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디지털 라이프
모바일 업무를 하다보니 외부 테스트를 하거나 시연을 해야 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다행히 Free 무선 AP가 잡히는 곳이라면 별 문제가 없지만 아직까지 무선 AP 잡고, 설정하는 일이 만만치가 않다. 그래서 개인 무선 공유기를 계속 관심을 가졌는데, 대부분 부담스러운 가격이다. 그러다가 Windy31을 찾게 되었다. 홈페이지에 있는 Windy31의 기능은 아래와 같다.

Windy31은 세계 최초로 무선랜카드 + 무선 AP + 무선 Router(3 in 1) 의 기능을 지원하는 USB 타입의 휴대용 무선인터넷 공유기(Portable Broadband Router)로서 하나의 인터넷 회선을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 인터넷 단말기들 (DeskTop PC, WiFi Phone, IP STB, PDA, Note PC, Nintendo DS, PSP 등) 에게 무선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한마디로 무선 공유기와 동시에 무선 랜도 지원을 하는 장치이다. 본인의 노트북이 유선이던 WiFi던 인터넷 연결만 되어있으면 이를 Hub로 무선 AP를 브로드캐스팅 해준다. 가격도 무척 저렴하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면 약 35,000원 정도면 구매가 가능하다. 아래는 해당 제품의 사양이다.

구분 기능
Wireless LAN Standards
IEEE 802.11 b/g
Bus Type
USB 2.0 Type A
Modulation OFDM with BPSK, QPSK, 16QAM, 64QAM, (11g)
BPSK, QPSK, CCK (11b)
Data Rate 1, 2, 5, 11Mbps (802.11b)
6, 9, 12, 18, 24, 36, 48, 54Mbps (802.11g)
Security 64/128 bit WEP Encryption, WPA (TKIP, IEEE 802.1x) And AES
Drivers Windows XP / Vista
Router TX level TX power level control
Security Encryption Hardware-WEP(64 / 128bit)
Power power saving station support
Access 동시 32대 단말기 접속
Protocol TCP / IP, NAT, DHCP, PPPoE
Management Windows Based GUI Management

색은 흰색과 검은색, 오렌지펄 등이 있는데, 검은색을 주문했다. 도착한 제품의 앞면과 뒷면이다. 예상대로 심플한 모습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품을 개봉하니 구성품 3개가 보인다. 본체, USB 연장 크래들, 사용설명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크래들을 이용해 노트북 USB에 꽂았더니 자동으로 설치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가 끝나면 초기 설정이 시작된다. 약 90초 정도가 소요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90초 후에 기본 설정이 끝나면 아래와 같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뜨고, 사용자 설정을 할 수 있다.물론, 기본 설정으로만 사용하려면 다음 스텝을 필요없고, 사용만 하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SID는 'mobizen'으로 설정하고, SSID를 Hidden으로 설정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P를 공개해버리면 위험하니, 암호 설정을 하였다. 모바일 기기에서 쉽게 사용하게끔 WEP 으로 하였고, WEP 키 설정을 해놓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인 화면에서 '적용'버튼만 누르면 이때부터 무선 AP를 사용할 수 있다. 가지고 있는 iPod Touch로 접속하니 무선 Mac이 잡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실 회사나 집에도 무선 AP가 있지만 그 많은 무선 기기들의 AP 설정이 쉽지도 않고, 어제는 잘 되다가 오늘은 안되는 경우가 많아서 너무 불편했는데, 이제는 좀 편한히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외부 회의나 워크샵 등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Local Network로 구성을 하기 때문에 WPS는 작동하지 않는다. iPhone이나 iPod Touch 등에서 현재 위치값을 얻어오지 못하는데, 현재 기술로는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이를 제외하고는 대만족이다. mobizen과 비슷한 모바일쟁이에게는 강추인 제품이다.
2009/02/05 14:58 2009/02/05 14:58

제품을 받아들고 어떤 원리로 USB 무선 공유기가 동작하는 것인지 무척 궁금했다.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빨리 설치하고 테스트 해보는 것이 급선무 였는데, 독특하게도 Windy31 은 설치 CD..

우기태

Local Network로 구성을 하기 때문에 WPS는 작동하지 않는다가 잘 이해안되는데요~
부가 설명좀 해주실 수 있나요?

mobizen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GPS, LBS, WPS등이 일반적이고, IP를 통해서도 알아낼 수가 있지요. 가장 고전적인 방법인 IP를 통한 사용자 인식 방법은 Local Network라고 하더라도 패킷이 밖으로 나가면서 공인 IP로 쌓여 나가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WPS는 조금 다르죠. WiFi SID를 Database화해서 이를 통해 위치 식별을 합니다. 제가 강남 스타벅스에 있는 WiFi를 통해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노트북을 통해서 Windy31로 브로드 캐스팅을 한다면, WPS DB에 있을리가 없죠. 물론 Local Network와 WiFi Signal은 좀 다른 이야기입니다만 IP기반의 서비스와는 다르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제가 언급을 했던 부분입니다.

그럼..

우기태

어렵네요...
WPS라는 용어는 구글로 좀 찾아봤고 ...
IP를 통한 위치인식이 가능하다는 사실도 처음 알게되었고...

한때 와이파이나 GPS의 하드웨어 구조에 대해 공부를 많이 했었는데...
ipod은 아직 이용해 보질 못해서... 헛 공부했나 ㅎㅎ

제 지식을 정리할 겸 좀 나열해 볼께요.

제가 아는 위치인식이란 RF신호를 송수신해서 전파가 도달한 시간차이를 구함으로써 위치값을 구해내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미리 정해진 위치정보 값에 전파의 도달시간과 방향값을 계산해서 정확한 위치정보를 구해내는 것이라 알고 있구요...

일반 핸드폰이나 스마트폰에서의 과거 위치인식 방식은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으로부터(3개 이상) 모바일 노드(핸드폰)가 신호를 송수신해서 계산하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마찬가지로 디지털 MOBILE 티비도 여러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위치 계산이 가능할 거구...

GPS는 3개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받아(고도 값을 알려면 4개...) 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고, 위성이 멀기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지며.... AGPS는 기존 GPS의 부정확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른 통신 방식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들을 덧 붙여 정확성을 높인 것이고...

WIFI의 SID는 WIFI 프레임 내부(CTS, RTS, 비콘 등)에 포함되는 식별자 필드로 알고 있는데요...이 정보가 위치 정보를 담을려면 RSSI신호의 딜레이를 계산해야 될 거구요...
IP주소 또한 라우팅 주소정보를 담고있는 식별자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위치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는 것도 잘 이해를 못하겠네요 ㅠㅠ

식별자와 위치정보의 계산은 구분해야 되는 것이 아닐까란 생각도 들고...

생각나는데로 적은 글이라 내용의 사실성은 ...보장 못합니다.

mobizen

너무 어렵게 접근하셔서 그러신 것 같네요. 그냥 간단히 Database를 활용할 뿐입니다. 참고로 iPhone에서 사용되는 WPS는 Skyhook이란 업체이며, 일본의 Koozyt이란 회사도 유사 솔루션으로 잘 알려져 있으니 찾아보시면 이해에 도움이 될 듯 합니다.

"WIFI의 SID는 WIFI 프레임 내부(CTS, RTS, 비콘 등)에 포함되는 식별자 필드로 알고 있는데요...이 정보가 위치 정보를 담을려면 RSSI신호의 딜레이를 계산해야 될 거구요..." -> 이런 방법은 아닙니다. ^^

위에 언급하신 LBS나 GPS는 기술적인 정확도를 보장해주는 방법이구요, IP나 WiFi SID는 정확도를 보장하지 못합니다. DB에 의존하죠. 위에 소개드린 Skyhook도 국내에선 서울만 70% 정도의 정확도만 지원합니다.

우기태

설명 감사합니다.~

우기태

Windy31를 보면서 여러가지 생각을 해봅니다.
그동안의 제품경과는 모르겠지만 현재는 가격대비 참 멋진 제품이네요...

Standards IEEE 802.11 b/g
==> 현재 가장 활성화된 무선랜 표준이네요. 향후 블루투스까지 포함한 올인원 제품이 나올것으로 기대해 봅니다.
Bus Type USB 2.0 Type A
==> USB 2.0에서 HIGH SPEED가 480Mbps를 지원하는 걸루 알고 있습니다. 802.11n제품의 풀스펙은 지원 못하더라도 200~300Mbps는 지원할 수 있을 것 같네요. USB3.0이 나오면 또 달라질 이야기겠지만...

