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KTF의 현재
2007년 2월 현재 KTF 가입자수는 1307.6만명(KT 재판매 포함)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시장 점유율은 32.07%를 유지하고 있는 만년 2위 통신사이다. 아래표와 같이 순이익은 년말에 "Show" 브랜드 런칭에 쏟아부은 마케팅 비용 및 차세대 시스템 개발 등의 투자비용으로 전반적인 감소를 했으나 서비스 매출은 4.2%, 데이타 매출은 15%씩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2. 기본목표
예전에 인터뷰 보는 일이 있었는데 그때 이런 질문을 받았다.
"어디서든 좋습니다. 1등을 해본적이 있습니까?"
이유가 어떻든 1등을 해본자와 항상 뒤에 따라가는 자는 차이가 있게끔 마련이고 1등을 하는 이들은 1등을 할만한 이유가 있는 법이다. 만년 2위인 KTF는 1위를 해본적이 없는 기업으로 이러한 사실은 당분간 바뀌지 않을 것 같다.
그들의 계획도 2015년이니깐 말이다. KTF의 기획안 내부에는 온통 Vision 2015와 WCDMA밖에 없다.
불행하게도 이건 계획이 아니다. 단순한 목표일 뿐이다. 목표를 성공하기 위한 세부적인 항목, 그에 따른 조직 시스템, 프로세스 정립, 관계사의 지원, 킬러 서비스 발굴, 차별화 전략 등에 대한 언급은 어디에도 없다. 생각은 하고 있을지언정 옆의 있는 친구에게 말을 안하는 것이다.
KTF가 구멍가게와 같이 혼자 하는 사업이 아닌 바에야 그들의 구체적인 계획과 협력을 같이 일하는 관계사나 CP와 공유하지 않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SKT의 PartnerOn Camp 들을 본 받아야 하는 이유가 있는 것인데, KTF는 그런게 없다.
Vision 2015....
한국가스 안전 공사,
강원랜드,
광주은행의 캐치플레이와 같다. 누구나 다 하는거다...
요는 내용이 중요한거다... 그럼 내용을 잠깐 보자.
3. 차세대 영업정보 인프라
Vision 2015는 새로운 것은 아니고 지난해 세워져 발표되었다. 세계 최고의 ICET(정보, 커뮤니케이션, 엔터테인먼트, 거래) 기업으로 도약하는 것이 주요 골자이다. 각 항목의 세부 사항의 요약은 아래 표와 같다.
KTF는 2007년에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세대 영업정보 인프라 구축에 착수할 방침이다. 차세대 영업정보 인프라는 2008년까지 300억원을 투자해서 개발을 하며 총 3단계로 구성이 된다.
1단계 프로젝트인 '빌링 및 CRM' 시스템은 SOA(서비스지향아키텍처)의 사상을 적용해 지난해 파일럿 프로젝트로 완료됐다. 2단계 프로젝트는 빌링시스템과 CRM(고객관계관리)시스템에 대한 컨설팅과 분석·설계, UI(유저인터페이스)단의 플랫폼 구축 등을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KTF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CRM과 빌링시스템에 중복·산재돼 있는 고객 데이터를 통합해 고객데이터 구조 개선도 진행할 예정이다. KTF는 최근 2단계 시스템 구축사업자로 액센츄어를 선정했으며, 프로젝트는 올 8월께 완료될 예정이다. 2단계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KTF는 9월부터 3단계인 시스템 구축에 착수, 내년 하반기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그외 기본 IT전략을 정리하자면 아래 표와 같이 요약이 된다.
4. WCDMA
6개월 동안 고심해서 만든 "Show"브랜드는 드디어 3월 1일날 전국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행보가 SKT보다 앞서면서 일단 성공적인 시작을 하는 듯 하다. 3월 15일 현재까지 쇼 서비스 가입자는 모두 2만 2796명으로 하루 평균 1500명 정도가 가입을 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Wibro"와의 경쟁관계에서 두마리 토끼를 다 쫓아야 하는 SKT보다는 약간은 Clear 한 느낌이다. Wibro는 계열 회사인 KT에서 담당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일단은 WCDMA에 올인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KTF는 지난해 WCDMA 통신망 구축 사업에 7000억원을 투자했고, 올해도 4000억원 이상을 투자하는 등 WCDMA 서비스 확대에 주력할 방침이다. 조영주 사장은 "올해 500만 명으로 예상되는 WCDMA 가입자 중 270만 명을 확보해 3세대 서비스에선 1위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성공하기 위해서 협력사의 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를 하고 협력사 관리 시스템(SRM)을 기반으로 우수협력사의 범위를 확대하고 상생 협력 로드맵을 마련, 투명한 구매문화를 정착시킬 계획이다.
