보인다. 실내측위 등의 문제가 있다고는 하나 DB를 중심으로 하는 측위 기술은 너무 짧은 생명력에서 끝날 확률이 높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LBSP 시스템등 기본 인프라를 재정비한 LGT는 이제서야 기본적인 컨텐츠 확보를 하는 수준이다. 타이통사들이 자체 서비스와 컨텐츠를 구축하여 Walled Garden화 하였다면, LGT는 서비스 제휴를 통하여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2010년 3월, LGT는 실시간 교통상황을 반영, 목적지까지 가장 빠른 길을 안내하는 지능형 모바일 내비게이션  'OZ& 내비'를 런칭하였다. 또한, Daum의 지도 어플을 'OZ 2.0' 으로 조만간 오픈할 예정이다. 지도내장형 네비게이션도 연내 서비스할 예정을 가지고 있다. LGT 역시 KT와 마찬가지로 WPS 시스템 구축을 고려하고 있으며, 3분기 말이나 4분기 초에는 전 플랫폼을 연동시켜서 위치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계획도 추진 중이다.

현재 모바일 서비스 산업은 스마트폰의 확대로 인해 기존 Walled Garden이 빠르게 무너지고 있는 추세이다.과거 Cell 측위만이 존재하던 시대와 다르게 GPS에서 일반화되면서 LBS가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되고 있다. 포탈, 제조사, 대형 LBS 업체 들이 빠르게 모바일로 들어오면서 거대한 지각 변동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할 때 각기 다른 전략을 펴고 있는 국내 이통사들이 어떻게 살아남는지는 관전 포인트가 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시장을 가장 잘 이해하는 것은 KT로 보이며, 문제는 KT의 실행력에 달려 있는 듯하다.
2010/04/22 08:37 2010/04/22 08:37
Belle

LBS라는게 먼지 설명이 없는게 큰 아쉬움이네요...

차선수

Location based System이죠 LBS란 말은 이제 일반화 되어 아마 언급을 안 하신 듯 합니다 ^^

kongdoo

위치기반 서비스

준철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ulbbang

3사의 LBS서비스를 보면 질적으로는 크게 차이가 없는듯하네요....물론 다른 기지국을 쓰기때문에 어느정도의 오차범위도 있는거 같고요!! GPS방식이 좋긴 하지만 GPS칩 내장 단말의 가격이 싸지면완전 급성장하지 않을까 하는 조그만 바램입니다.

우연히 네이버검색을 해서 찾았는데 좋은정보가 많네요!!

정보 공유 감사하며, 의견있으면 댓글 열심히 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