Modulation OFDM with BPSK, QPSK, 16QAM, 64QAM, (11g)
BPSK, QPSK, CCK (11b)
Data Rate 1, 2, 5, 11Mbps (802.11b)
6, 9, 12, 18, 24, 36, 48, 54Mbps (802.11g)
802.11 b/g의 거의 모든 MCS(모듈레이션 코딩 속도들..)를 지원하네요

Security 64/128 bit WEP Encryption, WPA (TKIP, IEEE 802.1x) And AES
==> 시큐리티는 좀 복잡해서 pass, 802.11i는 상용화와는 좀 요원한듯.

다시 드는 생각은 USB가 참 멋진 표준이 아닌가라는 생각입니다.
현재 나와있는지는 모르겠지만 VoIP나 MoIP도 끼워 박을 수 있을 듯...

우기태

안드로메다에서 고민해보니... 향후에는 무선 AP시장에 대한 삼파전도 예상되네요. 사파전일려나...
1st: 독립된 무선 Access Point(WANDY STYLE)
2nd: 스마트폰 임베디드 AP
3rd: STB 임베디드 AP(IPTV나 디지털 티비가 될수도...)
4th: PC Baced AP

근거 없는 소리입니다...개념 불충분이구요....ㅎㅎ

저때문에 질 낮은 게시판이 되는건 아닌지..모르겠네요

2nd에 대한 근거는 브로드컴의 제품라인으로 나온
802.11n + 블루투스 + FM 칩입니다.
물론 AP기능없는 그냥 Station이며, 완제품이 아닌 초소형 칩일 뿐 입니다.
http://www.tagstory.com/video/video_post.aspx?media_id=V000282072&feed=NV

mobizen

질 낮은 게시판이라니요.. 별 말씀을 다 하십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

지나가다

무선 암호화로 WEP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WEP는 암호화라는 말을 붙이기도 뭐할 정도로 보안이 약하지요. 대부분의 무선 장비들이 WPA/PSK TKIP 정도는 지원하는걸로 아는데, 그걸로 하심이.^^

EsBee

쓸만 하신가요? 저도 이 글을 보고 관심 있어서 홈페이지에 가 봤더니 사용기에 대부분이 신호가 잘 안 잡힌다는 글 뿐이라서요 ㅎㅎ

mobizen

저의 경우에는 유선만 되는 환경에서 바로 옆에서 하는 것이라서요. 이 경우에는 문제가 거의 없었습니다. 먼 곳에서 신호를 잡고 테스트 해보진 않았습니다. 이 정도 가격에 일반 무선 AP와 같은 신호의 강도를 기대하는건 사실 욕심이 아닐까 합니다. ^^

빨빤

저도 터치 입수 후...이런거 무지 뽐뿌생기고 있는데;;; ㅠㅠ

mobizen

빨빤님... 그냥 지르세요~ ㅎㅎ

a

저는 셀피즈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셀피즈는 휴대용 무선 인터넷 공유기로서, 라이터만한 크기로 휴대하기 편리하여, 거래처를 주로 다니는 저로서는 무척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넷북,노트북,070전화기 사용자의 필수품이라 생각됩니다.

사용 방법은, 인터넷이 연결되어있는 PC에 꽂으면 무선공유기로 작동이되어, 주변 무선기기 (노트북, 넷북, 070전화기, 아이팟터치, PDA, PMP 등등)에서 무선인터넷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말 그대로 무선공유기이며 휴대성이 좋으므로 강력 추천 드립니다.

yooyoo

질문하나해도될까요? 제가 노트북에 USB타입 와이브로를 사용하는데, 동시에 이 제품을 이용해서 무선AP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요요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외는 조금은 다른 분위기가 일찍부터 만들어져 있었지만 국내에서는 최근까지도 스마트폰은 업무용 디바이스였다. 블랙잭, 미라지 등은 애초부터 법인용으로만 판매가 되었으며,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또한 극히 제한적인 사무용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하지만 아이폰의 영향 때문일까? 4만대 이상이 판매되었다는 T옴니아부터는 더이상 스마트폰의 용도가 업무용이라는 말을 쉽사리 하지 못하게 되었다.

T옴니아의 성공에 고무되어 재빨리 T옴니아2를 준비하는 SKT나, OZ 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해 가칭 OZ옴니아를 준비하는 LGT의 움직임을 보더라도 더이상 법인 대상의 스마트폰을 염두해 두지 않는 듯하다. 이러한 변화는 해외의 커다란 모바일 시장의 변화에 기인하며, 그 변화의 중심에는 'iPhone'이 있다.

가장 최근 자료인 NPD Group에 따르면 해외 사용자들은 이전에 비해서 자신들의 스마트폰을 더욱 빈번하게 사용하고, 그 중에 게임 사용량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고 답을 했다. 46 퍼센트에 해당하는 응답자들이 업무용 어플리케이션보다 게임을 더 자주 사용한다고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edialets에서 발표한 위 자료를 보아도 스마트폰의 대표 Market Place인 App Store와 Android가 런칭된지 24시간 동안에 올라온 Application 분포가 Games, Multimedia, Life Style, Travel 등 개인 서비스가 집중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개인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으뜸인 Mobile Game 성장율을 보면 이러한 변화를 뚜렷이 알 수 있다. 아래는 comScore에서 발표한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추이표이다.

Downloaded Mobile Game by Platform
Audience
Three-month average ending November 2007 vs. November 2008 US Mobile Phone Users (000s)

  November
2007 (000s)
November
2008 (000s)
YoY
Growth
Smartphones 734 2,869 291%
Non-Smartphones 6,486 5,593 -14%
Total 7,220 8,463 17%
- Source : comScore M:Metrics

전년(2007년) 대비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수는 17% 성장을 했지만 일반 Feature 폰에서는 -14% 감소를 하였고, 스마트폰에서는 291%라는 놀라는 성장을 이루어 냈다. 이런 성장세를 주목하고 애플은 월 $19.99의 게임섹션을 App Store안에 만든다는 루머가 몇달전부터 떠돌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스마트폰도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2009년이 끝날 무렵이 되면 더이상 업무용 기기라는 소리가 없어지지 않을까 생각된다. 한가지 걱정되는 것은 개인 사용자가 부담없이 사용하기에 알맞은 정액제가 부족하다는 것과 다양한 국내 스마트용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찾기 힘들다는 것이다. 업계의 많은 플레이어가 희망을 가지고 미래에 투자하여 이러한 변화를 시장의 긍정적인 결과로 잘 이끌어 낼 수 있기를 바란다.
2009/02/04 08:32 2009/02/04 08:32
루미렌트

삼성전자나 LG전자, SKT에서 이번에 애플앱스토어와 유사한 오픈마켓을 준비한다고 하는데 조금 기대가 되네요^^

mobizen

ㅎㅎㅎ 그러신가요? 사실 전 별로 기대하지 않습니다. 어차피 그들은 국내 타겟도 아니고... 삼성은 이미 열었군요. http://applications.samsungmobile.com/ 입니다.

우기태

모바일 게임의 세분화된 시장(소규모의 개발이 가능한 수준?)이 얼마나 App Market에서 지속될지 궁금하네요. 국내에는 개발자는 있으나 소비자는 없고...
개인적인 예상으로는 2009년 중반까지는 소비자들의 흥미가 증가되면서 좀더 성장하다가
2009년 하반기부터는 하강 곡선을 그릴 것 같다는... ...
2011년 초중반엔 PC 게임 기반의 게임형태가 모바일에 최적화되어 국내에서 선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않을 까란 예상도 해봅니다.

김기성

역시 게임이군요-
UX를 고려하지 않으면 정말 실패하기 쉬운 장르중에 하나가 게임인데, 앞으로 이쪽 장르도 관심있게 지켜봐야겠습니다.
적절한 난이도, 적절한 보상, 끊이지 않는 흐름 등..
User Flow를 어떻게 이끌어 내는지 앞으로가 흥미진진 하네요. ^^

mobizen

게임을 비롯하여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소비가 증가하는 것은 다른 분야에 비해 Local Trend의 영향이 적기 때문이라 생각해요. Global한 시장을 지향하는 Mobile Market Place와 궁합지 잘 맞는거죠.