불행히도.....
이러한 KTF의 모습에서 왜 자꾸 2년전의 GPANG, GXG의 선례가 떠오르는 것은 왜일까?
GPANG이 GXG보다 먼저 런칭하고 광고전에서 승리했다고 성공했던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차별화된 서비스와 컨텐츠이다.
통신사들은 이제껏 통신 Infra를 제공하는 단순한 통신회사라는 이미지를 벗어나 복합 미디어 그룹이 되고자 희망을 했었고 실제로 그러했었다. 하지만 WCDMA에서 내세우는 Killer가 단순한 화상통화 외에는 없다.
아무것도....
그러다 보니 다시 통신 회사로 전락하고 있다. 스스로 다시 돌아온 것이다. 이러한 것은 SKT의 "T 3G+"도 마찬가지이다. 화상통화가 User의 Needs인가? 마땅한 킬러가 없어서 올라온 대안인가?
KTF는 곰곰히 생각을 해봐야 할 것이다. GPANG의 모습과 똑같은 모습으로 되지를 않기 위해서...
Comments List
LG는 잘 모르겠고 KTF는 SKT와 같은 value Chain을 서비스로 접근하는것 같습니다. 이미 터미널 사업이나 기타 다른 사업에서 쓴맛을 봤던 경험이 있는지라 SKT 모델을 따라하기는 스스로도 한계를 느낀것 같고, 그래서 나온게 서비스 차원에서 접근해보자고 ICET 라는게 나오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어디서 베끼셨는지는 모르겠는데, SK글로벌은 네트웍스로 개명한지 4년 되었습니다. 제대로 된 정보를 올리시던가 아니면 수정을 하시던가요
1.먼저 님 말대로 2003년 9월에 상호를 변경한 것이 맞습니다. 잘못된 점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2.무슨 근거로 베꼈다는 언급을 하셨는지는 모르지만 이번 포스트는 제가 예전에(상호명이 바뀐 즈음이더군요) 만들었던 통신사들의 전략에 대한 문서를 보고 재구성한 내용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몇가지 사항이 바뀌어서 수정을 했는데 위의 내용은 제가 모르고 지나쳤던 부분입니다. 그 당시 제가 다른 문서를 참고로 했는지는 기억이 안나지만 어떤 문서를 그대로 따서 토시하나 안바꾸고 올리는 그런 스크랩퍼는 절대 아닙니다. 말씀 조심하기 바랍니다.
3.저는 완전한 존재도 유명 블로거도 아닙니다. 잘못된 것에 대한 정보를 지적하거나 서로 다른 의견을 공유하는 것에 대해서 환영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의도가 좋을지언정 말하는 방법이 공손하지 못하면 대부분의 사람은 옳은 지적보다는 말투에 신경이 쓰이는 법입니다.
저도 가끔 다른 분들의 블로그에 가면 잘못된 것을 보고 때로는 말도 안되는 소리에 흥분을 하지만 내 블로그에서 떳떳하게 씹을지언정 당사자의 블로그에는 예의를 갖추어 말합니다. 저의 블로그 주소를 남기는 것은 기본이구요.
4.저 역시 위에서 이야기한 범인에 불구하기에 님의 말투는 재수가 없습니다. 말투가 저한테 한번 당했다가 호시탐탐 실수하기를 기다리다가 한번 잡으신 말투인데 그렇게 해서 생각나는 S모 회사하고..
신대방동 근처에서 거주하는 모양인데 그 동네에 있는 K모 회사하고..
자꾸 떠오르는군요.. 아님 말고...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 또한 통신 분야에서 일을 하고 있는지라 님과 비슷한 작업을 수행하였습니다. KT 또한 가치 사슬에서 점점 Platform과 Contents에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LGT 또한 준비 중이구요. 점점 향후 통신 시장이 재밋어 질 것 같습니다. 한번 기회된다면 님과 만나서 얘기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