우기태

얼마전 app.store를 둘러보니 게임이 상위랭크를 거의 장악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사용자의 컨텐츠 접근 용의도는 Entertainment >> Information >> Communication으며,
Entertainment 중 Game이 가장 접근이 쉽다구 보여지구요.

중장기적으로 봣을 때 소규모 오락거리 게임을 돈 주고 계속 살까라는 의문이 듭니다.(우리나라는 분명히 돈 주고 구입은 안할 듯...)
중규모 이상의 게임 특히 네트워크에 특화된 게임부분에서는 국내의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게임 포털에서도 어느정도의 소비자의 지갑털이 수법의 know-how를 가지고 있구요...(예컨데 공자로 좋은 게임 배포후에 사용자의 자존심을 건드려서 유료 아이템을 구매하게 한다던가....)

모바일 3D 가속기는 계속 발전중이며 별도 칩으로 133Mhz(ARM9)정도의 성능으로 아직은 현실대비 가격이 비싸며 대중화가 힘든것 같네요. OPEN VG, OPEN ES 1.1, 2.0 등을 지원하며 네비게이션, 웹브라저 가속. 게임 가속등에 쓰일 수 있을 거구...

3G 상의 네트워크 가부화도 지속적으로 문제가 될 것 같네요.
apple로부터 트리거된 Mobile Wimax(2008년 상용), LTE(2010상용화 시작 예상)의 니드가 더 커져가는 것 같아 기분은 좋고...

그래서 예상 시점이 2010년 이후의 국내 시장 활성화를 기대해본다는...

우기태

오늘 처음으로 글을 남겼는데 인사도 못드렸네요...
이제 시간되면 코멘트를 달아볼려구요 ㅎㅎ

참고로, 아래는 제가 눈여겨 보는 스마트폰 리스트입니다.
소비자의 성향측면보다는 스마트폰의 기능면에서...
LG(인사이트, 데어)나 모토로라 단말중에는 그다지 눈에 띄는건 없구...

Apple iPhone 3G
Palm Pre
Nokia N97
HTC Touch Diamond
HTC Touch HD
Samsung SCH-M495 T*OMNIA
Samsung SGH-i908 Omnia
RIM BlackBerry Bold 9000
RIM BlackBerry Storm 9500
Sony Ericsson XPERIA X1

mobizen

우기태님. 이 썰렁한 블로그에 많은 리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말씀 하시는대로 국내 시장 활성화가 좀 되었으면 좋겠네요. ^^

엔김치

게임의 무한성은 예측 불가능인듯 합니다. 컴투스의 선방을 기도하며, 드림위즈 이찬진 대표의 apple apstore의 진출도 재미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선 아직 블루오션인 시장을 누가 가져가게 될까요? 개인사업자들도 많이 생겨나겠네요. @엔김치 / 좋은글 감사합니다.

mobizen

조금은 다른 이야기인데 컴투스와 게임빌의 최근 행보를 보면 단기적으로는 게임빌의 전략이 좀 더 우위에 있는 것 같습니다. 게임의 질이나 Market Place의 발빠른 대응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장르와 UX에 대한 관점에서 말이죠. 게임빌이 미국시장에서 고전하더니 배운건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soulpp

역시 올때마다 좋은 자료들이 많네요 ㅎㅎㅎ

준비를 마치고나니 한결 가벼운 마음에 한걸음에 달려와봤네요 ㅎㅎ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해 통신업계 실적을 그룹별로 구분해서 본다면 LG 계열의 선방이 돋보인다. 모든 것을 쥘려고 하고 남 잘되는 꼴 못보던 SK계열(SKT, SK브로드밴드)은 매출이 2.9% 성장 밖에 하지 못했고, 합병을 위해서 양적인 성장에 주력하던 KT계열(KT, KTF)는 4.7%만 성장 하였다.

반면에 가진 것도 없고 더이상 잃은 것도 없는 LG 계열은 LGT의 OZ, VoIP의 myLG070 등을 앞세우며 개방형 정책을 폈고, 저렴한 요금으로 사용자에게 다가섰다. 2008년 LG계열(LGT, LG데이콤, LG파워콤)의 매출 성장율은 평균 9.5%이다. SKT와 KTF의 폐쇄적인 정책에 손가락질을 하면 의례히 듣게 되는 "개방하면 성공한다는 보장이 있느냐"에 대한 근거 자료가 마련되지 않았나 싶다.

LG계열의 움직임 중에 개인적으로 관심있게 보는 사업 분야가 바로 myLG070 이다. 아주 만족하면서 사용하는 고객이기도 하며, Air에 대한 부담이 전혀 없는 Gadget으로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myLG070의 성장 추이를 LG 데이콤의 실적 발표를 토대로 알아보도록 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년 3Q에 다소 추춤한 모습을 보였지만 2008년 전체 매출은 109,947(백만원)으로 전년도 매출인 18,275(백만원)에 비해서 엄청난 매출 성장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단말기를 무상으로 지원해주는 마케팅의 힘이 많은 작용을 하고 있지만, 년간 502%의 성장율이라는 성적표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숫자이다. LG 파워콤의 공개 자료는 myLG070과 IPTV를 합산해서 보여주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를 알 수 없어 위의 그래프에서 제외를 했지만 LG 파워콤내의 myLG070 매출까지 더한다면 실제 myLG070의 매출은 조금 더 높아질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화 사업이 가입자 기반이 핵심이 되므로 가입자 추이 또한 무척 중요한데, 지난해 4분기 말 누적 가입자 120만을 돌파했다. 올한해는 2008년 10월말 시작된 인터넷전화 번호이동 전체 신청 고객 가운데 50% 이상을 확보하는 등 가입자 증가 폭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yLG070에 대해 몇차례 언급을 할 때마다 이야기 하는 것이지만, myLG070의 성장은 지금은 무섭지만 분명히 한계가 있는 분야이다. 요즘처럼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가 나타나는 시기에는 그 한계가 예상보다 빨리 올 것이다. LGT가 모든 것을 포기했지만 OZ라는 새로운 채널을 열어서 2008년 상승을 했듯이 myLG070 역시 단순한 음성 통화외의 Value를 제공해야 한다.

개인적으로는 아이허브를 좀 더 풍성히 꾸며주기를 원하지만, 전용 모바일 뱅킹이나 정보형 위젯 서비스 등과 같은 차별화를 시도해도 좋을 듯 하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아닌 myLG070 무선 AP를 활용한 Post Air를 노려보는 것은 어떨련지..(myLG070폰은 무선 AP의 암호와 무관하게 가장 신호가 강한 myLG070 전용 AP로 연결이 가능하다.)
2009/02/03 09:04 2009/02/03 09:04

이쁜 처제가 사랑하는 언니 가족을 위해서 대신 가입하고 국제우편으로 보내 준 인터넷 전화 myLG070이 무사히 도착하여 오늘 설치하고 사용해 보았는데 너무 좋다! 마치 한국에 있으면서 국내..

우리집 전화기도 myLG070 인데요. myLG070 매출이 연간 502%나 증가 했다네요. 대단해요!

I'm Sure

요즘은 어딜가도 mylg070 AP가 잡혀서 wifi 쓰고 싶을 때 유용하게 잘 쓰고 있습니다.
물론, 이 암호가 어딜가도 똑같다는 (유저가 고치기 전까진) 사실을 아는 사람은 몇 없지만요.
계속 성장해주면 fon 비슷한 역할을 할 거 같다는...

lesmin

심지어 고정SSID와 패스워드를 갖는 Hidden SSID가 하너더 있다는 사실은 거의 모르고들 있지요..
이 정보가 공개되면 유저가 고치든 안고치든 누구나 mylg070 AP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mobizen

I'm Sure님, lesmin님 리플 감사합니다.

본문에서 "무선 AP의 암호와 무관하게 가장 신호가 강한 myLG070 전용 AP로 연결이 가능하다." 라고 이야기 한 것이 그부분을 언급한 것이구요. 이 부분은 B2B로 잘 풀면 소비자에게 혜택도 주면서 새로운 비즈니스가 만들어 질 수 있을것이란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FON보다 이미 더 나은 것 같아요~

곰소문

고거 좋은 정보네요.

I'm Sure

하긴... 그러니까 mylg070 기계는 무조건 무조건 이군요.

ZOOTY

저기 제일 위에 있는 이미지의 070 단말기를 개발한 업체와 일을 하고 있어서
좀더 글에 관심이 가네요. ^^
하지만 현재 출시되어 있는 저 단말기는 저와 상관은 없습니다. ^^

mobizen

그러신가요? ZOOTY님 오랜만입니다. 잘 지내시죠?

NoPD

오... 몰랐던 사실이네요...?
숨겨진 SSID 가 있다라... -_-...
어쨌든 가입자 100만명을 넘기면서
나름 규모의 인프라를 확충한 것 같은데
아직까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것 같아서
조금 안타깝기까지 하네요 ^^

skshslrtm

인도에서 제조업을 하고 있는데, 인터넷 전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업체가 있네요...인터넷전화로 인한 한국의 통신회사들의 수익구조와 성장추이에 대해서 묻고, 우리에게는 인터넷전화(및 모뎀)을 현지에서 제조할 수 있느냐고 묻네요....이번달에 한국에 들르는데 자료를 제공 해 주실분이나 관계자분들은 제게 관심을~~~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LGT을 마지막으로 지난주에 국내 이통사 2008년 4분기 실적 발표가 모두 끝났다. 2008년 최종 성적표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LGT는 성공, KTF는 성장, SKT는 실패라고 할 수 있다. mobizen의 관심사가 항상 그렇듯이 모든 사업 분야가 아닌, 데이타 매출을 중심으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다. 가장 기본이 되는 누적 가입자 추이를 보도록 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년 12월말 현재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수는 45,606,984명이다. 이통사별 시장 점유율은 아래와 같다. 아래 M/S는 2008년 12월뿐 아니라, 2008년 내내 큰 변동없이 유지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재미난 것은 이통사들의 2008년도 마케팅 비용은 사상 최대였다는 것이다. 지난 한 해 이통 3사는 총 5조9165억원을 마케팅 비용으로 집행했다. 이는 2007년 5조4211억원에 비해 9.14% 증가한 수치로 역대 최대 규모다. 업체별로는 SKT는 2007년(2조8천540억원)에 비해 7.3% 증가한 3조635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KTF 역시 18% 증가한 1조8868억원을 지출했다. LGT는 2007년(9천698억원)과 비슷한 9천662억원을 집행했다. 이런 마케팅 비용을 지불했음에도 가입자들이 움직이지 않고 M/S도 변함없는 이유는 가입자들이 약정할인을 기반으로 하여 단말 교체 주기가 길어졌기 때문이다. 이는 아래 번호이동 가입자수 추이를 보면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년도 2분기에 이통사 출혈 마케팅으로 인해 강제로 올라가기는 했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급격히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현상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예상이 되며, 이런 현상을 만든 것도 이통사이며 이로 인한 성장 동력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하는 것도 이통사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장 관심이 가는 무선 인터넷 매출액은 3조 6천억원 가량이다. 가입자 M/S 자료와 비교하면 무선 인터넷 매출 M/S는 SKT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입자와 마찬가지로 국내 무선 인터넷 M/S 역시 2008년도에 큰 변화가 없었고, LGT가 OZ 상승 효과로 소폭 상승했을 뿐이다. 최근 국내 무선 인터넷 관련 매출 추이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선 인터넷 매출이 지속적인 성장을 해오다가 2008년에 처음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 이통사별로 보자면 KTF 와 LGT는 꾸준한 성장을 하고 있지만 SKT의 시장 지배력이 크므로 SKT의 침체가 전체 시장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과연 무선인터넷 ARPU는 어떨까? 2008년도 초에 시행되었던 SMS와 무선 인터넷 요금 인하 등으로 인해 무선 ARPU가 2007년도에 비해서는 크게 감소했지만 다행히도 분기별로 조금씩 성장을 하고 있다. 자료를 재구성해보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년도는 다들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을 한다. 이동통신사들은 3G와 4G를 동시에 대비를 해야 함으로 투자할 일이 많은데 이통사들의 상반기 계획으로는 경기 침체에도 불구 투자는 지속적으로 될 것으로 밝히고 있다. 이러한 설비투자도 무척 중요하지만 해외로부터 불어오는 개방형과 새로운 플랫폼 전쟁에 맞추어 투자를 하고 다양한 시도를 하는 해가 되기를 바란다.
2009/02/02 08:42 2009/02/02 08:42
킬크

정말 잘 정리해 주셨군요. 개인적으로 봤을때 올해가 데이터 매출을 올리기 위한 이통3사의 무선 데이터서비스 드라이브 원년이 될 것으로 봅니다. 또 반드시 그렇게 되어야 사업이 성장한다는 것을 보일 수 있을테니까요.

mobizen

네.. 제발 좀 그렇게 되어야 할텐데요. 이통사가 도와줄련지 모르겠어요. ^^

후레지아

잘보고 갑니다~~!!!

인생 활력소

좋은 자료네요. 잘 보고 갑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무선 인터넷의 어두운 전망은 끝이 보이지 않고, 소규모 CP들은 하루가 다르게 쓰러져 가고 있다. 과연 무선 인터넷의 매출 중에 CP들이 가져가는 정보 이용료의 추이는 어떻게 되고 있을까? 이통사의 분기 실적 자료 중에 KTF는 CP 정보 이용료를 공개하고 있어 해당 자료를 모아서 재구성 해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KTF는 2001년부터 실적 발표를 하고 있지만 2006년부터 도시락, 원음벨, 링투유 등 일부 컨텐츠에 대한 매출을 총액으로 인식함에 따라 2006년 이전 자료는 비교하는게 의미가 없으므로 최근 3년 자료를 비교해 보았다.  2007년도에 가장 높은 수익을 CP들이 가져 갔으나 2008년도에는 전년대비 23.5%나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이와 같이 CP가 가져가는 액수가 줄어든 것에 대해 KTF는 '컨텐츠 수익 감소'가 원인이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정말일까?  전체 KTF의 정보이용료 수익을 보도록 하자. 아래 그림과 같이 지속적인 증가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왜 정보 이용료 매출은 증가를 하는데 CP가 가져가는 매출액은 줄어 들었을까? 현상을 쉽게 보기 위해서 전체 KTF의 정보이용료 수익 중 CP가 가져가는 비율을 재구성 해보도록 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년에는 CP에게 전체 정보 이용료중 약 70%를 주었으나 2008년에는 50%도 안되는 비율로 RS를 가져갔음을 알 수 있다. 자세한 내막은 알 수 없으나 이러한 문제는 CP에게 일방적으로 통보되는 마케팅 비율, 사전 조율 없는 '1+1'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 예상된다. 시장 파이를 넓히는 것은 좋지만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가 전체 매출의 절반도 가지고 못간다는 것은 얼핏 생각해도 기형적인 운영이다.

모르긴 해도 SKT는 더하면 더했지 낫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09년도에는 정부가 나서서 이통사와 CP의 RS 비율을 가이드 해준다고 한다. 얼마나 실효가 있을지는 모르지만 가뜩이나 힘든 2009년도에 이통사의 횡포에 우는 CP가 조금이라도 적어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한국 무선 CP들, 2009년도에도 파이팅해주기 바란다.
2009/01/29 09:56 2009/01/29 09:56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게임
오랜 기간 동안 모바일 게임에서 Big3 로 알려진 컴투스, 넥슨 모바일, 게임빌. 그들이 만드는 게임의 퀄리티나 사용자의 호응도, 시장 지배력은 굳이 말할 필요가 없을 정도이다. 결국, 이들의 전략이나 매출 추이등을 알아보는 것은 국내 모바일 게임 개발사들의 현재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이다. 하지만, 이 3 기업 중 기업 공개가 되어 있는 기업은 '컴투스'뿐이다.

언론에 노출된 그들의 기사를 기반으로 하고, 지인들의 네트워크를 동원해 대략적인 매출 추이 분석을 해보았다. 지인을 통한 자료인만큼 100% 정확하다고 자부할 수 없으니, 세부 숫자보다는 전체적인 흐름에서 이해해 주기 바란다. Cross Check를 한 만큼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라 예상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불행히도 넥슨 모바일의 시장 지배력은 갈수록 하락하는 것 같다. 넥슨으로 합병된 후부터 온라인에 치중하고, 출시되는 제품의 숫자가 급격히 줄어드니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2008년 매출이라고 예상되는 100억 역시 게임 다운로드 매출보다는 아이템샵에서 이루어지는 매출이 더 많을 정도이다.

이 블로그의 실질적인 첫 포스팅인 '모바일 컨텐츠의 산업화'에서 모바일 게임이 산업화 되면서 상위업체의 시장 지배력이 커지고, Big3의 전체 매출 비중이 22%라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그로부터 약 2년 반 정도가 지났으니 어느 정도 이 수치가 바뀌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장미빛 모바일 게임. 하지만 우리는...'에서 소개했던 방송통신위원회의 자료를 기반으로 항목별 비중을 평균으로 계산해보자면 CP 매출이 전체의 6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게임 시장 추이' 에서 소개했던 2008년 대한민국 게임 백서의 자료에 의하면 2008년 국내 모바일 시장의 총크기는 2,719억원이다. 그렇다면 2008년 국내 모바일 CP들의 총매출은 약 1,767억원 정도가 되는 셈이다. 위 매출 자료에 의하면 2008년 Big3의 매출 총 합은 616억원이다. 이는 모바일 CP 총 매출의 약 34%를 차지하는 셈이다.

매출 자료의 정확성에 대해 신뢰할 수 없으며, 방송통신위원회의 자료가 처음 공개되었을 때에 SKT가 자료 조사에 문제가 있다고 방방 뛴것을 감안해서 오차가 아주 크다고 하더라도 2년 반 전의 22%에서 크게 증가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렇게 '빈익빈 부익부'가 심화되는 것은 해당 업체들이 자체 게임 외의 퍼블리슁도 겸하고 있으며, 시장 지배력들 이용하여 월정액, BP몰 이용, 부분 유료화, 마케팅 강화 등을 진행하고 있으니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모바일 게임도 점점 규모의 경쟁으로 흘러 가고 있다.



PS : 넥슨 모바일과 게임빌은 비록 기업 공개가 되어 있지 않지만, 그들이 가진 지배력을 생각한다면 기본적인 매출 자료나 수익 구조를 공개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자료를 통해 조그만 업체들이 전략을 짜고, 경쟁력을 가지는 것이 시장 크기를 키워나가는 것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특히, 이제는 대기업이라고 불러야할 것 같은 넥슨 모바일은 좀 더 큰 시야를 가져주기를 바라고, 언론을 통해서라도 다양한 자료들을 공개해주기 바란다.
2009/01/19 19:25 2009/01/19 19:25
저스틴

시장의 파이를 키워나가는 넥슨 모바일로 발전하면 좋겠어요~

mobizen

그러게요. 넥슨이 좀 더 화이팅 해줬으면 하는데 말이죠..

엔김치

컴투스가 그만큼 경쟁력이 생겼다고 볼수도 있겠네요. wifi가 해제되는 만큼, appstore가 한국에 얼마나 파급효과가 있을진 모르겠으나, 모바일CP업체들의 선전 그리고 벤처열풍을 기대해 봅니다. 한국모바일CP기업 화이팅 입니다.. @항상 좋은글 감사합니다

mobizen

말씀하시는 'wifi 해제'는 'WIPI 의무화 해제'를 말씀 하시는건가요? 오타인지.. WiFi Lock 해제인지 헷갈리네요.. ㅎㅎㅎ

여튼 저도 한국 모바일 CP 기업들 화이팅입니다!! ^^

엔김치

ㅎㅎwiifit과 wipi 가 섞여 버렸네요.. 감사합니다

ajmind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일단 펌 질 좀 하려합니다.
제가 웹에 초짜인지라.. ctrl + c / ctrl + v 외에는 어케 이쁘게 펌질 할 방법을 잘 모르겠네요. ^^

펌이 곤란하시다면 리플 남겨 주세요. 바로 삭제하겠습니다.

LEE

BIG3의 순이익 비율을 보실수 있다면 더 재미있는게 될것 같은대요..
순이익 공개는 안되있겠죠?
예상되는 매출대비 순이익 비율은
넥슨>게임빌>컴투스 가 될것 같습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8. 국내 서비스 현황

최근 국내 모바일 SNS에서 가장 큰 움직임은 네이버의 미투데이 인수이다. NHN는 2008년 12월 22일 미투데이 주식 100%를 22억4000만원에 전체 인수한다고 22일 공시했다. 네이버가 이번 인수를 한 이유는 미투데이의 모바일 서비스를 더욱 개선한 후 기존 네이버 서비스와 접목하여 모바일 SNS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이다. 유선에 특화 되어있고 조직이 비대해져있는 네이버가 미투데이만으로 모바일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기는 힘드나 다른 업체와도 물밑 접촉을 지속적으로 진행중이며, 그 중 한군데는 거의 성사단계로 알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이 서로 융합되어 모바일에서 펼쳐질 때 커다란 시너지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이통사들의 현황에 대해서는 '모바일 SNS의 진화와 국내 이통사들의 전략'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적이 있다. 일반적인 시장 개요는 이미 소개를 했으니 그 이후에 런칭한 SKT의 하루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자.  검색엔진에 등록조차 되어 있지 않는 이 따끈따끈한 서비스는 휴대폰의 주소록에서 출발하여 라이프로그를 지향하고 있다. 모바일 SNS 만의 장점을 잘 살리고, 자사의 다양한 제품을 이용한 멀티채널 접근이 가능하게 해 놓았다. 서비스의 기능만으로 보면 완벽한 서비스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완벽한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예상되는 하루의 미래는 그다지 밝지 못하다. 여러 포스팅에서 의견을 밝혔듯이 SNS는 기능 위주의 서비스보다는 운영 위주의 서비스이다. SKT는 대부분의 운영과 마케팅을 아웃소싱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SNS 성장에 큰 장애물이 될 것이다. 하루는 2008년 11월에 체험단 모집을 했는데 여성 사용자만을 지원 받았다. '라이프 로그'라는 측면에서 여성 사용자의 충성도를 극대화 하고 싶어하는 의도는 알겠지만 그만큼의 효과를 얻어냈는지 의심스럽다.

블로그 마케팅을 비롯한 마케팅 대행사 역시 '아이넥스'에서 하고 있다. 서비스는 오픈 후의 한달 정도가 마케팅의 정점인데 언제쯤 움직이련지, 하루의 Identity가 General 한 SNS보다는 십대 여성만을 타겟으로 함인지 알 수가 없다. 이미 펼쳐질 때로 펼쳐놓은 자사와 관계사내의 비슷한 서비스들(싸이월드, 파자마5, 토씨)등과의 정리도 크나큰 숙제이다.

이렇게 무책임하게 유사한 서비스들을 펼쳐놓은 SKT와 달리 KTF와 LGT는 조용하다. '모바일 SNS의 진화와 국내 이통사들의 전략' 포스팅에서 소개했던 수준에서 크게 바뀌지 않고 있다. '팅크웨어'의 '모여라 친구'와 네오엠텔의 'send위치'가 조용히 서비스를 시작했을 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9. 마치는 글

사용자 삽입 이미지
SNS 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은 다른 서비스와의 접목이 쉽다는 것인데, 이는 모바일 SNS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야 하는 점이다. 모바일에서 SNS는 서비스라기 보다는 하나의 기능(Feature)에 가깝다. 타 모바일 서비스들이 SNS Feature를 흡수하여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이는 유선 SNS와 보완적인 서비스가 아니라면 검색이 중심이 되는 유선 인터넷과는 뚜렷하게 차이나는 점이다.

2009년에는 유선의 대형 SNS들이 모바일 서비스를 더욱 확장하면서 모바일 SNS 시장을 넓혀갈 것이며, 모바일에 특화된 기능을 앞세운 다양한 사업자들이 계속해서 등장하면서 시장을 뜨겁게 달굴 것으로 예상된다. 오픈 플랫폼의 큰 흐름과 더불어 타 SNS의 Data를 마이그레이션하는 다양한 툴이 등장하면서 진입 장벽을 낮추고, 사용자들의 입맛은 까다로워지고 있다. 모바일에 관심없는 국내의 대형 SNS 현황과 '공유와 참여'에는 다소 인색한 국내 현실이 암울하기는 하지만 모바일 SNS가 모바일 시장의 미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술 플랫폼의 혼란, 컨버전스, 시장의 침체를 딛고 누가 승자가 되어 활짝 웃을 수 있는지 지켜 보도록 하자.
2009/01/07 23:44 2009/01/07 23:44
뽐뿌맨

소셜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소셜 공간에 있는 사람들간의 액티비티가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가 입니다. 예를 들어, 싸이월드가 성공할 수 있는 것들은 매일 사람들이 접속해서 사진들을 올리고 일촌을 맺어 공유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 것처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사람들이 자주 사용할 수 있도록 팬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토시나 여러 대기업 서비스들은 아직 그런 면에서는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모바일 SNS는 Thread SMS나 여러 다른 Mashup 기술, 혹은 Location awareness와 연결되어 한 차원 더 높게 진화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
Mobizen님, 글을 잘 읽었고 조만간 한번 찾아 뵙도록 할께요~!!

mobizen

맞는 말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SNS는 기능보다는 운영과 마케팅이 더 중요한 것이구요. 국내 사용자들이 엔터테인먼트와 가벼운 개인 컨텐츠 공유를 좋아하니깐 그런 부분을 잘 활용해야 합니다.꼼꼼하게 Log를 직접 입력하고 일정 관리를 하는 것은 일부이지 대중화되기는 힘들다고 생각해요.

네.. 시간 되실 때 연락 주세요~ 또 뵙죠.. ^^

어나니머스

이통사들이 소극적인것은 패킷매출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패킷매출을 포기할시 (wifi/wibro 등으로로 돌리거나, 무료로 했을시)
이통사에게 무선데이터 매출을 약속해줄수 있는것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mobizen

화두 자체가 고전적이긴 하지만 답 또한 쉽지 않은 것 같네요. 밖에서 보기엔 이통사가 패킷 매출을 포기하면 무선 인터넷 사용이 활발해지고 시장이 커져서 공생할 것이라 이야기 하지만, 이통사 입장에서는 패킷을 포기한다고 시장이 활기를 뛴다는 보장이 없으니깐요... 어렵네요.. ㅎㅎ

아리

글을 볼때마다 꼭 한번 뵙고 싶어지네요
관심있는 것이 비슷하고, 고민(?)도 비슷해서 말이죠 ^ㅡ^
기존 온라인 SNS업체, 모바일제조, 통신사의 크고 작은 행보가 재미있는 요즘입니다.
(물론 그게.. 해외만 해당되어서 그렇쵸..)

또 잘 보고 갑니다

mobizen

맞습니다. 해외에만 해당되는 이야기라는게 많이 아쉽네요. 올해는 뭔가 조금 바뀔 것 같은 움직임이 보이니 기대해보죠 ^^

전 모바일 관련된 일이 생기면 이곳저곳에 기웃거린답니다. 아리님도 꼭 한번 뵙고 싶네요. 기회가 있겠죠~ ㅎㅎ

dreamflower

굉장한 자료네요.. 감사의 마음으로 꼼꼼하게 한줄한줄 보았습니다.

후발주자인 회사에 근무하면서 SNS 서비스를 기획하는 담당자로서 걱정반 희망반으로 보고 갑니다.

다음에 또 뵐께요.. *^^*

mobizen

도움이 되신다니 다행입니다. 저야 정리만 한 것 뿐입니다. 다른 정보나 의견 있으시면 알려주시구요~

ㅁㄴㅇㄹ

모바일에서 SNS가 정말 미래인지 근원적인 부분부터 다시 고민해봐야하지 않나 하는게 개인적인 소견입니다.. 모바일에서 기존 디바이스에서의 성공을 그대로 이식한다고 그게 과연 소비자에게 얼마나 어필될런지.. 당장 PC방만 들어가도 아쉬울게 없는 기존 SNS와, 처음부터 DB를 다시 구축해야 하는 모바일 SNS중 과연 어느쪽을 소비자가 선택할 것인지.. 모바일의 미래는 기존 성공의 답습보다 좀더 혁신적이어야 한다는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게임
글로벌 모바일 게임 시장에 대한 예측은 조사 기관에 따라서 세부적인 수치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애널리스트마다 기준이 데이타를 얻어내는 루트와 전체 시장 규모의 범위가 다를 것이니 어쩌면 당연한 현상일 것이다. 이들 보고서가 공통적으로 이야기 하는 흐름에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가장 중요한 핵심은 글로벌 경제 침체에도 불구하고 2009년에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2010년도에는 큰 폭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2009년도에 대한 기대감은 스마트폰과 하이엔드급의 성장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연관되어서 iPhone의 App Store나 구글의 Android Market과 같은 Off Portal에서 게임 카테고리의 수요가 많아지는 것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Nokia의 N-Gage 2.0 이 시장을 리드하며 마케팅 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마케팅 효과는 2010년이 되면 다시 빛을 잃어버릴 듯 하다. 다소 극단적으로 이야기하면 2009년도 모바일 게임 시장은 실제 고객들의 실수요보다는 마케팅 효과에 의해서 리드될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다면 국내 시장은 어떠할까? 다소 전향적인 자료로 보아지는 게임백서에 따르면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자료와 달리 시장 체감 경기는 큰 변화는 없을 것이다. 아래와 같은 지속적인 성장은 기존의 모바일 시장이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채널이 넓어지며, 모바일 게임이라는 개념이 확장되어 가는 것이다. 국내 이통사도 이러한 시장의 다각화에 대해서 뒤늦게 노력하고 있다. 최근 SKT가 추진하는 MPGS 역시 IPTV, 핸드폰 이외의 Portable Device 등에 들어가는 멀티플랫폼에 관심을 돌린 예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통사만을 바라보던 CP들도 생존을 위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게임빌을 필두로 하여 부분 유료화와 아이템 멤버샵 등 BM에 대한 다양한 채널을 CP들 스스로 주도하고 있으며, App Store와 Android Market과 같은 Open Market에 대한 도전도 시작하였다. 국내 이통사들만 바라보기에는 더 이상이 미래는 없다는 사실과 개방이라는 세계적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을 한 것이다.

불행히도 이러한 CP들의 움직임은 Big3를 중심으로 하는 그나마 규모가 있는 업체 위주로 행해지고 있다. 대부분의 소규모 업체로 구성되어 있는 모바일 게임 CP 특성상 어쩔 수 없는 현실인 듯 하다. 아직도 3개월을 넘지 못하는 Life Cycle을 갖지 못하는 국내 제품에게 Global이나 Multi Platform 등은 머나먼 나라 이야기이고, 힘든 생존일 뿐이다. 영세업체들은 조금 힘들더라도 조금은 떨어진 미래를 보고 새로운 시도를 할 필요가 있는 시점이다.
2009/01/05 09:52 2009/01/05 09:52
saywhat

항상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mobizen

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엔김치

4월이후 벌어질 모바일세계의 급격한 변화가 너무 기대되는 요즈음 입니다...
모바일게임사외 CP사 모두 건승하시기 바랍니다.
ps
그런데 저는 이용을 해 본적이 거의 없네요.. ^^ (KB뱅킹을 제외하면 말이죠)

mobizen

아무래도 쓸 만한 서비스가 부족하다 보니 관심만 가지고 실제 이용해 본 적이 없으신 것 같네요. 저부터 많이 반성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저스틴

좋은 글 감사합니다.

skshslrtm

인도에서 제조업을 하고 있는데, 인터넷 전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업체가 있네요...인터넷전화로 인한 한국의 통신회사들의 수익구조와 성장추이에 대해서 묻고, 우리에게는 인터넷전화(및 모뎀)을 현지에서 제조할 수 있느냐고 묻네요....이번달에 한국에 들르는데 자료를 제공 해 주실분이나 관계자분들은 제게 관심을~~~

skshslrtm

에구구....코멘트 위치를 잘멋 잡았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4. 아이폰의 성공은 이례적

스마트폰에 대한 긍정적인 보고서에는 하나같이 '아이폰'의 성공을 거론하고 있다. 아이폰의 성공 신화는 이제는 누구도 평가절하할 수 없는 수준까지 왔다. 가젯으로서의 완성도 뿐만 아니라, 플랫폼과 App Store, iTunes의 결합은 '스마트폰'이 PC를 대체하게 될 매개체로서 인식되곤 한다. 실제로 얼마전에 ChangeWave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RIM은 41%, 애플의 아이폰은 23%, 팜은 9%를 차지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이폰의 성공과 무선 ARPU 기여도에는 이견이 있을 수 없지만 이러한 성공을 스마트폰 전체 시장으로 '일반화'하는 것에는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 RIM을 통해 일찍부터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E-mail 서비스 등을 제공받던 북미 모바일 시장도 무선 ARPU가 눈에 띄게 증가한 시점은 iPhone의 등장 이후이다. iPhone이 대단하기는 하지만 이는 단말 모델 하나 가지고 시장 점유율 자체가 바뀌는 것을 보면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단계가 될려면 멀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또한, 4월 1일이면 국내에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폰 역시 국내에서도 북미와 같은 결과를 보일지 일본과 같은 모습을 보일지 예상해볼 필요가 있다. 가젯의 성공 여부가 10개의 단점보다는 1개의 장점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지만, 현재의 장점만을 보더라도 전용 요금제 부재, 한글화된 컨텐츠의 부족, 게임 등급에 대한 사전 심의, 그리고 1년 가까이 지속된 아이폰에 대한 기다림 등이 무선 데이터 시장 침체라는 벽을 넘을 수 있을까?


5. 2009년 스마트폰 라인업

SKT는 현재 T옴니아를 중심으로 RIM의 볼드 9000, HTC의 다이아몬드, 소니에릭슨의 엑스페리아 X1, Nokia의 6210, 6650 등을 준비하고 있다. KTF는 iPhone을 중심으로 해서 Nokia 6210 등의 모델을 라인업할 계획이다. 이외 공식 기사화되지는 않지만 삼성전자와 LG전자에서 각각 iPhone Killer 프로젝트로 하이엔드급 스마트폰을 개발 중이다. 양적으로는 훌륭해 보이는 라인업이지만, 실제 디자인이나 그립감등은 국내 사용자와 맞지 않는 단말이 대부분이다. "스마트폰 = 풀터치" 이라는 등식이 성립되지 않는 폰도 있을 정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더욱 중요한 것은 이통사의 '스마트폰 전략'이다. 미디어를 통해 2009년에는 전략적으로 스마트폰에 투자를 할 것처럼 이야기 하고는 있으나 가장 기본적인 요금제에 대한 고민이 없다. SKT, 삼성, MS의 CEO가 모두 모여서 런칭쇼까지 했던 T옴니아 마저 전용 요금제가 없다는 것은 이통사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이 어느 수준인지 알 수가 있다. iPhone 도입이 가장 유력한 KTF는 iPhone 전용 요금제를 고려는 하고 있으나, 금액 자체가 Comsumer들이 기대하는 수준과 거리가 멀 것으로 보인다.


6. 스마트폰은 단말이 아닌 플랫폼

스마트폰은 소형 플랫폼으로 인식해야 한다. 해외 스마트폰을 도입하면서 해당 단말이 연동되는 다양한 서비스와 플랫폼이 국내 환경에 맞추어 이식되어야 한다. 불행이도 이러한 검증된 서비스를 도입하고, Localization에 대한 지원을 해줘도 부족할 판에 이통사들은 자신들의 사업 영역과 충돌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노키아의 OVI, 애플의 아이튠즈가 멜론과 도시락을, 모시(mosh)와 앱스토어가 mPlayOn과 다운로드팩과 사업영역이 겹치는 것에 대해 걱정 중이다. 이러한 서비스 도입에 유보적이라면 해외 단말을 들여오는 이유가 '비싼 외산 단말기'라는 것 외에는 없다는 말인가? 포기할 것은 과감히 포기하고, 그들이 할 수 없는 Local Application, Local Service의 활성화에 초첨을 맞추고 투자를 해야 하는데, 거대 기업이 불분명한 시장에 과감한 투자를 할 확률은 극히 적다.

관계 법령 또한 발목을 잡고 있다. 네비게이션 폰이라고 불리우는 Nokia 6210의 경우, Maps 서비스에 최적화된 폰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법령 때문에 Nokia의 지도가 서비스 되지 못하는 해프닝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들은 잘잘못의 문제를 떠나서 외산 스마트폰의 장점을 국내에서 십분 발휘할 수 없는 요소로 작용 하는 것은 분명하다.


7. 그 밖의 환경 요인

단말 보조금과 약정은 동전의 양면처럼 휴대폰 산업에서 윤활유의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발목을 잡기도 한다. 스마트폰이 2009년에 국내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말 교체 수요가 그만큼 있어야 한다. 하지만, 약정에 의해서 휴대폰 교체 주기는 갈수록 길어지고 있으며, 여기에 경기 침체라는 변수가 단말 수요를 방해하고 있다. 이는 저가단말보다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하는 하이엔드폰에 직격탄이 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현상을 조금 다른 각도에서 보자면, 하이엔드급 단말을 보조하기 위해서는 이통사의 보조금에 대한 부담감이 그만큼 높아짐을 의미한다. 미국내에서 아이폰을 서비스하는 AT&T의 경우에도 ARPU는 올라갔지만 무리한 단말 보조금은 단기적으로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좋은 성적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떨어지는 기이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를 이미 잘 파악하고 있는 국내 이통사 입장에서,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활성화를 위해 보조금 지급에 얼마만큼 투자를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스마트폰의 Segment가 그렇게 다양하지 못하다는 것 또한 인정해야 한다. '국내 스마트폰의 활성화는 글쎄..'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스마트폰의 사용용도는 법인 사용자와 개인 사용자가 전혀 다르다. 아이폰을 제외한다면 대부분의 2009년 유입 단말은 여전히 법인 사용자를 타겟으로 하고 있는데, 2009년은 모든 기업들이 투자에 소극적일 수 밖에 없는 해이다. 비즈니스 시장의 수요가 증가가 될 수 있는 요인이 극히 적다고 볼 수 있다.


8. 쓸만한게 없는게 사실

개인의 입장에서도 쓸만한 어플리케이션이 없다. 모든 환경 요인을 벗어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은 영문 위주로 구성이 되어 있고, 국내 서비스 기업들은 투자에 소극적이다. PIMS기능을 중심으로 한 Offline Data와 함께 Air를 발생할 수 있는 요소를 다양한 채널로 제공을 해야 하는데 아직까지 스마트폰 시장은 선택이 풍요롭지가 않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을 사봐야 mp3 플레이어, PMP 기능, 고성능 카메라, 풀터치 스크린과 같은 기본 요소를 제외한다면 쓸만한게 없다. 시장이 작으니 기업은 소극적이고, 서비스와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기업이 소극적이니 이통사들은 투자하기를 꺼려한다. 그렇다보니 스마트폰을 구입하려는 사용자들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단말로서의 가치를 못 느끼는 것이다.

스마트폰에 대해 청사진만을 들고 이야기 하는 이들 중에 이메일, 풀브라우저를 제외하고 어떤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기껏 날씨 위젯 앞에 놓고, 외산 News Break 설치해서 보는 것이 전부일 것이다. 나머지는 PDA와 다름없는 활용도이다. 과연 이게 100만원의 가치를 하는 것일까? 2009년이 국내 스마트폰 활성화의 원년이 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너무 많다.
2008/12/24 15:49 2008/12/24 15:49
성지인

성숙하지 않은 시장에 기업들이 진입한 경우의 대부분은 원점으로 돌아가서 '과연 이 시장에 고객의 니즈가 존재하는가'를 물어보면 답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니즈가 존재한다면 시장은 언젠가는 성장할 것이고, 니즈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시장은 끝내 꽃 피우지 못하고 사라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질문 자체가 어려운 건 아닌데 답을 찾기가 쉽지 않네요.

mobizen

조금은 어려운 문제군요. 개인적으로는 전 조금 다른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모든 시장이라는게 니즈가 있다고 자생적으로 생기는 것은 아니고, 프론티어 정신을 가지고 기업들과 Consumer들의 노력과 투자에 의해서 열려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관점의 차이일 수도 있겠네요. 좋은 성탄절 보내세요~ ^^

싱싱싱

최근 스마트폰용 application software 에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해외에서 Nokia, iPhone, Blackberry등 여러 스마트폰에 널리 사용되는 검증된 software를 들여오는 것도 고려 중입니다. 국내 상황에 맞게 어떠한 변화는 필요하겠지요. 어떤 자료를 보건데, 국내에서 2009년말까지는 스마트폰 가입자가 100만명 수준까지는 되지 않을까요? 이동통신 가입자 약 4500만명의 2.2% 정도인데요. 국내 에서휴대폰이 2008년에 2300만대, 2009년 1월에 150만대 이상 팔렸다는데, 2009년 스마트폰 가입자 예상 어떻게 보시는지요?

mobizen

어려운 질문입니다. 제가 어떤 예상을 하는 것은 별 의미는 없으나... 싱싱님께서 물어보셨으니 굳이 답변을 드리자면 40만 이하라고 봅니다. 이통사의 마케팅이나 요금제의 변화가 있다면 60만까지도 가능할 것 같구요.

질문의 요지와 한걸음 떨어져 볼 것은 스마트폰과 유사한 스마트 가젯의 성장세 또한 무섭다는 것인데요. 네트워크와 연결 가능한 가젯의 수요가 스마트폰 못지 않게 팔리지 않을까 생각을 해봅니다.

싱싱싱

네, 신속한 답변 갑사 드립니다. 저는 이제야 막 mobile 분야에 조금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조금씩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합니다. 님의 글들은 관련 시장 동향, 전망, 사업기회등에 대한 insight,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jisu

thanks for it.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스마트폰 시장이 세계 모바일 시장을 강타하는 가운데, 여러차례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 대한 과대한 기대감에 대한 우려의 포스팅을 해왔다. 스마트폰의 여러 긍정적인 데이타를 보고 현실을 벗어난 관점들이 이야기 되는 듯해서, 조금은 차가운 시선으로 2009년도 시장을 예측해보고자 한다. 예측은 '예측'일뿐, 그분들의 시선이 잘못되었다는 이야기는 아니고, '다른 관점도 있겠구나' 하는 이해로 보아주기를 바란다. 기본적으로 아래 포스팅을 먼저 참고하기 바란다.



1. 2008년 국내 스마트폰 시장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그림은 ROA그룹에서 내놓은 2008년도 Global 모바일 단말 트렌드를 정리한 그림이다. 디테일한 부분서 국내 현실과는 약간 다른 면이 있지만, 한 가운데 위치한 Operator eye와 Consumer eye가 각기 다른 방향을 보고 있는 그림은 절대적으로 공감 할 수 있는 내용이다. 국내에서도 iPhone을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폰에 대한 도입을 Consumer가 원했고, ARPU의 제자리 걸음과 데이타 시장의 침체를 벗어나고자 2008년 하반기에 시범적인(!) 수준의 스마트폰들이 국내에 도입이 되었다. 하지만 실제 이통사들의 눈은 일반폰을 벗어나지 못했다,

SKT는 HTC의 ‘터치듀얼’과 삼성전자의 3종(SCH-M620, SCH-M470, SCH-M480)을 중심으로 스마트폰단말을 내놓았으나 신규 가입자는 5만명 미만으로 알려져 있다. 하반기에 발표한 전략폰 'T옴니아'도 일 개통 1000대 정도로 누적 가입자 만명 정도로 알려져 있다. KTF 역시 기가바이트의 ‘GB-P100’을 비롯해 ‘울트라메시징Ⅱ(SPH-M4800)’를 선보였지만 신규 가입자 규모는 미미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스마트폰 총사용자는 약 40만명 정도로 알려져 있어, 가파른 성장을 하고 있는 해외의 경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미비한 수준이다.(실제 스마트폰 판매량에 대한 수치는 조사기관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위 소개 수치는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바를 적은 것이니 숫자 자체에 대한 Source는 밝힐 수 없으며,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


2. Global 스마트폰 시장 전망도 '어두움'

대부분의 애널리스트들 보고서들이 항상 스마트폰의 시장 전망을 '장미빛'으로만 그리는 것으로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모든 보고서가 그러는 것은 아니다. 미래에셋증권의 한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Global 수요를 2008~2010년 각 1.55억대, 2.0억대, 2.62억대로 전망하고, 동 기간 전체 핸드셋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수량)은 각 12.6%, 15.7%, 19.3%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다.

노키아의 스마트폰 M/S가 향후 3년간 39% 수준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노키아를 제외한 스마트폰 수요는 2008년 95백만대에서 2009년에는 1.2억대로 예상되어 사실상 스마트폰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크다고 보긴 힘들다는 결론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미래에셋 뿐만 아니라 Gartner를 비롯해서 얼마전까지도 스마트폰의 승승장구를 예언했던 리서치 기관들이 스마트폰의 성장은 계속 될 것이지만, 원래 예상했던 것보다는 성장 속도가 더딜 것(Smartphone Sales Slowing Down)으로 예측을 수정하고 있다. 항상 장미빛 보고서는 강조되고, 현실이 반영되어 수정되는 보고서에 대한 관심은 떨어지는 것일 뿐...


3. 해외 스마트폰은 단말사가 리딩

Global 스마트폰 시장은 Nokia, RIM, Apple 등이 리드하고 있다. 위 3개사의 공통점은 단말사이면서 이통사에게 디바이스만 납품하는 수동적인 태도를 벗어나 서비스, 플랫폼, 오픈 마켓 등을 함께 제공하고,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컨텐츠를 주도적으로 소싱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OS 플랫폼과 모바일 브라우저 전쟁의 중심에 있으며, 소비자가 원하는 SW를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는 개방형 단말이라는 점을 중심으로 보면 위 3사가 스마트폰 시장을 리드하는 원인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불행히도 국내의 주도적인 단말사인 삼성전자, LG 전자, 팬택 계열, KTFT 등이 가지고 있는 역량을 보면 이러한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할만 한 회사가 있는지 궁금해진다. 스마트폰이 오픈 마켓을 중심으로 하는 Global한 시장을 형성한다고는 하지만, 단말 AS, Local Trend, Local Application, 이통사 연계 서비스 등 핵심이 되는 것은 결국 Local 안에서 찾아야 하는데 불행히도 이러한 관점에서 국내 스마트폰의 미래는 즐겁지가 않다.

오픈 마켓에서 내려받을 수 있는 SW는 컨텐츠나 서비스 보다는 Application 주도형이며, 일부 존재하는 서비스들도 국내에서 보기엔 얼리어댑터 위주의 서비스가 대부분이다. Consumer들의 Request는 일반 유저보다는 얼리어댑터적인 성향이 더 높은게 사실이다. 풀브라우징만으로 스마트폰이 PC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일까?
2008/12/23 21:20 2008/12/23 21:20
임준섭

역시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잘 읽고 갑니다~ :)

mobizen

네... 의견도 주시고, 잘 활용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뽐뿌맨

전 세계 경제가 슬로잉 다운이라... ^^
그래도 지르는 사람은 지르더라구요

mobizen

네.. 가장 큰 원인은 세계 경제 상황이겠죠~ 그 외의 원인에 대해서는 #2에서 설명드릴 계획입니다.

daremighty

문제는 스마트 폰의 용도인것 같습니다. 이게 mobile data 통신용 단말인지, PDA인지 아직도 concept이 불명확해요. 들여다가 파는 이통사들도 제대로 방향성 못잡은것 같고... 옛날의 PDA 시장 전망 기억해보면, 결국 PDA 개념으로는 답 안나올것 같고, mobile data 통신이 뜨기 전에는 어렵지 않나 싶은데, 그건, 사실 핸드폰 만이 아니고 이통사 서비스가 제대로 받쳐줘야 되는 것 같습니다만, 현 시점에서 이통사들 하는 걸로는 쉽지 않아보이네요...

mobizen

절대 공감입니다. 쉽진 않아보이지만 어떻게든 만들어봐야죠~

코원IM

국내 단말사의 역량부족과 해외 단말의 한계에 대해 쓰신 글 잘 봤습니다. 다음 글은 이통사에 관한 글이겠지요? ^^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mobizen

ㅎㅎ 방금 #2 올렸습니다. 예상과 크게 다르지 않으실 겁니다. ^^

reserve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mobizen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싱크푸시

훌륭한 자료 입니다 .

mobizen

감사합니다. ^^

김성진

저는 제품디자인을 공부하고 있는 고대 디자인과 학생입니다.
좋은 참고가 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jisu

thanks for it!

지나가는이

결국 이 포스팅은 틀리고 있음이 증명되네요. 2010년부터는 서비스 위주로 재편될 예정입니다.

s

이 자료 활용해도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